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울 나이트/무기/기관총&저격총

 


1. 기관총
1.1. H20
1.2. 헤드기어 영웅의 기관총(Headgear Hero's Machine Gun)
1.3. AK-47
1.4. AK47 골드
1.5. UZI
1.6. 스노우 폭스 L(Snow Fox L)
1.7. 돌격 소총(Assault Rifle)
1.8. 기관총(Blaster)
1.9. 분열탄(Splitter Gun)
1.10. 마그마 기관총(Volcanic Blaster)
1.11. M4
1.12. 개조된 기관단총(Improved SMG)
1.13. MP5
1.14. 정밀 기관총(Fine Machine Gun)
1.15. 기관단총 M1(SMG M1)
1.16. 레드 드래곤 기관총(Red Dragon)
1.17. 흰 숨은 기관총(Bleach)
1.18. PKP
1.19. M14
1.20. 미니 UZI
1.21. 강력 분열자(Splitter Cannon)
1.22. 스노우 폭스 XL(Snow Fox XL)
1.23. 독가스 기관총(Gas Blaster)
1.24. 차세대 기관단총(Next-gen SMG)
1.25. 수호자 라이플(Guardian Rifle)
1.26. 기관단총 M2(SMG M2)
1.27. 기관단총 Helix(SMG Helix)
1.28. 적발 기관단총(Bouncing Assault Rifle)
1.29. RYB 돌격소총(RYB SMG))
1.30. 트림총(Burp Gun)
1.31. 올가미 총(Lasso Gun)
1.32. 스노우 폭스 XXL(Snow Fox XXL)
1.33. 돌격 로켓(Assault Rocket)
1.34. 돌격 소총 Pro(Assault Rifle Pro)
1.35. 차차세대 기관단총(Next-next-gen SMG)
1.36. 기관단총 M3(SMG M3)
1.37. 달콤한 말(Sweet Talk)
1.38. 돌격 소총 프로+(Assault Rifle Pro+)
1.39. 차차차세대 SMG[1](Next-next-next gen SMG)
1.40. 파이어 볼트(Firebolt)
1.41. 스노우 폭스 XXXL(Snow Fox XXXL)
1.42. SMG M4
1.43. 바이퍼(Viper)
1.44. 낡은 스노우 폭스(Snow Fox Vintage)
1.45. 수류탄 기관총(Grenade SMG)
1.46. 바르콜린 돌격소총(Varkolyn Assault Rifle)
2. 저격총
2.1. 일반 저격총(Sniper Rifle)
2.2. 오래된 저격총(Old Sniper)
2.3. 총검 소총(Bayonet Rifle)
2.4. 돌격 저격총(Assault Sniper Rifle)
2.5. 용광로(Furnace)
2.6. 빙하(Glacier)
2.7. EM 저격총(EM Sniper Rifle)
2.8. 오로라(Aurora)
2.9. 적발 저격 총(Bouncing Sniper Rifle)
2.10. 소울 칼리버(Soul Calibre)
2.11. 드래곤 형제의 저격총(Drangon Bros' Sniper Rifle)
2.12. 돈총(Money Gun)

게임 내에서는 모두 한 종류로 묶여있다. 하지만 단련의 용광로에 넣으면 저격총은 라이플, 기관총과는 따로 분류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공격속도 +100% 공격력 -50% 챌린지는 에너지가 매우 빨리 닳아 쓰기가 꺼려진다.
하지만 수류탄 발사기와 용암의 돌이나 독의 돌은 효율이 좋고, 더 좋아진다.

1. 기관총


1~2 데미지부터 권총 정도의 피해를 빠르게 연사시키는 것이 특징이지만, 연비가 안 좋은 무기가 많다.
수류탄 발사기, 번개의 돌, 화염의 돌, 에너지의 돌, 독의 돌 부속물과의 궁합이 좋다.
여담으로 현실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는데 실제로는 기관단총이 돌격소총에게 밀렸지만, 여기는 기관단총이 돌격소총을 압도한다.

1.1. H20


[image]
엔지니어의 기본무기이다. 차세대 기관단총 시리즈처럼 한번에 3발씩 발사하고 엔지니어 풀강 시 4발 발사한다.
1타당 데미지가 차세대 시리즈와 동일하지만 에너지 소비가 0이라는 점을 이용해 도적+멀티플레이(팀원 엔지니어, 만렙)[2][3], 신속 클립+콤보 피트 증가 특성을 이용해 0에너지 12데미지라는 좋은 화력을 뽑아낼 수 있다.
여담으로 만렙 H20 2개를 합치면 차세대 기관단총이 나오는것을 보아 차세대가 되기 전 현대의 무기인 듯 하다.

1.2. 헤드기어 영웅의 기관총(Headgear Hero's Machine Gun)


[image]
헤드기어 히어로의 전용 무기이다. 스노우 폭스 L과 모양이 같은 노란색 탄환을 발사한다.

1.3. AK-47


[image]
공격력
3
에너지
1
치명타율
12
탄퍼짐
10
효과
없음
재료
철광석 1+부품 2+목재 1
공격 속도는 적당하지만 집탄율이 약간 낮다.
다른 쓰레기 기관총과 비교하면 원탑이므로 초반에 잘 써먹을수 있다.
금색 물감을 뿌리면 아래의 AK-47골드가 된다.

1.4. AK47 골드


[image]
공격력
3/8
에너지
1
치명타율
12
탄퍼짐
0
재료

효과
근접 시 8데미지로 찌르며 넉백된다.
금색 도장한 AK-47이다. 총검이 달려있어 근접공격이 가능하다. 상자에선 나오지 않고 재련과 소원의 우물 등에서 얻을 수 있다.
에너지 효율이 나쁘지 않고 데미지 또한 그럭저럭하여 흰색 무기임에도 좋은 효율을 뽑아낸다.
기관총 중 유일한 근접 기관총이다.

1.5. UZI


[image]
공격력
2
에너지
0
치명타율
5
탄퍼짐
15
효과
없음
재료
철광석 2+부품 2
연사력은 좋지만 집탄율과 공격력 때문에 조금만 멀어도 제대로 화력이 나오지 않는다.

1.6. 스노우 폭스 L(Snow Fox L)


[image]
공격력
2
에너지
0
치명타율
5
탄퍼짐
10
효과
없음
재료
철광석 2+부품 2+목재 1
에너지가 닳지 않지만 쏘는 동안 이동속도가 감소되며 집탄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산탄 수 증가 특성의 영향을 받는다.[4]

1.7. 돌격 소총(Assault Rifle)


[image]
공격력
3
에너지
1
치명타율
10
탄퍼짐
10
효과
없음
재료
철광석 2+부품 2
구닥다리 권총과 같은 탄환을 빠르게 쏜다. 탄퍼짐이 심하다.

1.8. 기관총(Blaster)


[image]
공격력
3
에너지
1
치명타율
5
탄퍼짐
7
효과
없음
재료
철광석 1+부품 2+목재 1
무난한 쓰레기이다. [5]

1.9. 분열탄(Splitter Gun)


[image]
공격력
5
에너지
2
치명타율
5
탄퍼짐
0
효과
탄환이 어딘가에 충돌할 시 4개의 자탄으로 분열함
재료
철광석 2+부품 2
처음 발사되는 탄환이 무언가에 부딪힐 시 십자가 모양으로 탄환 4개가 퍼진다. 분열 전에는 5 대미지, 분열 후에는 2 대미지이지만 첫 탄환을 맞은 적은 무조건 작은 탄환을 하나 맞기 때문에 실제로는 7이라고 뜬다. 강력 분열자의 하위호환.

1.10. 마그마 기관총(Volcanic Blaster)


[image]
공격력
4
에너지
1
치명타율
0
탄퍼짐
5
효과
탄환이 일정 거리를 나아가면 4개의 자탄으로 분열함
재료
철광석 2+부품 2
공격력 4의 구형 탄환 하나를 쏜다. 탄환이 일정 거리 이상 가면 공격력 2의 탄환 4개로 쪼개진다. 적절히 거리를 맞춘다면 적에게 8의 대미지를 상당히 빠르게 박아넣을 수 있다. 이름과는 다르게 불 속성은 아니다.

1.11. M4


[image]
공격력
4
에너지
1
치명타율
-10
탄퍼짐
0
효과
없음
재료
철광석 6+부품 6

긴 밤을 비추는 빛 -지하실

바늘 같은 파란 탄환을 발사하는데 집탄율이 좋다. 연사속도도 엄청 빨라서 초반에 먹으면 쓸만한 무기. 대신 에너지도 쏘는 만큼 갈려나가서 에너지 관리를 해야한다.

1.12. 개조된 기관단총(Improved SMG)


[image]
공격력
3
에너지
2
치명타율
15
탄퍼짐
2
효과
2점사
재료
철광석 4+부품 4
에너지 2를 소모하여 탄환 3발을 점사한다. 연비가 좋지만 난사하면 에너지 수급이 힘들다. 모델은 FAMAS.

1.13. MP5


[image]
공격력
3
에너지
1
치명타율
5
탄퍼짐
5
효과
없음
재료
철광석 2+부품 2
무난한 성능을 가지고 있는 총. 하지만 별다른 효과도 없고 DPS도 영 아니기 때문에 딱 초반 무기 수준이다. 1-5보스까지는 무난하게 사용 가능.

1.14. 정밀 기관총(Fine Machine Gun)


[image]
공격력
2
에너지
2
치명타율
10
탄퍼짐
2
효과
탄을 > 모양으로 동시에 3개씩 발사
재료
철광석 6+부품 6
한번에 탄을 > 모양으로 3개씩 발사한다. 산탄 수 증가 특성 및 집탄율 특성을 받지 않고 에너지당 피해량이 3이라 흔해빠진 기관총들과 비슷한 가성비지만 연사속도가 빨라서 DPS는 의외로 높게 나온다.

1.15. 기관단총 M1(SMG M1)


[image]
공격력
3
에너지
1
치명타율
5
탄퍼짐
5
효과
없음
재료
철광석 2+부품 2
튜토리얼에 나오는 총. 초반에 무난하게 쓸 수 있다. 패치 전에는 평범하게 총알이 발사되었지만 총알이 일렁거리며 나아가게 바뀌었다.
2개를 합치면 기관단총 helix가 된다.

1.16. 레드 드래곤 기관총(Red Dragon)


[image]
공격력
3
에너지
1
치명타율
0
탄퍼짐
20
효과
연사하면 공격속도가 점점 빨라짐
연사하면 탄퍼짐이 점점 작아짐
재료
철광석 2+부품 2

멀리서 들리는 용의 포효가 가까워질수록 더 세진다 -지하실

발사 버튼을 누르고 있으면 연사 속도가 점점 빨라지는 기관총. 초반 집탄율과 연사력이 정말 쓰레기라 무조건 에너지를 많이 소모하게 유도하는데 비해 성능은 별로다. 그렇지만 흰 숨은 기관총의 데미지 감소가 보완되어 3-5까지도 갈 수 있는 무기.

1.17. 흰 숨은 기관총(Bleach)


[image]
공격력
5
에너지
1
치명타율
20
탄퍼짐
0
효과
연사하면 공격속도가 점점 빨라짐
16발 이상 연사하면 에너지 소모량이 0이 됨
연사하면 공격력이 점점 감소함(최소 2)
연사하면 탄퍼짐이 점점 커짐
재료
철광석 2+부품 2

높은 ROF로 매우 불안정한 MG -지하실[6]

처음에는 매우 느리게 연사하나 이후 점점 연사속도가 빨라지며 공격력이 줄어 16발째부터 대미지가 2까지 감소하고 연사속도는 게틀링 수준으로 높아지고 집탄율이 떨어지며 에너지 소모가 사라진다. 레드 드래곤 기관총과 상호호환으로, 주로 스킬 사용 시 에너지 소모가 극심한 기사와 잘 어울린다
공격력 +100% & 공속 -50% 챌린지에서 가장 좋고, 공속 +100% & 공격력 -50%에서도 에너지 소모가 적어 좋은 조합이라고 착각할 수 있으나, 공격력 절반이 되면 1대미지이거나 0대미지가 들어가는 기적이 발생한다.

1.18. PKP


[image]
공격력
3
에너지
1
치명타율
5
탄퍼짐
10
효과
연사하면 공격력이 4로 증가함
연사하면 공격속도가 점점 빨라짐
사용 중 플레이어 감속
재료
철광석 2+부품 2
총신이 길어서 벽 뒤에서 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직접 조준해야 된다. 꾹 누르고 있으면 연사력이 증가하고 공격력 또한 4로 증가한다. 기사 스킬을 사용하고 난사하면 2-5 보스들도 25초 내외로 녹아내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기사를 사용 중일 때 보이면 끝까지도 충분히 버틸만한 무기다. 물론 에너지 회복이 충분하다는 조건 하에 좋은 무기이다. 에너지 수급이 어렵다면 포기하자. 모델은 칼라시니코프 기관총.

1.19. M14


[image]
공격력
4
에너지
2
치명타율
-10
탄퍼짐
0
효과
없음
재료
철광석 1+부품 1

오로라의 흔적과 환각 -지하실

에너지 소비가 M4의 2배이지만 나머지는 M4와 같다. M4의 하위호환. 하지만 제작에 필요한 재료가 게임 내에서 손꼽히게 적은 무기이기 때문에 무한 에너지 챌린지가 있거나 성기사, 정령 등 에너지가 남아도는 캐릭터일 경우 쓸만하다.

1.20. 미니 UZI


[image]
공격력
1
에너지
0
치명타율
5
탄퍼짐
15
효과
없음
재료
철광석 2+부품 2
기관단총 m2와 같은 희고 작은 탄환을 발사한다. 기본 UZI 보다 연사가 2배 빠르지만 대신 대미지가 절반인 1이다. 로비의 보물상자에서 획득 가능. 0에너지 무기 중 게임 내 가장 빠른 공격속도를 보유한 덕분에[7] 무기 제작자에게서 확률형 부착물[8]을 얻으면 0에너지로 초당 30딜을 넘는 딜을 내뿜는 엄청난 괴물이 된다. 만일 공속 +100% 공격력 -50% 챌린지와 용암의 돌이 만나면.........
챌린지로 적 방어력 +1이 나오면 딜이 아예 박히지 않는 경이로운 모습을 볼 수 있다.

1.21. 강력 분열자(Splitter Cannon)


[image]
공격력
6
에너지
3
치명타율
10
탄퍼짐
0
효과
탄환이 어딘가에 충돌할 시 12개의 자탄으로 분열함
재료
철광석 3+부품 3
노란색 구형 탄환 한발을 쏘는데, 벽에 닿으면 작은 탄환 12개가 팔방향으로 쪼개져 나간다. 큰 탄환은 6, 작은 탄환은 3 대미지를 준다. 큰 몬스터일수록 탄환을 많이 맞아 관통이나 벽 반사 특성이 있으면 의외로 보스전에서 굉장한 화력을 낼 수 있다.
만약 치명타 시 관통 특성, 또는 부착물 '마법 탄환'이 있으면 치명타가 터질 때 한번 분열하고 적을 관통할 때마다 분열하며 벽에 닿을 때도 분열한다.
때문에 치명타 시 관통 특성을 기본 특성으로 갖고 있고 구르기로 치명타율을 높일 수 있는 도적에게 잘 어울리는 무기다.

1.22. 스노우 폭스 XL(Snow Fox XL)


[image]
공격력
2
에너지
1
치명타율
5
탄퍼짐
10
효과
없음
재료
철광석 3+부품 3
조합식
스노우 폭스 L 2개
파란색의 가는 탄환을 세로로 뭉쳐서 2발씩 발사한다. 산탄 수 증가 특성을 찍으면 3발 발사한다.

1.23. 독가스 기관총(Gas Blaster)


[image]
공격력
3
에너지
1
치명타율
6
탄퍼짐
8
효과
치명타 시 중독
공격속도
10회/초
재료
철광석 4+부품 4

바람처럼 빠르게 발사되며 치명적인 독가스로 완성됩니다. -지하실

녹색 탄환이 빠른 속도로 나간다. 연사력이 매우 빠르기에 기사의 스킬을 쓰고 갈기면 10초만에 에너지가 갈리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이름 그대로 치명타 시 독이 걸린다. 소형 원자로(-1)가 있으면 여기에 박는 것을 추천한다. 파괴광선과 외형이 똑같다.

1.24. 차세대 기관단총(Next-gen SMG)


[image]
공격력
3
에너지
1
치명타율
0
탄퍼짐
5
공격속도
2회/초
효과
3점사
사용 중 플레이어 감속
재료
철광석 3+부품 3
조합식
만랩 H20 2개

때가 왔다 -지하실

에너지 1을 소모하여 공격력 3짜리 탄환 3발을 점사한다. 연비가 굉장히 좋아 잡몹방이나 보스방에서 이 무기를 난사해도 에너지 걱정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DPS는 썩 좋은 편은 아니고 대부분의 상황에서 에너지가 딱히 모자란 것도 아니기에 끝까지 들고 가기는 조금 무리가 있다.
3발 다 세트로 한발 취급되기 때문에 풀 업글 도적[9]과 시너지가 좋다.
다만 높은 연비를 가진 페널티인지 화력 자체는 높지 않다.
디자인의 모티브는 크리스 벡터 기관단총이다. 단 이건 스턱이 더 길다.

1.25. 수호자 라이플(Guardian Rifle)


[image]
공격력
3
에너지
1
치명타율
12
탄퍼짐
2
효과
유도
재료
철광석 4+부품 4
마법사 조각상과 같은 보라색 탄환을 발사한다. 유도성이 있으며 일정 거리 이상 나가면 직진한다.

1.26. 기관단총 M2(SMG M2)


[image]
공격력
2
에너지
1
치명타율
45
탄퍼짐
10
공격속도
9회/초
효과
없음
재료
철광석 3+부품 3
흰색 탄환을 발사하는데 공격속도가 매우 빠르다.
공격력이 2라 별로일 거 같지만 치명타율이 캐릭터 기본 치명타 수치를 포함해 50이라고 가정하면 평균적인 발당 피해량은 3이고, 초당 9발이 나가므로 DPS가 27정도가 나온다고 볼 수 있다. 이 정도면 중반까지도 들고갈 수 있는 수준이다. 보스전에서도 괜찮은 효율을 보인다.
성기사, 흡혈귀로 발견했다면 에너지 걱정도 없겠다 들어주자.
도적과 함께 쓴다면 DPS가 2배 3배 뻥튀기 된다.
여담으로 아무 조합식도 없는 무기다. 기관단총 M1, 기관단총 M3의 합체에 아무 영향도 받지 않는다.

1.27. 기관단총 Helix(SMG Helix)


[image]
공격력
2
에너지
1
치명타율
15
탄퍼짐
0
효과
동시에 2개의 탄환을 나선형으로 발사
재료
철광석 3+부품 3
조합식
기관단총 M1 2개
탄환이 동시에 두 발씩 나선형으로 나간다. 공격속도 +100% 챌린지를 받고 무기를 쓰면 DNA(...)를 볼 수 있다.
1마나 4데미지라 도적이 써도 나쁘지 않다.

1.28. 적발 기관단총(Bouncing Assault Rifle)


[image]
공격력
3
에너지
1
치명타율
20
탄퍼짐
5
효과
벽에 1번 튕김
재료
철광석 3+부품 3
벽에 닿으면 튕기는 탄환을 발사한다. 성능은 무난. 플라즈마 독수리와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1에너지 3대미지짜리 흔해빠진 기관총들 중에서는 치명타율이 꽤 높은 편인데다 벽에 닿으면 튕기는 특징 덕에 흘리는 탄이 적어 초반에 사용하기 좋다.

1.29. RYB 돌격소총(RYB SMG))


[image]
공격력
3
에너지
1
치명타율
20
탄퍼짐
5
효과
3n+1번째 탄환은 치명타 시 화상
3n+3번째 탄환은 치명타 시 빙결
재료
철광석 3+부품 3
빨강, 노랑, 파랑 3가지 색의 총알을 한 번에 한개씩 차례대로 날린다. 치명타가 터지면 각각 화상, 기절, 빙결을 건다.
빙결 효과로 인해 가져갈만 한 총이다.

1.30. 트림총(Burp Gun)


[image]
맹인 미사일 배터리보다 심각할 정도의 집탄율을 가진 쓰레기 무기였지만 패치 후 파이어 볼트와 함께 위아래로 총알을 흩뿌리는 공격방식으로 바뀌었다.
관통 효과가 쏠쏠하며 파이어 볼트와 달리 벽 반사 특성도 적용돼서 의외로 강해졌다.
발번역이 심각한데 본명은 탄창이 드럼 탄창드럼총이다.
실제로도 너무 총알이 빨리 사라져서 바나나 탄창보다 더 많이 쏠 수 있게 한 구조다.

1.31. 올가미 총(Lasso Gun)


[image]
공격력
2
에너지
0
치명타율
0
탄퍼짐
10
재료
철광석 3+부품 3
UZI에 집탄율이 보정된 상위호환 버전. 쓰면서 이동하면 이동속도가 감소한다.[10]

1.32. 스노우 폭스 XXL(Snow Fox XXL)


[image]
공격력
2
에너지
2
치명타율
5
탄퍼짐
10
재료
철광석 5+부품 5
조합식
스노우 폭스 XL 2개
매 공격마다 총알이 3발씩 세로로 뭉쳐서 나가며 연사속도가 빠르다. 산탄 특성을 찍으면 4발씩 나간다. 산탄 증가와 집탄율 증가 정도를 찍었다면 일반 모드는 쉽게 클리어가 가능한 수준.
2.6.0 업데이트로 하늘색 등급으로 상향되었다.

1.33. 돌격 로켓(Assault Rocket)


[image]
공격력
3
에너지
1
치명타율
0
탄퍼짐
10
효과
폭발함, 치명타 시 화상
재료
철광석 5+부품 5
공격버튼을 누르고 있으면 로켓이 한발씩 빠른 속도로 계속 나간다. 로켓 무기는 화염 속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치명타가 터지면 화상 상태가 된다. 집탄율이 좋지 않아 잘 퍼지지만 빠른 연사와 화상으로 커버하는 무기. 유탄 피스톨의 상위호환이다.

1.34. 돌격 소총 Pro(Assault Rifle Pro)


[image]
공격력
3/6
에너지
1
치명타율
5
탄퍼짐
5
효과
4발 이상 연속으로 발사하다 중단 시 로켓 1개 발사
로켓: 유도, 폭발, 치명타 시 화상
재료
철광석 5+부품 5
조합식
돌격 소총 2개
4발 이상 연속으로 쏜 후 발사를 멈추면 유도성이 있는 공격력 6의 소형 로켓을 발사한다. 4발을 딱딱 끊어 쏠 수 있다면 추천하는 무기이다. 수류탄 기관총과 비교하면 DPS는 조금 낮으나 로켓이 유도[11]되고 드랍율도 꽤 높기 때문에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차징 시간 감소 특성을 찍으면 3발만 쏘고 발사를 멈춰도 유도탄이 나간다. 완전 자동 장치를 장착하면 자동으로 로켓까지 발사된다!

1.35. 차차세대 기관단총(Next-next-gen SMG)


[image]
공격력
2
에너지
2
치명타율
25
탄퍼짐
8
효과
5점사
사용 중 플레이어 감속
재료
철광석 1+부품 2+목재 1
조합식
차세대 기관단총 2개

총알 수를 늘리기 위해 플라즈마 압축을 사용하여 에너지를 크게 절약합니다. -지하실

풀히트 대미지는 10으로 준수한 편이지만 집탄율이 낮아 풀히트를 맞추기가 힘들다. 5발이 모두 한번 발사로 취급되어 도적의 경우라면 결전병기 수준으로 활용 가능하다.

1.36. 기관단총 M3(SMG M3)


[image]
공격력
4
에너지
1
치명타율
0
탄퍼짐
20
공격속도
10회/초
효과
없음
재료
철광석 4+부품 4
넓적한 탄환을 발사한다. 집탄율이 심히 낮다. 근데 공속은 빨라서 집탄율 증가없이 멀리 있는 적들을 향해 쏘면 적들은 멀쩡한데 에너지만 순삭되는 광경을 볼 것이다. 집탄율 특성과 조합해야 중거리에서 쓸만한 수준이 나오지만 탄퍼짐 문제만 빼면 DPS가 40에 이르는 엄청난 무기라서[12] 안심하고 적에게 붙을 수 있는 성기사가 쓰면 무식한 공격력을 그대로 퍼부어줄 수 있으며, 다른 캐릭터가 사용해도 우수한 성능을 보여줄 수 있다.
공격력 +100%, 공속 -50% 챌린지에서는 기사가 들면 좋은 성능을 보여준다.
두 개를 합치면 SMG M4가 된다.

1.37. 달콤한 말(Sweet Talk)


[image]
재료: 철광석 5개 + 부품 5개
에너지 소모 1에 데미지는 2로 약해 보이지만 연사력이 엄청나다. 스플래시 효과는 있지만 범위는 너무 좁아서 큰 의미는 없다. 이 총의 특징은 인게임에서 몇 안되는 인스턴트 방식의 원거리 무기로, 쏘면 반드시 맞기 때문에 탄환이 빗나가지 않는다 생각하면 딜 효율이 상당히 괜찮은 편이다. 총알만 피해주면서 공격키를 계속 누르고 있으면 웬만한 잡몹들은 알아서 처리된다.
무기 성능은 연사력이 빨라서 좋으나 이 무기 하나만 들고 가기엔 에너지 관리가 버겁다. 부속품 가우스 코일을 장착 시 일반 등급이라도 데미지가 대폭 상승한다.

1.38. 돌격 소총 프로+(Assault Rifle Pro+)


[image]
공격력
3/6
에너지
1
치명타율
5
탄퍼짐
5
효과
4발 이상 연속으로 발사하다 중단 시 로켓 2개 발사
로켓: 유도, 폭발, 치명타 시 화상
재료
철광석 7+부품 7+붉은색 마력 조각 1
조합식
돌격 소총 Pro 2개
돌격 소총 Pro와 비슷하지만 소형 로켓이 2발 나간다.
이 소총 또한 돌격 소총 Pro와 같이 차징 시간 감소 특성의 영향을 받는다. 산탄 수 증가 버프가 있으면 4발이 나가 매우 효율이 좋다. 역시 완전 자동 장치를 장착하면 효율이 극대화된다.
형태는 M4에 M203 그레네이드 련쳐를 장착한 모습과 같다.

1.39. 차차차세대 SMG[13](Next-next-next gen SMG)


[image]
공격력
2
에너지
4
치명타율
10
탄퍼짐
0
효과
2발이 동시에 나감
4점사[14]
재료
철광석 7+부품 7+녹색 마력 조각 2
조합식
차차세대 기관단총 2개[15]

암흑 에너지 코어로 가득 찬[16]

미래의 미래에서 -지하실

에너지 소모는 높지만 DPS가 높아 보스전이나 변종방에서 효율이 좋다. 다른 차세대 기관단총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이것 역시 도적과 시너지가 뛰어나다.[17]
벽 반사 특성 보유 시 '''4번 튕긴다!''' SMG M4도 동일.
두 개를 조합해 총알 대신 레이저를 발사하는 차차차차세대 SMG를 만들 수 있다.

1.40. 파이어 볼트(Firebolt)


[image]
원래는 초당 관통 유도탄 3발을 포크형 산탄으로 쏘는 샷건이었으나 현재는 패치되어 트림총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한다.
데미지도 매우 쏠쏠한데 유도 특성은 그대로라 현재도 쓸만한 무기다.
보라색 등급이며, 연사력이 좋아 에너지 소모가 약간 부담스럽다. 패치 이전에 사기였던 것을 생각하면 약한 너프다.
벽 반사 특성도 안받고 트림총보다 데미지가 1 낮아 이게 정녕 보라색 무기가 맞는지 의심이 드는 무기이다. 그나마 치명타율로 커버가 가능하다는 부분인게 다행.

1.41. 스노우 폭스 XXXL(Snow Fox XXXL)


[image]
공격력
2
에너지
3
치명타율
5
탄퍼짐
10
스노우 폭스 XXL에서 1발 더 추가되어 '''4발이 산탄으로 나간다!'''[18]
산탄 수 증가 특성을 받으면 1발 더 추가된다.[19]

1.42. SMG M4


[image]
조합식
기관단총 M3 2개
공전하는 3개의 탄환을 발사한다.
기관단총 치고 DPS가 개틀링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다. 대신 에너지 효율이 개틀링보다 좋지 않아 기사를 쓰면 이게 충전된 레일건인지 기관단총인지 헷갈릴 정도로 에너지가 녹는다.
개틀링보다 DPS는 낮지만 집탄율이 좋다.[20] 유틸성이 좋지만 데미지 관련 버프가 없어서[21] 풀특성이나 무특성이나 그럭저럭하다.
차차차세대 SMG와 동일하게 벽 반사 특성에 벽에 4번 튕긴다.[22] 상자에도 탄이 반사되도록 패치된 지금 상자에 총알 3개 중 1개만 부딪히면 제자리에서 공전하는 버그가 있다. 흡혈귀 2스에 빨아당겨진 후 스킬이 끝나도 이와 같은 일이 일어난다.
무한 에너지가 나왔다면 이 무기가 필승급이다.
단조 작업대에서 7 부품, 7 철광석으로 집탄률 좋은 '''DPS 60'''의 혜자스러운 재료 효율을 가진 무기다.

1.43. 바이퍼(Viper)


[image]
공격력
5
에너지
5
치명타율
25
탄퍼짐
0
조합식
초록 방울뱀 + 강력 분열자
공격 시 초록색 탄환이 하나 나가고 오브젝트에 충돌하면 여러 탄환으로 분열되어 적을 공격한다.
공격방식이 강력 분열자와 완전히 같지만 분열 탄환이 유도성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1.44. 낡은 스노우 폭스(Snow Fox Vintage)


[image]
공격력
4
에너지
3
치명타율
25
탄퍼짐
7
효과
3점사
재료
철광석 12+부품 12

내가 제일 부자 인 것 같아 ~ -지하실

노란 탄환 3발을 차례대로 쏜다. 에너지당 피해량이 4로 준수한데다 치명률이 높아 추천하는 무기. 집탄율 증가 특성을 찍으면 매우 좋은 성능을 보여준다. 공격속도 증가를 찍으면 일반 기관총 같은 연사가 가능해진다. 주황색 무기인 만큼 마지막까지 가져갈만 하다.
하지만 아무래도 있는 게 깡딜밖에 없는 무기인지라 빙결이나 관통 등의 효과가 있는 무기를 상대로는 밀리는 점이 있다.
여담으로 개발자 측에 의하면 이 무기의 외관은 황금이고 그것이 낡았다고 한다. 그 증거로 벛꽃 산탄총과 조합하지 않고 '''업그레이드 키트를 사용해도''' 스노우폭스 로즈골드를 만들 수 있다.

1.45. 수류탄 기관총(Grenade SMG)


[image]
공격력
3/12(로켓)
에너지
1
치명타율
18
탄퍼짐
3
효과
4발 이상 연속으로 발사하다 중단 시 로켓 1개 발사
로켓: 폭발, 치명타 시 화상
재료
철광석 8+부품 8+녹색 마력 조각 2+붉은색 마력 조각 1
조합식
돌격 소총 Pro + 로켓런쳐

있으면 당신은 1 인 군대 -지하실

5발 이상 연속으로 쏜 후 발사를 멈추면 대미지 12를 주는 로켓 미사일을 발사한다. 누르다가 타이밍을 잘 맞춰서 공격 버튼에서 손을 떼면 4발에 한 번씩 로켓을 발사할 수 있다. 로켓은 폭발 범위도 넓고 화상 대미지도 입히므로 잡몹 정리에도 유용하고, 보스전에서도 꽤 높은 DPS로 인해 피를 토하는 보스를 볼 수 있다. 자신이 타이밍을 잘 맞춰 쏜다면 끝까지 들고 가는게 좋다.

1.46. 바르콜린 돌격소총(Varkolyn Assault Rifle)


[image]
모드
기관단총
저격총
공격력
3
15
에너지
0
4
치명타율
25
?
탄퍼짐
8
효과
치명타 시 중독시킴
사용 중 플레이어 가속
재료
철광석 10+부품 10+녹색 마력 조각 2+보라색 마력 조각 2

VK[23]

에서 마케팅 승인을 받았는데 무엇을 기다리십니까? -지하실

소울 나이트 최초의 변형 무기. 평소에는 에너지 소모가 0인 기관총이라 난사하고 다닐 수 있다.
기관총인것 치고 치명타율이 높다. 아래의 저격모드를 위해 있는 것이겠지만 기관총 모드가 사기다 보니...
풀특성 데미지 계산식: 탄환 6 데미지 + 중독 피해 15 데미지 = 한 발당 최대 21 데미지.

변형 버튼을 누르면 접혀있던 총신이 펴지면서 데미지 15에 에너지 소모 4인 저격총으로 바뀐다.[24]
기관총과 저격총으로 변하는 것이나 독을 사용한다거나 이것을 보고 위도우메이커가 떠올랐다는 유저들이 많다.
풀특성 데미지 계산식: 탄환 30 데미지 + 중독 피해 15 데미지 = 한 발당 최대 45 데미지.

2. 저격총


연사속도가 느린 대신 한방한방이 강력한 총. 공격하면 대부분 치명타가 터진다. 정확도는 보통 최상이다.

2.1. 일반 저격총(Sniper Rifle)


[image]

믿거나 말거나, 총을 맞을 준비를하십시오! -지하실

초반 개꿀템. 흰색 무기 주제에 에너지 3에 치명타 시 20데미지를 박아버리는 혜자스러운 성능 덕에 초중반에서 거의 모든 몹을 한 방에 보내버릴 수 있다. 스테이지 진행 중 만나는 도적이 이 무기를 들고 있었다.[25]
무기 제작자가 주는 부속물 금색 물감을 칠하면 황금 저격총이 된다. 그 후 다시 업그레이드 키트와 조합하면 황금 저격총 프로가 된다.

2.2. 오래된 저격총(Old Sniper)


[image]
저격총에 에너지 소모가 두 배로 오른 완벽한 하위호환 무기.
그래도 에너지는 별로 안 잡아먹어서 쓸만하다.
도살자의 칼과 합체해 총검 소총을 만들 수 있다.

2.3. 총검 소총(Bayonet Rifle)


[image]
조합식
도살자의 칼 + 일반 저격총 or 오래된 저격총

제 2 차 세계 대전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지하실

일반 저격총과 비슷하지만 데미지가 2 높고 데미지 8의 찌르는 근접공격이 가능하다.
저격총 중 유일한 근접 저격총이다.

2.4. 돌격 저격총(Assault Sniper Rifle)


[image]
데미지 8의 노란색 탄환을 3번 발사한다. 차세대 시리즈처럼 에너지 1번 소비에 3번 발사가 아니라 1번 발사에 1번 소비, 그러니까 한 번에 총 9 에너지가 사용된다. 발사 사이에 딜레이가 꽤 길어 쏘다가 죽는 경우도 있다. 초중반까지는[26] 쓸만하지만 2스테이지 보스 스테이지부터는 탄막이 정신없이 날아오기에 발사 간 딜레이가 짜증을 유발한다.[27]

2.5. 용광로(Furnace)


[image]

모든 액체 - 뜨거운 불꽃 중에서 가장 강한것만 발사합니다. -지하실

화염 탄환을 쏘아 일정 확률로 적을 화상 상태로 만든다. 다른 저격총과는 달리 공격속도가 빠른 편이다. 에너지 소모도 적은 편이라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다. 모티브는 DMR로 추정된다. 현재는 데미지가 1 줄어 5가 되어서 에너지 효율이 살짝 떨어졌다. 빙하와 합치면 오로라가 된다.

2.6. 빙하(Glacier)


[image]

빙결 탄환이 장착된 저격총 -지하실

빙결 속성 탄환을 쏜다. 탄환이 기본적으로 적을 관통한다. 치명타 확률이 높은 저격총 특성상 운만 따라준다면 보스를 계속 얼리는 것도 가능하다. 용광로와 합치면 오로라가 된다.

2.7. EM 저격총(EM Sniper Rifle)


[image]
게임 내에서 유일하게 치명타 확률이 '''100%'''인 무기. 감전 속성인데 치명타 확률이 100%라 무조건 1+n마리를 때린다 생각하면 편하다. 감전 상태이상에 걸린 적을 공격하면 대상과 주의 적들에게 3대미지를 입힌다. 데미지는 다른 저격총보다 조금 낮지만 여러 마리를 때릴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특성상 공속이 빠른 기관총 계열과 궁합이 좋고, 연금술사나 로봇과 같이 도트딜이 들어가는 스킬을 가진 캐릭터와 같이 쓰면 스킬 틱당 n+3 데미지를 입혀 궁합이 매우 좋다 [28]

2.8. 오로라(Aurora)


[image]
조합식
용광로 + 빙하

조준한 대상은 짧은 빛의 섬광만 볼수있습니다. -지하실

파란 바늘 같은 탄환을 쏜다. M4와 같은 모양의 탄환이지만 공격력은 4배 차이. 공격하면 대부분 치명타가 터진다. 한 방으로 적들을 승천시키는 강력한 총. 대신 저격총답게 연사속도가 느리다. 관통이 기본으로 달려있다.

2.9. 적발 저격 총(Bouncing Sniper Rifle)


[image]
벽에 닿으면 최대 4번까지 반사되는 둥근 파란색 탄환을 발사한다. 도적과 함께 사용하면 치명타 시 20 데미지, 적 관통, 벽 반사로 필드를 쓸어버릴 수 있다. 하지만 보스전에서는 효율이 좋지 못하다. 맵 안의 벽에 붙어서 쏘면 벽을 관통한다.

2.10. 소울 칼리버(Soul Calibre)


[image]

학살의 동기 -지하실

여러모로 강력하고,[29] 그만큼 에너지 소비의 리스크가 큰 무기. 한 번 쏠 때마다 에너지가 9씩 닳지만, 치명타가 터지지 않아도 한방 대미지가 '''25'''이고, 기본 관통을 보유하고 있어서 거의 모든 잡몹을 일격에 정리가 가능하다. 치명타까지 터지면 대미지는 '''50'''으로 배로 뛰어 보스 상대로도 강력한 성능을 보인다. 다만 보스전에서는 에너지 수급이 힘들 수도 있으니 에너지가 거의 최대일 때 들어가는 것이 좋다. 사용하려면 사제 동상을 꼭 찾아보자. 한 대와 카레 방망이가 추가되기 전까지 공격력이 가장 높은 무기였다.
특히 벽 반사 특성을 찍은 소울 칼리버 일명 '벽팅소칼' 은 게임 내 최강 조합 중 하나로 꼽히는데, 기본 관통이라 시너지가 있고 잡몹방의 에너지 부담이 크게 줄어들며 발당 '''100'''의 데미지까지 가능해 3라운드 엘리트 몬스터를 한방에 보내고 최종보스를 1분만에 죽이는 등의 흉악한 성능을 보인다.[30]

2.11. 드래곤 형제의 저격총(Drangon Bros' Sniper Rifle)


[image]
바르콜린 돌격 소총에 이은 변형 무기. 보통 저격총보다 치명타 확률이 낮지만 쏘면 탄착점 주위를 화염지대로 만든다.
이 화염지대는 틱당 3의 데미지를 주고, 중첩이 가능하다. 가끔씩 추가로 화살표 모양의 공격력 3의 화염 유도탄환 3개를 쏘고 치명타 시 화염피해를 준다.[31]
화염 특성 보유 시 장판 틱 데미지가 4까지 올라가서 총 40 데미지를 준다. 유도탄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아래의 레이저 모드보다 기대 딜량이 높아 보스용으로 좋다.
풀특성 데미지 계산식: 장판 40 데미지 + 유도탄 9 데미지(치명타 18) + 화염피해 15 데미지 = 한 발당 최대 73 데미지.

바르콜린 돌격소총과 마찬가지로 장착하면 생기는 버튼을 탭하면 공격력 8, 에너지 소모 4의 화염 속성 레이저 무기로 바뀐다.[32]
1.9.7 패치로 광선 공격력이 12로 증가하였다. 원소 치명타 2배, 레이저 폭 증가[33], 벽 반사 특성이 적용된다.
저격 모드보다 한 방딜이 강해서 잡몹 전용으로 미친 성능을 보여준다.
하지만 5의 탄퍼짐이 존재하므로 집탄율/치명타율 증가 특성이 있다면 더욱 완벽해진다.
풀특성 데미지 계산식: 레이저 13 데미지(치명타 26) + 벽 반사 특성 5 데미지(치명타 10) + 화염피해 15 데미지 = 한 발당 최대 51 데미지.

2.12. 돈총(Money Gun)


[image]

미안하지만 동전은 왕이야, 베이비 -지하실

코인을 1~3중 랜덤으로 소모하여 탄환을 발사한다. 소모한 돈에 따라 발사되는 탄환이 달라진다.
1소모
2 데미지 동 코인 4 콤보 발사
2소모
3 데미지 은 코인 8 산탄 발사
3소모
36 데미지 금 코인 폭발
에너지를 소모하지 않으며 보스전에서만 쓰면 좋다.
1코인은 기본적으로 나온다. 시간이 지나면 2,3코인도 1코인으로 조금씩 차감된다.
2코인은 은 코인은 산탄으로 발사한다.
3코인의 데미지가 36 데미지에 폭발도 붙어있어 잡몹, 보스 가릴 것없이 좋은 효율을 자랑한다. 하지만 일정 확률로 나오는 탄환치고는 좀 약하다.
용병이나 암살자의 도플갱어는 코인을 마이너스까지 소모한다.
보스 러시에서는 코인수급이 어려워 사용하기 애매한 편.
[1] 이전 세대 기관단총과 다르게 영어로 쓰여있다.[2] 만렙 기본무기는 단조대에서 제작 불가능하기 때문에 멀티플레이로 하는 것이다.[3] 그러나 업그레이드 하지않은 기본무기 두개를 합치면 만랩 기본무기가 나온다.[4] 이 경우 탄환이 세로로 2발이 나가고 에너지 소모가 1이 되어 스노우 폭스 XL과 성능이 같아진다.[5] 명칭을 찾아봐도 없는걸 보아 발번역인듯 하다.[6] 이 총 영문 이름이 표백제다.[7] 현재 공격속도 1티어는 개틀링 시리즈다.[8] 유탄 발사기, 독의 돌, 용암의 돌 등[9] 구르기 후 치명타율 증가[10] 능력치가 스노우 폭스 L과 완전히 같다. 그냥 등급만 올라간 수준. 미니 uzi는 연사가 빨라서 상위호환이라고는 할 수 없다.[11] 다만 수류탄 기관총에 비하면 폭발 판정과 데미지는 비교하기 부끄러울 정도다...[12] 사실상 단발 최강 무기인 소울 칼리버(치명타율을 계산해보면 37.5)보다도 높은 수치이다.[13] 이전 세대 기관단총과 다르게 영어로 쓰여있다.[14] 총 8개의 탄환이 발사된다.[15] 도면이 있어야 제작 가능.[16] 설정상 미래에는 에너지가 넘쳐나는 듯 하다. 차세대, 차차세대까지 마나 걱정을 하다가 갑자기 에너지 소모가 4가 되었다.[17] 기사의 양손잡이로 쏘면 무한 에너지 챌린지도 못 버틴다.[18] 무려 개틀링의 산탄량과 같다![19] 단점이라면 마나소모가 크다[20] 그래서 개틀링 시리즈는 근접해야 폭딜이 나오지만 이 무기는 원거리에서도 가능하다. 개틀링보다 데미지는 약한데 '''에너지 소모가 1 더 높았다.'''결국 2 에너지로 패치되어 개틀링의 에너지 소모만 감당하면 돼서 좋아졌다.[21] 문제는 산탄총 산탄수 증가 특성도 안먹힌다.[22] 그래서 해당 특성 적용 시 방 전체를 휩쓸고 다녀서 3번만 쏴도 몇 개체가 녹아있다.[23] 바콜린의 줄임말로 추정[24] 원래는 공격 버튼을 더블탭하면 기관총/저격총 모드 전환이 되는 방식이었다. 드래곤 형제의 저격총과 동일.[25] 현재는 잭과 메리로 대체되었다.[26] 대충 2-3 ~ 2-4정도[27] 한 번 쏘고 무기 교체를 누르면 딜레이 없이 쏠 수 있으나... 이거 들고 3스테이지 가기는 어려우니 2스테이지에서 적절히 다른 무기로 바꿔주자.[28] 바콜린 지도자나 스켈레톤 왕 같은 잡몹 소환 보스들에게 좋다.[29] 감히 저격총 1대장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30] 다만 벽 반사 특성 적용 시 소소한 단점이 있는데 특성이 없을 땐 상자를 죄다 뚫어서 파괴할 수 있지만 특성을 찍으면 이상하게도 상자를 뚫는 대신 탄환이 튕기는(...) 현상이 있다. 하지만 어차피 상자는 근접무기에 손쉽게 부서지므로 의미 없는 단점이며, 오히려 상술한 벽튕소칼을 발동시키는 요소로 써먹을 수도 있다.[31] 아기 드래곤 형제 중 검은 용의 패턴처럼 잠깐 정지했다가 적이 있었던 위치로 빠르게 날아간다.[32] 원래는 공격 버튼을 더블탭하면 기관총/저격총 모드 전환이 되는 방식이었다. 바르콜린 돌격소총과 동일.[33] 공격 범위 증가 + 레이저 데미지 1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