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콜루 메흐메트 파샤
1. 개요
1506~1579.빼앗긴다는 것의 의미가 당신들과 우리 사이에 굉장한 차이가 있는 듯하오. 당신들에게서 왕국을 하나 빼앗으면 우리는 그대의 팔을 잘라낸 것과 같소. 당신들이 우리의 함대를 격퇴하더라도, 이는 그저 우리의 수염을 벤 것이나 다름없지. '''한 번 잘린 팔은 다시 자라지 않지만, 한 번 깎인 수염은 전보다 더 두껍게 올라오는 법이라오.'''
ㅡ 소콜루, 레판토 해전 후 베네치아 대사에게[1]
16세기 후반 오스만 제국의 재상(Vezir-i Azam, Sadrazam).
2. 생애
세르비아인[2] 이거나 세르비아 혈통의 보스니아인으로서, 데브시르메 제도로 징집되어 예니체리가 되었으며, 후에는 재상까지 올랐다[3] . 모국어인 세르비아어 외에도 오스만 투르크어, 아랍어, 페르시아어, 베네치아어, 라틴어 등을 구사할 수 있었다.
데브시르메로 징집되어 황궁에서 교육을 받는 동안 당시의 황제였던 쉴레이만 1세의 눈에 들었으며, 예니체리 군단의 일원으로서 모하치 전투와 1차 빈 공방전을 시작으로 쉴레이만이 친정한 여러 전투에 참가했다. 이 과정에서 여러 번 승진하여 1551년에는 여러 지방관직 중에서 가장 높은 루멜리아 대총독에 임명되었으며, 1555년에 부재상. 1565년에 마침내 재상에까지 올랐다. 한편 1559년에는 반란을 일으킨 황자 바예지드의 군을 격파하여 훗날 셀림 2세가 되는 셀림이 쉴레이만의 뒤를 이어받도록 만들었으며[4] , 이듬해에 쉴레이만이 현 헝가리의 시겟바르로 친정했을 때에도 수행했고 쉴레이만의 임종을 지키고 셀림 2세가 순조롭게 황위를 이어받는 과정을 주도했다.
셀림이 즉위한 이후로도 재상직을 유지했으며, 향락에 빠져 정사를 등한시하는 황제를 대신해 사실상 제국을 운영. 이때까지의 재상들 중에서 가장 강력한 힘을 휘둘렀다. 쉴레이만에게 총애를 받았다는 사실이 보여주듯이 정치적인 감각은 있는 인물이어서 제국을 현상유지하는 데 성공했으나, 뇌물을 상당히 밝히는 면이 있어서 고위 관직에 진출하기를 원하는 관료들은 일단 그에게 고액의 '선물' 부터 바쳐야 했다고도 전해진다. 다만 당시 베네치아령이었던 키프로스를 공략하는 일만은 반대하는 입장이었음에도 셀림 2세의 뜻을 받들어 추진해야 했으며, 그 결과 레판토 해전에서 오스만군이 패하는 일을 겪기도 했다. 이 밖에도 수마트라 원정이나 예멘 원정 등을 지시했으며, 수에즈 운하를 개통하려고도 시도했으나 실패로 그쳤다.
셀림 2세가 서거하고 그 아들인 무라드 3세가 즉위한 이후로도 재상직을 유지하며 합스부르크 제국 및 사파비 왕조와의 전쟁을 겪었으나 1579년에 암살로 생을 마쳤는데, 무라드 3세의 애첩이었던 사피예 술탄의 사주를 받은 예니체리 병사가 살해했라고도 하고 하사신파의 범행이라고도 하나 분명하지는 않다. 이후 오스만 제국에서는 황제의 모후나 애첩 등이 정권을 잡는 '여자 술탄 시대' 가 이어지며, 오스만 제국은 내부적으로 곪아가기 시작한다.
3. 메흐메트 파샤 다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비셰그라드(Вишеград / Višegrad)에 있는 메흐메트 파샤 다리(Most Mehmed-paše Sokolovića / Мост Мехмед-паше Соколовића)는 그가 말년에 오스만을 대표하는 건축가 미마르 시난을 불러 건설한 것으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이보 안드리치의 대표작인 '드리나 강의 다리' 에 등장하기도 하며, 제1차 세계 대전의 여파로 한번 파괴되었다가 복구되었으나 보스니아 전쟁 와중에 '침략자 터키인의 유산' 이라는 이유로 세르비아인 민병대에 의해 재차 훼손되었다. 이후 보스니아의 경제적 사정 때문에 그대로 방치되어 왔으나, 터키 정부의 지원으로 2010년에 복원되었다.
[1] 소콜루 본인은 베네치아와의 전쟁에 반대하는 입장이었는데, 부재상 중 하나로 해군 총사령관 직을 역임한 바 있었으며 정치적으로 사이가 좋지 않던 피얄레 파샤에게 상당한 공격을 받고 있던 와중에 꺼낸 말이다. 자신의 재상직을 유지하기 위해서라도 레판토에서 한 번 깨진 정도는 아무것도 아닌 것으로 묻어갈 필요가 있었는데, 그 때문에 베네치아 대사에게도 이렇게 강경하게 나가고 전투에서 가까스로 살아 돌아온 울루치 알리에게 함대를 즉시 재건하도록 시켰다.[2] 세르비아에서는 자국 출신이라고 가르친다.[3] 오스만 제국에서는 지방관에게 기본적으로 군사적인 재능을 요구했으며, 따라서 예니체리 출신이라도 국경 지방을 맡아 다스리는 지방관으로 부임하는 길이 얼마든지 열려 있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행정적으로도 유능하다는 평가를 받아내면 점점 더 중요한 지방으로 부임할 수 있었으며, 끝내는 중앙의 요직에 앉을 수 있었다.[4] 오스만 제국에서는 새로 황제가 된 자의 형제들이 모조리 몰살당하는 법이 있었는데, 당시 쉴레이만의 마음은 거의 셀림에게 기울고 있는 상태였다. 즉 바예지드의 입장에서는 앉아서 죽느니 발악이라도 해 보자는 것이었는데, 쉴레이만의 입장에서는 반란이 일어났으니 믿을 만한 관료를 보내 진압한 것이었겠지만 황위 계승 분쟁에 황자가 아닌 일개 관료가 끼어들어 처리하는 것은 처음 있는 일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