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랑 끝 전술

 

1. 개요
2. 벼랑 끝 전술의 실례
2.1. 냉전 시대 미국과 벼랑 끝 전술
2.2. 북한의 벼랑 끝 전술


1. 개요


'''Brinkmanship'''[1]
[image]
벼랑 끝 전술이 어떤 건지를 알려주는 만평.[2]
1950년 미·소 냉전 당시, 마치 당장이라도 핵전쟁을 할 것처럼 상대를 밀어붙여서 적국의 양보를 얻어내려는 외교적 협상 전술을 말한다. 미국과 소련이 자주 하던 외교 전술이다. 그리고 이 이후에 확산되어 당장이라도 판을 엎어버릴 기세로 상대를 공갈협박하여 상대의 양보를 얻어내는 전술로 사용된다.

2. 벼랑 끝 전술의 실례



2.1. 냉전 시대 미국과 벼랑 끝 전술


벼랑 끝 전술이라는 단어가 처음 나왔던 시기는 1956년이다.
195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의 애들레이 스티븐슨 후보가 재선을 노리던 공화당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 특히 존 포스터 덜레스[3] 국무장관이 소련 상대로 벼랑 끝 전술(Brinkmanship)을 써서 안보 위기를 과도하게 확대생산한다며 비판하면서 이다. 이때 애들레이 스티븐슨이 Brinkmanship이라는 단어를 처음 만들었다.
1956년 1월호 라이프지의 인터뷰에서, 존 포스터 덜레스 국무장관은 스티븐슨의 공격에 대해 "전쟁에 이르지 않고 벼랑(verge)에 이르는 능력은 필요한 예술이다. 이 예술을 정복하지 못하면 불가피하게 전쟁에 이르고 말 것이다. 전쟁을 피하려고 하거나 벼랑에 가는 것을 두려워한다면 전쟁에 지게 된다"고 말했다. 그리고 아이젠하워는 스티븐슨을 누르고 재선에 성공하여 미·소 냉전에서 소련을 강하게 밀어붙여서 우위를 점하게 된다.
반대로, 1964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공화당 전당대회에서는 공화당 대선 후보 배리 골드워터의 호전적 지지자들이 "겁쟁이 전술보다는 벼랑 끝 전술이 낫다"(Better brinkmanship than chickenship)라는 슬로건이 쓰인 플래카드를 선보였다. 이때 공화당은 쿠바 미사일 위기의 벼랑 끝 전술을 보고 핵전쟁의 위기를 넘긴 근자감이 있어서인지 아이젠하워때부터 내려온 대소련 강경책을 밀어붙일 것을 주장했으나 현실은 시궁창... 당시 정식으로 대통령 자리에 도전한 린든 B. 존슨[4]데이지 걸 광고 한방에 매파들이 싸그리 떠내려가면서 배리 골드워터는 선거에서 참패했다.[5]

2.2. 북한의 벼랑 끝 전술


여기에 외교적 약자 위치를 활용하는 약자의 공갈 전술까지 추가하고 등 뒤에 중화인민공화국,러시아가 있으며, 한국과 일본까지 엮여있는 강력한 긴장상황을 이용해 핵무기로 상대국을 압박하니 미국과 한국 입장에서는 이들의 벼랑 끝 전술이 영 좋지 못한 상황. 그럼에도 쓸 수 있는 대책이 쉽게 마련 되지 않는 것이 대한민국을 둘러싼 국제정세의 근본적인 암덩어리인 셈이다.
2018년에 북한이 도널드 트럼프에게 미국의 역대 대통령 해왔던 것처럼 북미정상회담 발언권을 높이기 위해 김계관, 최선희를 비롯한 북한 외무성 라인을 써먹었다가[6],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5월 24일 회담을 전격 취소하면서 미국에 의해 역 벼랑끝전술을 당했다. 그리고 북한은 취소 후 단 7시간만에, 김계관 명의의 담화문을 발표하면서 저자세를 취할 수밖에 없었다.

[1] 영어사전에 brink는 'ㅁㅁ 직전'이라는 뜻이 있다. brinkman은 'ㅁㅁ 직전까지 밀어붙이려 하는 자', 즉 치킨 게임을 즐기는 자라는 뜻이 있다.[2] 쿠바 미사일 위기를 그린 만평으로 니키타 흐루쇼프존 F. 케네디가 서로 핵폭탄을 깔고 앉은채 팔씨름을 하고, 존 F. 케네디,니키타 흐루쇼프 모두 스위치에 왼손을 올리면서 상대를 압박하는 상황. 속내는 "나 이거 누른다? 누를까? 누르면 다 죽는데? 진짜로 눌러버린다?" 하고 협박하는 것. 흐루쇼프나 케네디나 식은 땀을 흘리는 급박한 상황이다. [3] 워싱턴 덜레스 국제공항이 이 사람 이름에서 따온 것.[4] 해당 항목에도 나와있지만, 이 사람은 전임 존 F. 케네디의 암살로 부통령 자리에서 대통령을 승계받았다.[5] 허나 린든 B. 존슨은 또하나의 악성 전장인 베트남전은 확전을 막지 못했고 그것이 68년 대선 불출마의 큰 원인중 하나가 된다.[6] 발단이 5월 16일의 남북고위급회담 일방적 취소였는데 이것이 불과 15시간 전 북한이 스스로 요청했던 일이고 취소 사유로 든 것이 11일의 맥스 선더 훈련임을 생각하면 애초에 벼랑 끝 전술의 용도로 회담 요청을 했다고 볼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