백승
1. 수호전의 등장인물
白勝
[image]
수호지의 등장 인물. 상응하는 정기는 지모성(地耗星). 별호는 대낮의 쥐라는 뜻의 백일서(白日鼠).
원래 조개의 마을에 살던 건달이었는데 황니강에서 양지가 운반하던 뇌물을 털 때 처음 등장한다. 술장수 분장을 해서 성공적으로 뇌물을 털어먹는 데 성공했으나 경솔하게 도박판에 가서 돈을 펑펑 쓰는 바람에 꼬리가 잡힌다. 더군다나 모진 고문을 당하자 동료인 '''조개 및 여섯 호걸들의 이름과 주소를 실토하고 만다.''' [1]
그래도 내용은 서술되지 않았지만 성공적으로 구출되고 양산박에 합류. 중간에 송강과 대종이 '황문병'이라는 인간 쓰레기의 계략으로 처형될 때 오용이 구출작전의 일환으로 관군을 교란시키기 위해 몇몇 두령에게 분장을 시키는데, '''거지 분장조'''에 백승이 끼어있다든가… 그것 이외에도 어딘가에 잠복하는 데 어느 정도 재주가 있는 듯하다.[2]
그리고 송강이 양산박에 합류한 이후 사실상 '''증발'''. 그렇다고 죽었다거나 그런 건 아니고 첩보 담당 두령이긴 한데 실제로 첩보전에서 더 활약하는건 석수 등 어느정도 무력이 받쳐주는 두령이나 시천같은 잠입의 달인들이다. 주통, 이충 등의 인물과 같은, 전형적인 '''왜 108호걸인지 모르겠는 사람'''.
조개가 양산박에 들어갈때 함께 했던 극초기 멤버지만 함께 입산한 생신강 동료들이 전부 천강성에 속하고, 원래 양산박에 있던 임충, 두천, 송만도 나름 자리를 잡았는데(심지어 임충은 서열 6위이다!) 이 인물은 얼마나 듣보였는지 새로운 두령들이 입산할때마다 서열이 계속 밀려 형만 잔뜩 생겼다. 안습. 백승 밑으로 들어온 동생은 달랑 2명인데, 그 중 한 명은 양산박의 결전 병기 중 하나인 시천이고[3] , 막내인 단경주도 나름 영상화되었으니...
요나라 토벌 때 노준의가 하중보의 계략에 빠져 옥령에 갇히자 빠져나갈 길을 확보하기 위해 부대 자루에 들어가 산 아래로 굴러 떨어져 송강군의 병사들에게 발견되고 송강에게 노준의의 상황을 알린다.
방랍 토벌전때도 각종 잡일을 도맡아 하던 도중 항주 점령 이후에 항주 주변에 돌던 전염병에 걸려서 항주에 남아서 치료를 받던 도중 병사하게 된다.
2. 호접몽전의 등장인물
호접몽전의 등장인물. 위원회의 지살급 요원. 전투력이 전혀 없는 청년. 전투력이 없는 대신 은신과 이동에 일가견이 있다고 한다. 첫 등장 때는 언급으로밖에 등장하질 않는다.
본래는 시은, 번서가 반 동탁 연합군에서 군사 노릇을 하고 있는 진용운을 납치한 뒤, 빠른 복귀를 위해서 추가로 투입한 자였으나 시은과 번서가 진용운 납치에 실패한 데다 번서가 부상을 바람에 빨리 되돌아오는 것을 도와주었다고 한다.
그러다 장안 천도 직전에 재등장. 주무에게 반 동탁 연합군의 진격과 성혼단 신도의 첩보를 받아 진한성의 위치에 대해 알려주었다. 이때 생김새가 드러났는데 작은 체구에 흰 피부를 지녔다.
그리고 여포군이 마등, 한수, 원소 연합과 싸울 때 주무에게 시천, 단경주와 함께 모은 정보를 보고한다. 진용운, 유비, 조조의 동태에 대한 것들인데 진용운에 관련된 소식은 진용운이 한복을 처단하고 기주목이 되었고, 진용운 밑에 장료, 순욱이 있다는 사실과 조개가 진용운을 암살하려다 실패했다는 것. 그밖에도 유비가 북해에 나타난 것과 손책의 세력이 누군가에게 박살난 뒤, 손책과 진한성이 단양으로 달아난 것과 원소가 하내태수 왕광을 움직여 공손찬을 쳤고, 흑산적을 움직인 것 따위를 전한다.
보고를 하다가 가후가 찾아오자 재빨리 사라진다.
가지고 있는 천기는 벽과 천장을 파고드는 독특한 것이라고 한다. 정보 전달은 흔적을 눈으로 볼 수 있는 단경주가 우월하나 첩보와 정보 수집력은 어디에나 숨어들 수 있는 백승이 우수하다고 한다.
[1] 그래도 여러 차례 고문을 버텨내긴 했다. 그리고 수호전에서 송강, 대종, 무송 등 다른 호걸들도 고문에는 얄짤없다.[2] 특히(사실 오용의 계략이었고 양립도 끼어들어갔지만.) 공손승이 없는 고렴토벌전에서 고렴의 야습을 복병으로 고렴에게 부상을 입히는 활약도 있었긴했다.[3] 결전 병기라 해도 무력이나 지력이 높은 건 아니고 단순히 훔쳐오는 짓을 잘하는 거지만, 어쨌든 활약상이 결전 병기라 불릴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