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찬

 

  • 동명이인
1. 수호지의 등장인물.
2. 무협소설 천잠비룡포의 등장인물
3. 호접몽전의 등장인물
3.1. 능력


1. 수호지의 등장인물.


[image]
수호전의 등장인물
[image]
이름
선찬(宣贊)
별호
추군마(醜郡馬)
수호성
72 지살성 중 지걸성
무기
박도, 활
특이사항
군마

수호지의 등장인물.
별호는 추군마. 별호 자체가 ''못생긴'' 임금의 사위'라는 뜻이다. 묘사에 따르면 솥굽같은 시꺼먼 얼굴에 돼지코, 짧고 곱슬곱슬한 머리에 붉은 수염, 괴상한 눈을 가진 8척의 용모라고 한다, 뛰어난 무용으로 [1]부마가 되었으나, 공주가 그와 결혼을 꺼리다가 결혼하게 되자 남편으로 혐오하게 된 나머지 자살 하였다. 덕분에 한직에 머물러 있었다는 설정. 온달이 될 수도 있었으나 도둑떼로 들어간 케이스인 셈이다. 아군방어보의사로 북경대명부가 양산박에게 공격을 받고 있다는 소식에 채경이 대책이 없느냐고 하자 선찬이 관승을 추천하자 채경이 당장 관승을 데려오라고 하자 직접 가서 관승을 데리고 온다.
주특기는 큰 칼을 잘 쓰지만 왕에게 인정받은 무용은 궁술. '연주전'이라고 하는 기사술(말 위에서 활 쏘는 기술)이었다. 근데 정작 연주전을 한번도 작중에서 쓴적이 없다. 게다가 연주전을 쓰줄안다고 화영의 기사술을 2번이나 방어했는데. 선찬은 두번만 막다가 화영의 기사술에 겁을 먹어 퇴각하다가 화영이 선찬의 등판에 화살을 쏘고 선찬은 이에 아예 겁을 먹고 화살을 맞은 채로 관승의 진지로 도망간다.
개성은 강하지만 관승의 부장으로만 활약하다 보니 존재감은 그다지 없다. 선정규와 위정국과 싸울 때 학사문과 함께 붙잡혀 동경으로 압송되지만 고수산에서 이규,초정,포욱에게 구출되고 그들과 함께 능주를 공격한다. 장청과 싸울 때는 다른 사람은 몰라도 자신만은 돌멩이로 못 맞출 것이라고 큰 소리치다가 돌멩이로 '''입'''을 얻어맞았다. 방랍 토벌에 참전했는데 방랍의 부장 곽세광과 싸우다가 다리 아래로 떨어져 죽는다.
특이하게도 양산박 인물들이 모에화된 인물들 중에서 모에화가 되었지만 여자가 남자로봇으로 타는 모습으로 나온다.
수호전 천도 108성에서는 72/76/29 체력 86의 평범한 무뢰한. 그나마 기마대 특성이 적합이다.

2. 무협소설 천잠비룡포의 등장인물


참룡방 소속. 현재는 의협문 소속이다.
착안은 1 인듯하나 제반 설정은 판이하다. 다만 작중 추군마라 불리는 인물은 따로 있는걸 봐서 1 이 착안이긴 한듯.
별호는 흑산군사로, 별호대로 방편산을 사용한다. 7척의 방평산을 이용한 흑마산법은 아미파의 8척 불산(佛鏟)으로 펼치는 금정산법에 필적한다고 한다. 하지만 군사로서의 측면이 강한 편이라 다른 참룡방도에 비해 무공은 떨어지는 느낌이 강하다. 하지만 염라마신이 습격했을 때 호탕하게(...) 달려들기도 한다.
소마군우목과는 인연이 많은 편이라 한균전서의 필사주각본을 첫만남[2]에 주었고 후에는 흑산과 흑마산법 비급을 전해줘 거의 기명제자에 가깝다고 볼 수 있겠다. 후에 중원으로 진출한 우목과 재회하여 자신의 정식제자로 삼아 모든 것을 전수하기로 하고 의협문의 3군사 체제를 이루게 된다.
신마맹염라마신이 쳐들어 오는 바람에 맞서다 전사. 죽으면서 우목을 떠올렸다. 심장이 멈춘지 너무 오래되어 소연신도 손을 쓸 수 없었다.

3. 호접몽전의 등장인물


위원회의 지살성 멤버. 얼굴에 심한 화상을 입어 매우 흉측한 얼굴을 지닌 남자. 얼굴이 흉측해 늘 얼굴 전체를 덮는 두건을 쓴다. 화상은 네 살 때 당했다고 하며 치료비가 없어 방치한 결과라고 한다. 이 때문에 쓰레기 취급 받으며 지냈지만 끝까지 버리지 않은 주무나 지살위 형제들을 위해 행동한다.
견성 전투에서 첫 등장. 성에 잠입해 문을 열기 위해 천기를 써서 침입한다. 그러나 성문을 지키던 호거아에게 한도, 학사문이 당하자 자신이 몸을 던져 틈을 만들지만 황신은 호거아를 죽이지 못하고 노병들이 쏜 화살에 맞아 죽는다. 이에 분노하여 뼈를 묻을 각오로 호거아를 공격하지만 곧 호거아의 손에 잡아 죽기 직전까지 몰린다.
그런데 거기서 공간왜곡을 쓴 팽기가 여포와 함께 등장해 목숨을 건진다. 그리고 여포에게 이목이 쏠리자 성문을 혼자 연다. 하지만 그 대가로 등에 화살이 꽂혀 죽었고, 들어온 아군의 말발굽에 채여 시체가 엉망이 된다. 그 와중에도 웃는 얼굴을 하고 있었다.

3.1. 능력


야시안 夜視眼
추살시 追殺矢
야시안은 한밤중에 안개가 껴도 대낮처럼 볼 수 있는 천기다. 밤눈이 밝아지는 것뿐만 아니라 시력 또한 강화된다. 밤에만 쓸 수 있다. 추살시는 혀를 뾰족하게 모아 침을 뱉는 천기다. 이 침방울들은 소총보다 훨씬 빠르고 강하며 적중률도 높다고 한다.
[1] 송나라 황제가 아니라 그냥 '친왕'. 중국 왕조들의 황족들로 무협소설 같은 데 보면 '왕야'라고 호칭하는 그런 사람들이다.[2] 단운룡을 데리러 왔을 때 만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