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향대학교 부속 서울병원
[clearfix]
1. 개요
[image]
[image]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은1974년 성실, 봉사, 연구의 원훈 아래 하늘의 뜻을 받들어 인술을 펼쳐가는 고향마을을 만들어 가겠다는 인간사랑, 생명존중의 순천향(順天鄕) 정신으로 鄕雪 徐錫助 博士께서 개원했다. 우리나라 의료법인 1호이다.'''
설립자인 故 향설 서석조 박사(1921-1999)는 우리나라 신경과학 발전의 기틀을 마련한 주인공이며 한국을 대표하는 의료인의 한 분 이다. 1946년 일본 경도부립 의과대학 의학부를 졸업하고 1949년까지 서울대의대 내과 조교를 거쳐 미국 코넬의대에서 인턴과 내과 전공의를 마친 후 뉴욕 시립 벨부병원에서 신경내과를 전공했다. 이후 연세대의대, 가톨릭의대, 고려병원, 백병원을 거쳐 1974년 용산구 한남동에 순천향종합병원을 설립했다.
당시 국내 다른 대학병원 및 종합병원들이 놀라움을 표시할 정도로 최신식 시설과 장비를 갖춰 국내 병원의 고급화 및 현대화를 선도하였으며, 의료진 역시 대학병원 주임교수급의 명망 있는 의사를 영입하여 단숨에 국내 최고의 명성을 쌓아 갔다. 이후 순천향은 개원 4년만인 1978년 학교법인 동은학원(東隱學園)을 개설하고 순천향의대를 개교했다. 의사가 설립한 최초의 의학대학이며, 1990년 종합대학으로 승격해 명문사학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또한 1979년에는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개원에 이어 1982년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을 개원하였고, 2001년에는 첨단 의료시설과 장비를 갖춘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을 개원하여 현재는 순천향대학교 중앙의료원 산하4개 병원에서 3천 병상에 이르는 굴지의 의료기관으로 성장했다.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은 현재 32개 진료과에 730여 병상을 운영하고 있으며, 200여명의 전문 교수진을 포함하여 1,800여명의 교직원이 환자 진료와 연구, 교육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최근에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확대, 신포괄수가제 시범사업의 선도적 참여, 환자안전시스템 구축 등 정부정책을 적극 활용해 성장과 발전을 견인하고 있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는 적정 인력이 집중적으로 환자를 관리하기 때문에 직원은 물론, 환자와 보호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신포괄수가제 역시 환자의 부담을 크게 줄여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2018년 7월에는 소방안전관리 모범사업장에 선정된 것을 비롯해 소방훈련, 재난대응훈련, 환자안전 리더십라운딩, 환자인식시스템 도입 등을 통해 안전한 병원 문화를 정착시켜 나가고 있다. 2019년에는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의료질 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1-가’를 받았다. 의료 질과 환자안전, 의료전달체계, 공공성 평가 영역에서 전국 42개 상급종합병원을 포함한 337개 병원 중 7위에 해당하는 성적을 받은 것이다.
4년 연속 의료 질 평가 1등급을 받은 순천향대서울병원은 2018년에는 상급종합병원을 포함한 평가 대상 322개 기관 중 12위를 기록한 바 있다. 또한 그동안 유방암, 위암 등 주요 암 질환 평가에서 1등급, 중증질환자 및 희귀난치질환자의 구성비가 월등히 높고 경증질환자는 회송을 잘하는 병원, 간호등급 1등급, 3년 이상 경력 간호사의 비율을 높게 유지하는 등 수준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18년 응급의료기관평가에서는 1등급(서울 1위, 전국 2위)을 받았고, 2019년에도 지역응급의료기관 평가에서 A등급을 받아 안전한 병원, 고품질 진료, 고객만족 진료를 구현하고 있다. 중환자실과 신생아중환자실의 간호등급을 1등급으로 상향 유지함으로써의료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고 있다. 의료전달체계 확립을 위해서는 진료협력센터를 활성화하여 1천여개 협력병의원을 포함한 1,2차 의료기관과 진료의뢰 및 회신, 회송(전원)을 통해 긴밀한 협력을 유지하고 있다. EMR정보와 전화 기능을 통합한 CTI(Computer Telephony Intergration) 시스템을 적용, 진료의료기관의 정보를 확인하는 시간을 단축해 최상의 진료협력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은 선도적인 정부 정책 참여와 혁신적인 노력으로 성장과 발전을 지속하고 있으며, 환자와 직원 모두가 만족하고 함께 성장하는 ‘고 하이어(Go Higher)’ 정신으로 최고의 병원, 강한 병원으로 거듭나고 있다.
2. 연혁
- 1972년 12월 12일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657번지에 순천향 병원건립부지 확보
- 1973년 4월 3일 : 지하2층, 지상8층, 옥탑2층, 연건평 3,300평, 250병상 규모의 본관 신축공사 착공
- 1973년 12월 27일 : 보건사회부로부터 의료법인(순천의료재단) 설립허가
- 1974년 5월 6일 : 본관 준공 및 진료 개시
- 1974년 7월 6일 : 순천향병원 개원식
- 1976년 3월 2일 : 산업의학 연구실 설치
- 1977년 6월 10일 : 암 연구소 설치
- 1977년 6월 18일 : 지하1층, 지상8층, 연건평 2,800평, 200병상 규모의 별관 병동증축 기공
- 1978년 1월 14일 : 문교부로부터 학교법인 동은학원 설립 및 순천향의과대학 설립인가
- 1978년 1월 16일 : 의료법인 순천의료재단 해산
- 1978년 2월 1일 : 순천향 중앙의료원 기구 설치
- 1978년 2월 23일 : 순천향 의과대학 부속 순천향병원으로 개칭
- 1978년 12월 28일 : 별관병동 준공
- 1979년 5월 4일 : 보건사회부로부터 의료법인 동은의료재단 설립 허가
- 1981년 5월 6일 : 지하1층, 지상3층, 연건평 340평 규모의 학생 강의실 및 외래진료실 신관 증축 기공
- 1981년 11월 9일 : 신관 준공
- 1982년 12월 1일 : 흉부외과 설치
- 1983년 11월 19일 : 지하1층, 지상6층, 연건평 2,100평 규모의 한국모자보건센터 기공
- 1985년 3월 20일 : 지하1층, 지상3층, 옥탑1층, 연건평 586평 규모의 임상교육관 기공
- 1985년 5월 1일 : 치료방사선과 설치
- 1985년 7월 12일 : 모자보건센터 준공 및 개원식
- 1985년 9월 17일 : 임상교육관 준공
- 1985년 10월 2일 : 순천향대학병원으로 개칭 (허가병상 650병상)
- 1985년 12월 1일 : 성인병연구소, 종합건강진단센터 발족
- 1990년 9월 10일 : 부속병원 기구개편으로 각부제도 신설
- 1992년 5월 27일 :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으로 명칭 변경
- 1997년 7월 4일 : 향설교육관 준공 연건평 2,706평 규모
- 1998년 3월 27일 : 소화기병센터 개소
- 1998년 7월 6일 : 종합건강진단센터 “종합건강증진센터”로 명칭 변경
- 1999년 2월 1일 : 외국인 진료소 개소
- 1999년 10월 15일 : 순천향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심장센터 개소
- 2000년 3월 25일 : 무수혈 센터 개소
- 2000년 4월 1일 : Q.I(Quality Improvement)실 설치
- 2000년 7월 21일 : 순천향 - 코리아나 피부과학 연구소 개소
- 2003년 3월 1일 : 신경통증센터 개소
- 2004년 4월 9일 : 관절경센터 및 척추센터 개소
- 2004년 5월 25일 : 순천향대학교병원 장례식장 개장식 거행(연건평 758평, 지하1층, 지상5층)
- 2004년 11월 5일 : 줄기세포치료센터 개소
- 2005년 12월 1일 : 순천향대학교병원 새 HI선포
- 2006년 5월 8일 : 응급의학과 신설
- 2006년 5월 19일 : 소아과 “소아알레르기호흡기센터” 개소
- 2006년 9월 : 신경과 수면의학센터 개설(수면 다윈검사 실시)
- 2008년 8월 29일 : 사이버나이프센터 개소
- 2009년 9월 18일 : 순천향의학연구동 개소(46실 64명)
- 2011년 1월 31일 : 소화기암센터 오픈
- 2012년 9월 27일 : 신관 그랜드 오픈 (안이비인후센터, 건강증진센터, 통합의학연구소, 병리과, 전공의 숙소/열람실, 청원홀, 회의실 등)
- 2013년 4월 30일 : MRI 128채널 CT 가동
- 2013년 5월 20일 : 외과 주말수술센터 오픈
- 2013년 7월 12일 : 첨단 방사선 암치료기 '인피니티' 가동
- 2014년 4월 13일 : 심혈관센터 리모델링 완료
- 2015년 4월 2일 : 순천향 100년을 향한 기원문 봉헌
- 2015년 11월 1일 : 차세대통합의료정보 시스템 오픈
- 2016년 8월 31일 : 핵의학검사실 그랜드 오픈(서별관 1층) (최신형 PET-CT, SPECT-CT, 감마카메라 가동)
- 2017년 7월 11일 : 첨단로봇수술기 다빈치Xi 및 테이블모션테크놀로지 가동
- 2018년 8월 1일 : 신포괄수가제 시범사업 실시
- 2019년 8월 20일 : 보건복지부 의료질평가 최상위 등급(1-가) 획득
- 2020년 1월 29일 : 이현옥홀 오픈(구 CEO강의실)
- 2020년 3월 1일 : 핵의학과 개설(초대 과장 박수빈 교수)
- 2020년 11월 11일 : 인체유래물은행 개소
3. 진료과목
- 가정의학과
- 감염내과
- 관절류마티스내과
- 내분비대사내과
- 마취통증의학과
- 방사선종양학과
- 병리과
- 비뇨의학과
- 산부인과
- 성형외과
- 소아청소년과
- 소화기내과
- 신경과
- 신경외과
- 신경통증센터
- 신장내과
- 심장내과
- 안과
- 영상의학과
- 외과
- 응급의학과
- 이비인후과
- 재활의학과
- 정신건강의학과
- 정형외과
- 종양혈액내과
- 직업환경의학과
- 진단검사의학과
- 치과
- 피부과
- 핵의학과
- 호흡기알레르기내과
- 흉부외과
4. 오시는길
[image]
4.1. 버스
[ 버스 목록 ]
4.2. 도시철도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