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성광장

 



'''김일성광장'''
[image]
'''개장일'''
1954년 8월
'''주소'''
평양직할시 중구역 남산동 (승리거리)

1. 개요
2. 상세
3. 남북통일 이후


1. 개요


1954년 김일성이 구상한 평양시복구건설총계획도에 의거하여 건설된 북한 평양직할시 중구역 남산재 동편에 있는 광장.

2. 상세


러시아 모스크바붉은 광장처럼 북한을 상징하는 광장으로, 면적은 75,000㎡[1]이며 바닥은 화강암으로 되어있다. 6.25 전쟁의 전후 복구 과정에서 1954년 8월 완공되었으며, 건설에 연인원 100만명이 동원되었다고 한다. 한때 세계에서 16번째로 큰 광장이라고 되어 있었으나 (일본어 위키백과에는 그렇게 되어 있다), 영어 위키피디아의 세계의 광장 목록을 보면 아무리 높게 잡아도 50위권 미만이다.
명칭은 당연히 북한의 초대 독재자인 김일성에서 따온 것이다. 광장 바로 뒤편으로는 대동강이 흐르고 있으며, 주체사상탑이 강 맞은 편에 있다. 그 외에 주석단, 인민대학습당, 북한 내각 종합청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 청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외경제성 청사, 조선중앙력사박물관, 조선미술박물관, 평양제1백화점 등 중요 시설들이 광장을 둘러싸고 있다. 여러모로 러시아 의 붉은 광장을 본따서 만든 듯 하다. 승리거리, 대학습당거리 등과 직접 연결되어 있고, 보조광장도 있다고 한다.
자칭 국가의 중앙광장이다 보니 각종 군중대회, 정치적 행사, 경축회, 추모행사 따위를 하는데, 북한이 자주 하는 열병식도 이 광장에서 한다. 때문에 남한과 세계 각국의 TV 뉴스에서도 북한 관련 보도를 할 때마다 자료화면으로 이 장소가 자주 등장하곤 한다. 큰 인공기가 보이는 건물 옆으로 탱크가 지나가고, 북한군이 열병식을 하고 김정은 등 조선로동당 및 인민무력성 고위간부들은 맞은편 건물에서 박수치는 그런 모습.
또한 이 광장은 1996년 북한 도로망의 출발점인 도로원표의 역할도 하고 있다. 정확히는 주석단 바로 아래 쪽이라고 하는데, 이 곳에 '평양 나라길 시작점' 비석이 세워져 있다고 한다. 1990년대 초 이전에는 평양 중구역 중성동 승리거리의 해방산려관 앞마당, 그 후 1996년까지는 평양 중구역 평양성 중성 출입문 중 하나인 함구문이 도로원표였으나, 김정일의 지시로 이곳으로 옮겼다고 한다[2].

3. 남북통일 이후


평양 재개발에서 이 광장이 존치된다면 100% 이름이 바뀔 것이다. 남한의 광화문광장처럼, 근처의 대동문에서 이름을 따서 대동문광장으로 명명되거나, 대동강에서 이름을 따 대동광장으로 혹은 아예 평양광장으로 바뀔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여러 단체들과 개인의 시위, 그리고 월드컵 거리응원전이 자주 열리게 될 것은 물론.
[1] 10만여 명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다. 참고로 서울의 구 여의도광장이 약 237,600㎡였고,# 광화문광장이 약 2만㎡[2] 북한은 "나라길 시작점을 혁명활동 역사와 결부시켜 올바로 정한다."는 것이 옮긴 이유임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