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제천
壽齊天
1. 개요
국악의 한 곡으로 향악에 속하는 대표적인 정악곡이다.
2. 상세
'수제천'은 아명으로, 원래 이름은 '정읍(井邑)'이다. 이름에서 볼 수 있듯이 백제가요인 정읍사를 노래하던 음악이었으나(연대는 남북국시대) 지금은 가사가 없는 관악합주로 연주한다.
또 다른 이름으로 빗가락 정읍(횡지정읍, 橫指井邑)이라고도 한다. '횡지(빗가락)'은 악학궤범에 나오는 조(調)의 이름으로 南이 기음(으뜸음)이 되는 계면조(단조)선율을 뜻한다. 따라서 악곡의 음계는 㑲-黃-太-姑-林의 남려계면조이다.[1] 장단은 6/3/3/6의 18박 장단으로 되어 있는데, 1분 30정간으로 박속이 느리고 박자의 길이도 신축성 있게 연주하기 때문에 리듬보다는 선율에 중점을 둔 악곡이다.(박자가 불규칙하다) 또 그만큼 연주자들의 호흡이 잘 맞아야 하는 곡이다.
특히 정악곡의 유명한 형식 중 하나인 연음 형식[2] 으로 되어 있어서 중학교나 고등학교 음악책에도 자주 소개된다.
편성은 관악 편성으로 향피리, 대금, 해금을 비롯하여 아쟁, 소금이 복수 편성되고 좌고와 장구, 박을 갖춘다.
같은 '정읍'이란 이름을 가진 음악으로 '동동(動動)'이라는 곡이 있는데, 수제천의 경우 횡지(빗가락)정읍으로 남려계면조인 반면 동동은 세가락 정읍(삼지정읍, 三指井邑)이라고 불린다. '삼지(세가락)' 역시 악학궤범에 나오는 조의 이름으로 林이 기음이 되는 계면조 선율이다. 악기 편성이나 여음은 두 곡이 같다고 대악후보에 전한다. 고려가요로서의 동동은 가사가 남아있는데, '아으 동동다리'라는 후렴구가 유명하다.
▲ 고려가요로서 '동동'의 원곡을 복원한 공연.
악상은 아주 웅장한 곡이라고 평할 수 있다. 처음 들으면 너무 느려서 졸릴지는 모르지만 자주 듣다 보면 특유의 기품과 장중함을 느낄 수 있는 정악곡 중의 명곡이다.
[1] 黃은 경과음으로 사용되는 경향이 있어 대부분이 㑲 太 姑 林의 4음음계로 많이 본다.[2] 피리가 음을 끌거나 쉬는 동안에 나머지 악기가 장식음을 넣는 형식. 자세한 사항은 국악 관련 정보 문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