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단섬

 


비단섬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PRK_Pyongbuk-Sindo.png]]
왼쪽이 비단섬, 오른쪽이 황금평이다.
[image]
비단섬이 생기기 전의 모습.
한반도에서의 위치. 마안도라고 되어 있는 것이 지금의 비단섬이다.
1. 개요
2. 중국과의 관계
3. 산업
4. 여담


1. 개요


비단섬은 한반도 최서단 압록강의 하구에 위치한 섬이다. '''압록강 서쪽에 있다'''. 섬 북쪽의 물길이 워낙 좁아 멀리서 보면 마치 만주 지역에서 튀어나온 반도처럼 보이며 실제로 그렇다.[1] 북한 행정구역상으로는 평안북도 신도군 신도읍과 비단섬 로동자구에 속하고, 이북5도 행정구역상으로는 용천군 신도면에 속한다.[2]
좌표는 북위 39°48'18", 동경124°11'15"이고 면적은 64km2 정도이다.[3] 압록강 하구에 위치하며 섬이면서도 넓은 범주로는 삼각주에 해당된다. 1958년에 신도(薪島)지구 개간사업으로 신도, 마안도, 말도, 장도, 양도와 무명평 일대의 간석지를 연결해서 1개의 섬으로 만들었다. 현재 북한의 영토로, 황금평과 함께 신도군을 이룬다. 참고로 비단섬이란 이름은 김일성이 지어주었다.

2. 중국과의 관계


청나라 때에는 청나라 사람들이 이곳에 와서 물건을 훔치거나 땅을 일구다가 조선 군사에게 들켜서 쫓겨 났다고 한다. 참고로 청나라도 비단섬이 조선의 영토임을 인정했다. 실록에는 薪島(신도)라고 치면 확인할 수 있다.
조중변계조약에서는 비단섬과 중국 단둥시 사이의 국경을 명확하게 표시 했다. 1960년대에 중국에서 발간된 지도 중에는 비단섬을 가끔 중국 땅으로 표시한 지도가 있었으나, 현재에는 중국 단둥 시가 발간한 압록강 일대 관광지도에는 '薪島'라는 표기와 함께 북한 영토라는 것을 뜻하는 '(朝)'를 적어놓고 있다. 한편 중국인들은 이 섬 때문에 단둥에서 배를 타고 다른 지역으로 갈 수 없어져서 아쉬워하는 눈치이다. 그래서 아예 단둥 서쪽 서한만 변에 새로 항구를 터 "둥강(동항)"이라 이름붙이고 사용하는 중.

3. 산업


갈대를 많이 키워 신의주에서 섬유원료로 가공한다고 한다.

4. 여담


  • TV조선모란봉 클럽 64회 방영분에 따르면 신의주로 가는 배편은 4월부터 11월까지만 운항하고 그 외 기간에는 압록강이 결빙되어 운항하지 않는다. 석유추출을 목적으로 1987년 용천군 용암포와의 사이에 개통된 해저터널?이 있는데 걸어서 3시간 정도 걸린다고 한다.#

[1] 국경선을 관리하기 쉽게 하기 위해 물길을 유지하고 있을 뿐이다.[2] 광복 당시에는 '비단섬'이 생성되기 전이었으므로, 이 신도면에 소속된 동(洞)은 현재 비단섬의 일부인 신도(薪島)에 있던 동주동, 남주동 2개동이다.[3] 울릉도가 대략 70km2 이라는 걸 생각하면 꽤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