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유커 버스 교통사고

 


'''교통사고 요약도'''
[image]
'''사고 일자'''
2018년 4월 22일
'''사고 유형'''
노면 결빙으로 인한 버스 추락 및 전복
'''사고 지점'''
북한 황해북도 봉산군 교량 부근
'''피해 차량'''
관광버스 2대
'''피해 인원'''
38명[1][2]
'''사망자'''
36명(유커 32명, 주민 4명)
'''부상자'''
2명
1. 개요
2. 사건 이전
3. 사건 당일
4. 반응
5. 마오신위 사망 논란


1. 개요


2018년 4월 22일 저녁, 북한 황해북도 봉산군에서 중국인 단체 관광객과 상무 시찰단이 탄 버스가 교통사고를 당해 중국인 32명과 북한 주민 4명이 사망하고 2명이 부상당한 사건이다.##

2. 사건 이전


사고가 발생한 이번 여행은 좌파 성향 사이트 '우여우즈샹'[3] 산하의 '싱훠여행사'[4]에서 중국의 한국전쟁 참전 65주년을 맞이하여 ‘항미원조[5] 전쟁 승리 65주년 중국 조선 방문 문화교류단’이라는 명칭의 북한 관광상품을 계획했다.
싱훠여행사는 지난 3월 9일부터 여행단 모집에 들어갔다. 여행 일정은 4월 18일부터 4월 24일까지 6박7일, 관광상품 가격은 1인당 5900위안(약 100만원)이다. 사이트
이 여행에는 중국인 단체 관광객 27명과 상무 시찰단 17명이 참여했으며, 2대의 버스를 타고 이동했다.
단둥에서 집결해 열차 편으로 평양으로 간 여행단은 첫째날과 둘째날에는 평양에서 만수대, 천리마동상, 인민대회당, 김일성광장, 주체사상탑 등을 구경했고, 남포에서 서해갑문과 고구려 고분 등을 둘러봤다. 셋째날에는 평안남도 회창군에 있는 중국인민지원군 열사능원을 방문해 6·25 당시 사망한 마오쩌둥의 아들 마오안잉(毛岸英) 묘소를 참배했다. 넷째날에는 개성을 방문하고 평양으로 돌아왔다.

3. 사건 당일


사건이 있었던 날에 사건 지역에서는 큰 비가 내렸다. 2018 제1차 남북정상회담을 앞두고 준비 인력 수송을 위한 도로단장 공사도 미뤄질 정도였다고 한다.
사고 당일인 다섯째 날에는 원산을 방문해 둘러보고 오후에는 상감령지구를 방문해 원거리에서 상감령의 크고 낮은 봉우리들을 지켜봤다. 참고로 상감령지구는 이번에 처음 개봉되었다. 그 후 개성을 거쳐 평양으로 돌아가는 길에 두 버스가 모두 교통사고를 당했다. 낮은 기온과 당시에 내렸던 큰 비로 인해 도로가 얼어있었던 것이다.
그 와중에 상무 시찰단이 탄 버스는 다리 아래로 추락하고 관광객이 탄 버스는 전복되어 크게 파괴되면서 큰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버스는 폭발하지 않았다고 한다.

4. 반응


중국 위생건강위원회는 베이징대 인민병원 등 4개 병원에서 흉부외과, 신경외과의 최고 전문의들을 23일 오전 의약품 및 의료 장비와 함께 북한에 급파했다.
4월 23일 오전 6시 30분, 북한도 이 사건의 중대성을 깨달은 것인지 김정은은 북한 주재 중국대사관을 방문해 리진쥔(李進軍) 대사에게 위문의 뜻을 표시했다. 또 23일 저녁, 김정은은 병원을 찾아 부상자 치료 정형을 직접 파악했다. 부상자들을 찾아가 위로하고 환자들의 상태를 파악하며 정부 병원의 의료성원들과 함께 앞으로의 치료 대책을 협의했다.
4월 25일, 김정은이 “속죄한다”는 표현을 쓰며 몸을 낮춰 사과했다. 또한 시신과 부상자를 후송하기 위해 전용열차 편성을 지시했으며, 그날 밤 평양역에 직접 나가 전송했다. 침울한 표정의 김 위원장이 열차 안에서 부상자들 손을 잡고 위로하는 사진도 공개했다.
김정은은 또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에게 위문 전문과 위문금을 전달했다. 김정은과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박봉주 총리가 공동으로 시 주석과 리커창(李克强) 총리, 리잔수(栗戰書)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에게 보내는 형식을 취했다. 북한은 이 소식과 사진, 전문을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로동신문 1면에도 게재했다.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이 이 대사에게 “책임을 통절히 느끼고 있다”며 “이번 중대사고 조사와 처리를 엄격히 하며 재발을 철저히 막기 위한 강력한 대책을 세울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김정은이 이렇게 사태 해결에 집중하는 것에는, 중국인 피해가 상당한 것에 따른 도의적인 책임도 없진 않지만 그것보다는 외교적인 성격이 더 크다는 해석이 많다. 마침 사고가 일어난 날을 전후해서 북한은 2018 제1차 남북정상회담, 2018년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있으며 바로 한달 전에는 김정은이 직접 중국을 국빈 방문하는 등 북한을 둘러싼 외교 정국이 급변하는 상태이다. 이런 상황에서 북한은 중국과의 외교 관계를 적절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김정은이 직접 부상자를 위문하고 사과문을 발표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인 것.

5. 마오신위 사망 논란


이 사건으로 목숨을 잃은 유커 중에 '''마오쩌둥의 친손자 마오신위가 있었다는 추측'''이 제기됐다. 이에 대하여 한때 암해설까지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중국 정부에서 마오신위가 북한을 방문했다는 설 자체를 공식 부인하였다.일단 중국 쪽에서도 일절 마오신위 관련 뉴스도 없고, 마오신위도 그저 할아버지의 후광 밖에 없고 딱히 중국 공산당 내에서 지분을 가진 것도 없는 사람이라 암해당할 정치적 이유도 없는 상황이다.
마오신위에 대한 설명을 간단히 하면 마오쩌둥과 조강지처 [6] 양카이후이 사이의 차남 마오안칭이 인공수정으로 낳은 유일한 아들이다. 인공수정으로 낳은 이유는 마오안칭이 국민당의 고문을 받은 후유증으로 조현병을 가졌기 때문에 폐인이 되었고 정상적인 성관계를 할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어쨌든 마오신위는 2010년 40세로 군 최연소 소장이 되었다. 물론, 능력이 아니라 국부인 마오쩌둥의 손자라서 얻은 자리이며, 한번도 실전부대를 지휘한 적은 없다. 군에서도 전사(戰史) 편찬과 같은 상징적인 역할만 맡았는데, 그것도 대필한 것이라는 이야기가 많다. 중국에서는 그가 지적장애자라는 소문이 많다. 그가 쓴 책들도 다 대필된 것이라는 것. 심지어 중국인들은 마오신위를 거의 진혜제(사마충)와 동일하게 취급하고 있으며, 그나마 좀 우호적인 언론들도 그저 '좀 모자라지만 인성은 나쁘지 않은 사람'으로 여길 정도로 카리스마가 없다. 게다가 뉴스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김씨 삼부자 못지 않은 고도의 비만 체형이라서(어릴 때 병치료를 위해 호르몬을 투약한 것의 부작용이라는 설이 있다.) 이것도 놀림감이 된다.
그리고 사고 이후 마오신위공식 석상에 참여하면서 마오신위 사망설은 루머였다는 게 밝혀졌다.

[1] 중국인 단체 관광객 27명, 상무 시찰단 17명, 북한 주민 4명.[2] 베이징의 중국여유공사 직원들과 좌파 홈페이지 '홍가회'의 왕궈쥔 단장, 다이청 명예단장, 좌파 인터넷 사이트 '우여우즈샹(烏有之鄕)'의 편집장이자 싱훠(星火)여행사 사장인 댜오웨이밍, 마오쩌둥 관련 다큐멘터리영화 등을 감독한 중국 관영 CCTV 아이신 감독의 부친, 중국홍가(紅歌)회 회원, 6·25 참전 중국 장군들의 자녀 등 좌파 성향 인물들이 많이 포함되어있었다.#[3] 2003년 베이징에서 만들어볐으며, 마오쩌둥을 신봉하고 중국의 개혁개방을 반대하는 좌파 성향의 인터넷 사이트이다.[4] 공산주의 지배 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북한과 쿠바를 비롯해 러시아의 레닌 유적, 유럽 마르크스 유적 등을 탐방하는 여행상품을 팔고 있다.[5] 중국에서 중공군의 한국전쟁 참전을 일컫는 말. 미국에 대항해서 조선을 도왔다는 말이다.[6] 명목한 부모님이 억지로 혼인시킨 연상의 첫번째 아내 뤄이슈 (1889~1910)가 있긴 하지만, 마오쩌둥은 한번도 그녀를 아내로 인정한 바 없다. 결국 마오쩌둥이 타지에서 유학하는 동안 홀로 시댁에서 시집살이를 하다가 병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