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술
[image]
1. 개요
弓術
활과 화살을 이용한 무술로, 자제력, 결단성, 정서의 안정 등이 요구된다.
우리나라의 가장 큰 국궁관련 협회의 이름은 대한궁도협회이다. 사실 1983년까지는 대한궁도협회에서 양궁도 담당했다. 국궁은 크게 장궁과 단궁으로 나뉘고, 구조상으로는 환목궁과 복합궁으로 나뉜다.[1]
갖가지 썰에 의하면, '''거울처럼 흔들림 없는 물결과 같은 마음가짐을 가지고 있으면 맞히지 못할 것이 없느니라'''가 주요 포인트라 한다. 기병이 달려와도 활솜씨가 된다는 가정 하에 기병대가 아니라 기병 한기가 온다면 당연히(...) 충분히 상대할 수 있다.
2. 분류
- 궁도식 사법
- 궁도 - 일본의 전통 궁술
3. 역사
고대 사람들은 구석기 시대부터 일찍이 활과 화살을 만들어 사냥을 했고, 전쟁 때에는 무기로 사용하였다.
그러다가 총이 발명되면서부터는 무기로서보다는 스포츠나 레크리에이션의 한 가지로 궁도를 즐기게 되었으며, 오늘날에는 스포츠로서 대중에 보급되고 있다.
양궁이 스포츠화하기 시작한 것은 16세기 중엽에 영국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으며, 그 뒤 유럽과 아메리카 대륙으로 널리 보급되면서 발전하였다. 1931년 국제양궁연맹이 조직되어 유럽을 중심으로 국제 경기가 개최되었고, 1972 뮌헨 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한국은 1946년 국제양궁연맹에 가입하였고, 이후 꾸준히 국제 양궁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다.
여담으로 우리나라는 궁도(弓道)라는 표현보다는 궁술(弓術)이라는 표현이 주로 사용되었다. 궁도(弓道)라는 표현은 근대 일본에서 시작된 표현이다. 일본 또한 근대 이전에는 궁술이란 표현을 썼다. 하도 도가 붙는 단어가 많고 그럴듯 해보여서 전통 단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이 ㅇㅇ道 란 표현은 근대 일본의 유도에서 시작되어 널리 퍼지기 시작하였다. 찾아보면 고전 기록에 ㅇㅇ道 란 표현이 나오는 경우도 없지는 않지만 대부분의 경우 일반적으로 쓰이지 않았다.
한국식 전통 궁술은 과녁의 크기를 크게 해서라도 상당한 장거리 사격을 하도록 한다. 가까워도 과녁이 작으면 연습하는데는 그게 그거 아닌가 생각할 수 있지만, 중력의 영향, 바람의 영향, 종말속도까지 속도를 줄이는 공기저항 등 다른 점은 한두가지가 아니다. 최대한 실전에 가까운 훈련법으로 쏘는 것. 이는 조선궁술이 단순한 정신수양을 위한 도(道)가 아니라 엄연한 실전지향의 무술훈련에 기반한 영향도 크다. 예비군 훈련 때 칼빈 사격하면서 정신수양을 하는 경우(...)는 거의 없는 것을 떠올리면 이해가 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