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파르 왕조

 





사파르 왕조(Ṣaffārid Dynasty : 861~1003)
발루치스탄 - 이란 고원에 걸쳐 세워졌던 중세 이란계 이슬람 왕조로써 건국 군주는 라이스의 아들 야쿠브[1]이다. 야쿠브는 소위 '알 사파르'라 불렸는데 사파르는 금속 세공인, 대장장이라는 의미이다.

1. 건국


오늘날 아프가니스탄에 속하는 보스트 인근의 작달막한 마을의 대장장이 집안에서 태어난 야쿠브는 젊은 나이에 시스탄(오늘날 이란 동남부) 지역에서 자경단 노릇을 했던 것으로 보이며 이를 시작으로 자신의 동생들인 아므르 이븐 라이스, 알리 이븐 라이스와 함께 동지들을 끌어모으고 봉기하였다. 당시 중동의 패자였던 압바스 왕조는 후계 분쟁으로 인한 내전, 하리지파, 쉬아파의 봉기, 이미 압바스 조 패권 확립 초기부터 떨어져나왔던 후우마이야 왕조는 둘째치고 북 아프리카에서 독립적인 세력을 구축한 이드리스 왕조, 아글라브 왕조로 인해 이집트를 제외한 북아프리카 전역에 대한 지배권 상실[2], 아샤리 파와 무타질리 파의 교리적 대립 등으로 급속도로 쇠락하고 있었고 거기에 구 페르시아 계 관료들이나 지역 토후들이 이를 기회 삼아 이란 고원과 트랜스옥시아나 일대에서 세력을 확립함으로써 타히르 왕조, 사만 왕조 등이 출범하여 이란 지역은 사실상 압바스 조의 영향권에서 떠나버렸다. 비단 이란 고원 뿐만이 아니라 동부 아르메니아, 타브리즈 등지에서도 이란계 토후들이 형식적으로만 압바스 조의 이슬람 종교 지도자로써의 권위를 인정할 뿐, 실질적으로는 독립한 상태나 다름없었다.

2. 전성기 (9세기 말)


이런 상황에서 야쿠브의 확장을 저지할 거대 세력은 없는 것이나 다름 없었는데 야쿠브는 한 줌의 병력으로 각지에서 아랍계 총독들이나 이란계 토후들을 쳐부수면서 발루치스탄, 아프가니스탄 등지를 순식간에 장악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더욱 군사를 끌어모아 이란 본토로 진출, 당시 이란 고원의 실질적인 중심지였던 호라산 지역을 지배하던 타히르 왕조를 공격하여 타히르 왕조를 사실상 멸망시켰으며 북으로는 사만 조를 압박하면서 최성기에는 동쪽으로는 오늘날의 파키스탄에 이르는 지역까지, 서쪽으로는 타브리즈, 아르메니아 지역을 제외한 자그로스 산맥의 대부분을 지배하면서 오늘날 이란 강역의 거의 두 배에 달하는 막대한 영역을 차지했다. 또한 구 페르시아 계 문인들이나 사산 왕조 시절의 제국 제도를 어느 정도 차용한 것으로도 알려져있다.

3. 쇠퇴와 멸망 (10세기)


그러나 이러한 면모에도 불구하고 사파르 왕조는 근본적으로 야쿠브 개인의 전투 능력과 카리스마에 전적으로 기대어 세워진 국가였고 내부적으로 수많은 허점을 떠안고 있었다. 이란 고원을 장악하면서 압바스 조와 빚어진 마찰 상황에서 이를 정당화할 명분적 기반을 구축하지 못하였으며[3] 바반드나 카렌, 사만 왕조와 같은 구 페르시안 명문가[4]들과는 달리 완전히 평민 출신이 건립한 국가였기에 지역을 지배할 혈통적 정당성을 주장하지 못하였고 그렇다고 이를 정당화할 사상적 토대도 없었기 때문에 억지로 산하에 끌어넣은 토후들은 하나같이 사파르 조의 지배에 의문을 표하고 있었다. 그런 와중에 야쿠브는 메소포타미아로 쳐들어갔으나 압바스 조 칼리프 알 무타미드의 군세에게 다이르 알 아쿨 전투에서 패하면서 그 성장에 큰 제동이 걸렸으며 얼마 안가 후사를 남기지 못하고 급사해버렸다. 동생인 아므르가 뒤를 이었으나 내부적인 동요가 심각하였고 이를 억제할 겸, 자신들의 후방에 도사리던 사만 왕조를 굴복시키고자 대군을 일으켜 트란스옥시아나로 진격하였으나 발흐 전투에서 사만 조의 왕 이스마일 1세에게 참패하면서(901년) 완전히 몰락의 길을 걷고 말았다.
이후 호라산을 비롯한 이란 고원 대부분을 사만 조에게 빼앗기고 파키스탄에 이르던 힌두쿠시 쪽 영지는 완전히 상실해버렸으며 그 영역은 시스탄, 아프가니스탄 지역으로 쪼그라들었으며 뒤이어 이란 고원에서 패권을 확립한 부와이 왕조의 공격으로 더더욱 쇠락하였다. 1002년경에 사만 조가 쇠락하면서 그 틈을 타 흥기하였던 튀르크계 왕조 가즈나 왕조가 아프가니스탄 지역으로 침입하면서 연전연패 당한 사파르 조는 아프가니스탄 전역을 상실하고 사파르 조의 본거지인 시스탄 지역까지 군세를 이끌고 진입한 마흐무드 가즈나비드에 의해 마지막 왕인 칼라프 1세가 붙잡혀 폐위당하면서 완전히 멸망하였다.

4. 그 후


이후 후손들이 16세기까지는 시스탄 지방에서 명맥을 유지하며 혼란기 때마다 왕조를 재건하고는 했다. 예를 들어 나스르 왕조 (1029 ~ 1225)는 가즈니 왕조, 셀주크 제국, 고르 왕조, 호라즘 왕조의 속국으로 존속하다가 1222년, 몽골제국에게 타격을 입고 역시 몽골에게서 도망가던 호라즘의 왕자 잘랄 웃 딘 밍부르누에게 1225년에 멸망한다. 그 이후로도 미라반 왕조를 세우는 등 불굴의 의지를 보이나 사파비 왕조에게 완전히 복속되었다.

[1] 야쿠브 이븐 라이스. 라이스는 래이스라고 발음하기도 한다.[2] 이마저도 얼마 안 가서 파티마 왕조가 출범하면서 이집트에 대한 지배권도 날아가니 후새드..[3] 요컨대 사파비 왕조처럼 쉬아파를 기반으로 한 이란 민족성 구축과 같은.[4] 카렌, 사만은 파르티안 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