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 코스프레
1. 개요
서브컬쳐 문화의 용어인 코스프레에서 온 단어. 서민 코스프레라는 외국식 말보다 '''서민 체험'''이라는 말이 더 언론에 잘 알려져 있다. 부자들이나 유명 정치인들이 '''선거 시즌'''마다 정치인들이 국민과 가까워지기 위한 '''민생행보''' 차원이라며 어김없이 하는 행위. 즉, 서민 행세를 말한다. 예를들어 재래시장에서 길거리 음식 먹기라든가 여러가지 등.
정치인들에게는 서민과 접촉을 넓히는 행위가 일종의 표심을 얻는 행위이며 입지를 다지기 위해 중요하다 특히 대권(大權)을 생각하는 유력 정치인들은 서민들에게 친근한 면을 부각시키기 위해서 이런 행동을 한다. 잘 되면 국민과 가까운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지만 실패하면 서민과 거리가 먼 사람이 표 구걸을 위해 '서민인 척 행세한다'는 비난을 받게 되고 이런 경우가 '서민 코스프레'라는 말을 듣게 된다.
또는 드라마 등에서 재벌들이 아르바이트를 해보는 등의 행위를 가리키기도 한다.[1]
2. 필요성
정치인은 선거를 통하여 승리하여야 권력을 손에 넣고 자신의 정치적인 소신을 펼칠 기회를 얻게 된다. 그리고 선거에서 승리하려면 당연히 국민(또는 서민)의 지지를 얻어야 한다. 하지만 이름과 업적을 전혀 모르는 사람을 무작정 뽑아주지는 않으니 자신을 알리고 포장하는 일을 게을리할 수 없다. 여기에 아무리 지명도가 높고 업적이 훌륭해도 국민(시민)과 동떨어진 이미지를 갖고 있다면 표를 얻는 데 손해이기에 유권자와 늘 가까이 있다는 이미지를 줄 필요가 있다.
그러한 방법으로서 정치인들은 국민의 목소리를 듣는다는 이유로 시장 등 서민이 많이 모이는 곳을 선거철 및 명절 등 중요 시기에 방문하는 경우가 잦다. 그 자체는 선거 전략으로서 문제가 없으며, 자신이 직접 국민의 의견을 듣는 것은 정책을 결정하고 제안하는 데 있어 중요한 정보가 되기에 문제라 할 수는 없다.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같은 국가의 최고 지도자들도 변장을 하고 거리로 나가 서민들의 의견을 들었다 할 정도로 국민들과의 소통은 정치인에게 중요한 일이다. 즉 정치인이 시장이나 기타 서민이 많이 모이는 곳에 나타났다고 그 자체를 무조건 나쁘게 생각할 일은 아니다. 정치인이 아니더라도 대중적인 이미지 관리가 필요한 기업 경영인이나 사회 지도층들이 비슷한 일을 하는 경우가 있다.
반대파에게는 서민 코스프레라고 욕을 먹을지언정 적절한 마케팅이 동반되면 이미지 개선에는 큰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이명박 전 대통령의 경우에는 전통시장에서 어묵 꼬치를 먹고 광고에서 국밥을 먹는 장면을 내보내면서 이미지 메이킹에 성공하였고 이는 대통령 당선에 적지 않은 역할을 한 바가 있다.
3. 방법
말 그대로 평범하고 일상적인 서민처럼 행동하면 된다. 시장에서 장을 보거나 길거리 음식을 먹고 상인 또는 장을 보러 온 사람들과 여러 이야기를 나누면 된다. 등산을 하면서 등산객과 이야기를 나누는 것,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도 방법 가운데 하나다. 서민의 실제 생활 공간에서 그들과 같은 행동을 하면서 이야기를 나누면 된다.
4. 문제점
정치인도 사람인 이상 서민과 비슷한 취향이나 사생활을 갖지 않는다는 법은 없다. 그렇지만 서민 코스프레라는 비아냥을 들을 정도면 그 이전에 알려진 생활상이나 언동이 전혀 서민과 맞지 않거나 반 서민적인 경우가 많다는 것이 문제인데. 즉 서민과 전혀 다른 삶을 살고 서민의 생각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며 이해할 생각도 없는 사람이 그저 표를 얻기 위해 서민과 친한 척한다는 것이다.
태어날 때 부터 금수저인 재벌 N세는 더욱 말할 것이 없으며 빵빵한 학벌 및 정치적인 노력 없이는 올라가기 어려운 고위직에 진출하는 사람들은 시간이 갈수록 금수저 비율이 커지고 있다. 정치인 역시 활동에 돈이 상당히 필요한 직업인 이상 어느 정도의 재력 없이는 하기 어렵다. 그게 아니더라도 정치인이나 대기업 총수 정도의 저명한 사회 지도층이 되면 사실상 서민의 삶과는 거리가 매우 멀어지게 된다.
매일 접하는 사람들이 비슷한 사람들 또는 자신의 명령으로 움직이는 아랫 사람들 뿐이 되며, 식사와 같을 일상과 취미 역시 이들과 맞춰질 수 밖에 없다. 처음부터 서민과 접점이 있을 수 없는 사람이 모이거나 서민 출신이더라도 점점 서민의 삶과 거리가 멀어질 수 밖에 없는 것이 이들의 현실이다. 수십년동안 승용차만 이용하던 사람이 매우 관심을 두고 따로 알아보지 않는 이상에는 버스 요금의 변화를 어찌 알 것인가? 정몽준하면 떠오르는 버스 요금 70원 드립도 재벌 2세 출신인 그의 입장에서 따져보면 탈 일이 없으니 모르는게 당연한 일이며, 이 일화는 정치인과 서민과의 채울 수 없는 간극을 보여주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다. 오히려 고시원 쪽방의 모습을 눈으로 보며 진심이 담긴 일종의 문화충격을 느낀 사진이 더 좋은 이미지로 각인되었다.
이처럼 출신, 그리고 과거에 했던 행동과 발언이 서민과 매우 거리가 먼 사람이 서민처럼 행동할 경우 그 진의를 의심할 수 밖에 없는 것은 당연하며, 그들이 서민처럼 행동한 것은 민생 행보나 서민과 가까워지려는 시도가 아닌 서민 코스프레로 평가절하 당하기 쉽다. 위의 이명박의 서민 마케팅 성공 사례도 이명박이나 노무현같은 정치인이 금수저 출신이 아닌 서민 출신이며 밑바닥에서 대기업 경영자와 유력 정치인까지 올라온 입지전적 인물이었고, 권력의 정점을 노릴 당시에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현재처럼 강하지 않았기에 가능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이와 달리 박근혜처럼 지명도는 높으나 성장과정이나 출신이 서민과 거리가 먼 것 역시 친서민 행보의 뒤에 붙는 서민 코스프레 논란에서 늘 자유롭지 못했다. 안철수가 서민 코스프레를 한 것처럼 적혀있었는데 안철수는 의사 부친을 두긴 했지만 어려서부터 지금까지 호화로운 생활을 한 적이 없으며 평범한 동네에서 평범하게 자랐다. 안철수 연구소도 돈을 빌려가며 경영했을 정도였다 이 정도면 꽤나 고생한 편이라고 봐야한다.
서민에 친근한 이미지를 구축했다고 해도 그것을 부정하는 행동이나 발언이 나온다면 종전의 이미지는 전부 서민 코스프레로 격하 당할 가능성도 커지는 만큼 한 번 좋은 이미지를 구축했다고 모든것이 끝나는 것 역시 아니다.
5. 관련 문서
[1] 이게 발전(?)하여 사원이나 인턴, 비정규직으로 낙하산 인사#s-3.2로 가서 몇개월 해보든가 하는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