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진국

 



1. 개요
2. 국명
3. 상세
3.1. 관련 문서


1. 개요


碧珍國
경상북도 성주군에 있었던 소국. 원래 명칭인 벽진국보다 성산가야(星山伽倻)로 더 알려져 있다. 성주지역은 대가천 연안과 백천 양안에 충적(沖積)지가 발달하였으며 이로 인해 좋은 지리적 조건을 갖춰 주변에 여러 부족사회들이 밀집되어 있었다. 원래 가야국이 그렇듯 성산가야도 주변의 여러 부족사회를 통합하여 시작된 것이다.
'성산', '성주'라는 지명도 '벽진'에서 유래된 것이다. 벽진은 고대 신라어로 '볏(별)들'을 음차한 표기인데, '볏(별)'을 훈차로 '별 성'자로 바꾼 것.

2. 국명


가야 연맹의 6개국 중 성산가야로 알려져 있지만 XX 가야란 이름은 먼 훗날 고려 시대에 대충 그 동네에 있었던 소국들에 일괄적으로 붙인 이름으로, 정작 이 나라가 존재하던 시절에는 성산가야라는 이름을 전혀 쓰지 않았다. 성산이라는 이름 자체가 이 나라가 없어진 지 한참 뒤인 통일신라 경덕왕 때 새로 붙인 이름이다.

성주는 원래 벽진국(碧珍國)이라 칭(称) 하였는데 이는 언전(諺傳)[1]

이다. 신라(新羅) 때는 성산군(星山郡)이라 칭하고 (본래 일리군(一利郡),또는 리산군(里山郡) ), 경덕왕(景德王) 때 가리현(加利縣)이라 고치고..[2]

'''경상도지리지(慶尙道地理志) 상주도(尙州道) 성주목관(星州牧官)'''


3. 상세


삼국유사에는 6개 가야 구성국 중 하나로 기록되어 있지만, 현대에는 벽진국이 가야 구성국이 아니었을 가능성도 있거나(또는 벽진국이 가야 구성국이었다는 것이 의문이거나), 오히려 초기부터 진한-신라계 소국이 아니었냐는 견해가 있다. 벽진국이 있는 성주는 거리상으로는 대가야고령군과 가깝지만 성산동 고분군에서 출토된 발굴품이 가야보다는 신라의 영향이 크기 때문. 또는 초기에는 가야 연맹에 속했지만, 나중에 신라에 편입되었다는 주장도 있다.
고고학 연구에 따르면 '''3, 4세기까지는 대가야와 비슷하지만 5세기 이후로는 신라와 심하게 비슷하기 때문이다.''' 일단 기본적으로는 성산가야가 있었다던 벽진국 일대는 4세기까지는 가야 영토로 5세기부터는 신라 영토로 분류한다.
게다가 문헌의 정보도 삼국유사를 제외하면 거의 없기 때문에 성산가야도 고령가야만큼은 아니지만 의문이 되는 나라이기도 하다.
[image]
성주읍성산동 고분군이 이 나라 지배층의 능원으로 추정된다. 봉분의 크기나 무덤의 수가 상당해서 전성기에는 강한 국력이 밑바탕 되는 중견 국가였을 듯하다. 이 밖에도 성주군에는 금수면 명천동, 대가면 옥화동과 도남동, 월항면 인촌동, 용각동 등에 크고 작은 고분이 흩어져있다. 계명대학교 행소박물관에 의해 조사되었는데 엄청난 유물이 쏟아져 나와 트럭을 여러 차례나 불러 부장품을 옮겼다고 한다.
[image]
그리고 성주군 가천면에 위치한 영남 지방 최대 산성인 독용산성이 성산가야의 산성으로 추정되며, 1963년에 사적 제91호로 지정되었다가 군부대 주둔으로 1966년에 지정 해제된 성산성도 시대 미상이지만 이 곳의 산성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이외에도 성주 측 지역구전에 따르면 반파국월광태자가 최후를 맞이한 곳이라고도 한다.

3.1. 관련 문서



[1] 사람들 사이에서 전해진 말[2] 고려사 에서는 경덕왕이 일리군을 성산군이라 고쳤고, 고려초에 가리현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