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
[clearfix]
1. 개요
한국 최초로 창간된 경제신문이다. 당시 종합지의 경제면도 1개 정도에 그칠 정도로 경제 전문 보도를 찾아보기 어려웠지만, 서울경제는 24개면씩 경제 뉴스에 할애했다. 약칭은 '서경'.1980년 당시 전두환 정권의 언론 통폐합 정책에 따라 8년 동안 폐간됐으나 1988년 8월 1일 복간됐다.
매체의 성향 및 논조는 보수 우파. 특히 경제신문답게 시장보수 성향을 띤다.
유료부수는 2020년 ABC 공사 발표 기준으로 62,492부이다. 이는 국민일보와 비슷한 수준이다.
2020년 현재 직원 규모는 약 300여명(계열사 제외)이며 연 매출은 670억원 수준. 서울경제 레이디스 클래식, 증시대동제, 한국건축문화대상, 이달의과학인상 등의 행사를 주최해왔다.
2. 역사
1947년에 백상 장기영(당시 한국은행 조사부장) 등이 주도해서 세운 '서울경제연구회'를 모태로 하여 1960년 8월 1일 한국일보의 자매지로 창간되었다. 1969년에는 창간 9주년을 맞이해 별도 법인으로 독립하였다.
창간 이후 기자들이 공채 출신 경제전문기자인 덕에 여타 경제신문들에 비해 월등한 지면 내용으로 당시 경제계와 경제학도들 사이에서 우호적인 평가를 받았다. 특히 1970년대 경제성장기 때 서울경제는 당시 경제여론을 주도하던 언론 중 하나였고, 지식인 초청 좌담회 등을 통해 정부의 경제정책에 대한 비판을 가하기도 했다. 이로 인해 당시 서울경제에 기고한 학자나 교수들이 김학렬 당시 경제부총리 등 정부 인사에게 싫은 소리도 들었을 정도라고 한다. 또 광고를 낼 때 여타 경제신문보다 우선적으로 배정됨으로써 광고 단가도 높았다고 한다. 이 이유인지는 몰라도 1979년에 한 금융업체가 서울경제신문을 인수하려 했으나 거절당한 바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리즈시절은 언론통폐합에 따라 부실언론으로 낙인찍혀 끝나버렸다. 당시 사주인 장강재는 보안사에 끌려올 적 수사관의 일방적 명령에 서울경제신문이 폐간되어선 안 되는 이유를 들어 조목조목 반박하였으나, 이내 소용이 없었으며 결국 그는 신문사를 내놓을 수밖에 없었다.
당시 한 서울경제 기자의 말에 의하면, 11월 12일 폐간 소식을 들을 당시 회사 임직원들은 모두 믿을 수 없다며 망연자실하였다. 기자들 사이에 "이럴 수가 있느냐"고 분노했으나 저항할 엄두를 못 내자 이들은 '서울경제신문이 역사적 소명을 다하고 사라진다는 흔적'을 남기기 위해 폐간까지 남은 10여일 동안 2,000회 가까이 연재된 <재계회고>의 기고문을 한꺼번에 싣고 각종 특집을 준비하는 등으로 온 힘을 쏟았다. 그러나 계엄사에선 "종간이라 해서 흥분하면 검열을 통과할 수 없으니 평상시대로 해 달라"고 했기 때문에 기자들은 이들이 공들인 기사들이 다 잘릴까봐 우려를 더했다.[1]
다행히 마지막으로 1면에 실은 연재기사 <한국경제의 과제와 선택>은 통과가 되었다.[2] 이 내용은 "시대는 변한다. 그러나 진리는 변치 않는다."로 시작해 당시 언론이 처한 현실을 그대로 보여준 기사였다.
1980년 11월 25일자를 끝으로 서울경제는 사라지고 신군부로부터 어떠한 보상도 받지 못한 채 서울경제 임직원 3백여 명과 이들의 급여 및 퇴직금 등을 고스란히 떠안았고, 거기에 못 받은 신문지대와 광고료, 그리고 한국일보 전체의 신용도 추락으로 인한 광고와 매출 추락 등으로 인해 한국일보는 재정에 타격을 입었다.[3] 이후 8년의 공백기를 거쳐 1988년 8월1일 지령 6,391호로 복간했다. 복간 이후 1989년 1월 독립법인으로 등록했다, 1990년 3월에는 경제지 최초로 월요판 발행을 시작했다. 1992년 시작한 한국건축문화대상은 2018년 현재까지 27년째 이어오고 있다.
1999년 가로쓰기 전환 이후 10월 골프매거진 한국판, 2000년 5월 파퓰러사이언스 한국판 발행을 시작했으며 10월에 한국일보로부터 독립하였다. 2007년부터 서경 여자오픈 골프대회를 개최해오고 있다. 2008년 10월 경제전문 케이블방송 '서울경제TV SEN'을 개국했다. 2010년 서울포럼, 2011년 금융전략포럼, 2012년 성장기업포럼, 2013년 미래컨퍼런스, 2015년 에너지포럼 등을 연이어 개최했다.
2010년대 중후반 이후 미디어 환경이 급변함에 따라 대부분의 언론사가 먹거리 전환에 나섰는데, 서울경제 역시 2016년 디지털미디어센터를 설립하고, 2018년 블록체인 전문미디어 디센터(Decenter)를 창간하는 등 비슷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3. 기타
블룸버그의 한국 파트너사이다. 서울경제신문 본사와 서울경제TV 모두 해당.
과거 모회사였던 한국일보 재정상황이 어려워지자 서울경제의 돈을 가져다 쓰는 바람에 2007년에는 자본잠식 상태까지 간 적 있었다.이후 당시 한국일보 경영난을 원인으로 지목된 장재구 전 회장과 송사가 이어지고 있다.
한국경제신문이나 매일경제신문보다 훨씬 더 오래된 대한민국의 경제신문이지만 언론통폐합 이후 8년의 공백기 동안 한경과 매경에 뒤처졌다. 2000년대 초 인터넷언론의 개화기에 서울경제 출신들이 이데일리, 머니투데이 등 여러 온라인 경제 매체의 개국 공신으로 활약했다.
4. 지배 구조
5. 역대 임원
5.1. 회장
5.2. 이사회 의장
- 장재민 (2015~2016)
5.3. 대표이사 부회장
- 이종환 (2011~2014/2015~ )
5.4. 사장
- 장기영 (1960~1969)
- 신영수 (1969~1980)
- 장강재 (1980)
- 권혁승[4] (1988~1993)
- 김영렬 (1994~2002)
- 김서웅[5] (2002~2004)
- 이종승 (2004/2009~2011)
- 임종건 (2004~2009)
- 이종환 (2011/2014~2015)
- 김인영 (2011~2014)
5.5. 자매지
- 서울경제 GOLF 매거진
- 포춘코리아
- 파퓰러 사이언스
5.6. 산하 기관
- 백상경제연구원
5.7. 후원 대회
- 미래컨퍼런스
- 증시대동제
- 금융전략포럼
- 서경 레이디스 클래식
- 대한민국 상생 컨퍼런스
- CEO 초청특강
- 서울경제라운드테이블
- 일자리 희망포럼
- 에너지 전략포럼
- 달팽이 마라톤
5.8. 시상 제도
- 한국건축문화대상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 대한민국 베스트뱅커대상
- 대한민국 창업대상
- 서경 참보험인상
5.9. 자회사
[A] A B 2021년 1월 15일 기준[1] 그해 1월에 대출금리 기사를 실었다가 검열에서 잘리고 말았다.[2] 이렇게 된 것으로는 계엄사 쪽에서 종간하는 신문이니 그냥 봐준다는 얘기가 있었다.[3] 복간 이후 1990년에 한국일보 측은 서울경제 강제폐간에 대한 국가배상 신청을 냈으나, 공소시효 만료를 이유로 패소했다.[4] 이후 한국일보 상임고문,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위원장 역임.[5] 전 한국일보 논설실장. 이후 뉴시스 대표 역임. 2008년 11월 25일 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