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 버스 G8110
1. 노선 정보
2. 개요
대원버스에서 운행 중인 정자역과 서울 종로를 잇는 직행좌석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7.2km다. 전체 정류장 목록은 여기로.
3. 역사
- 2015년 5월 11일에 간선급행버스 8110번으로 신설되었다. 개통 당시에는 대원버스내 기사가 부족한 관계로 경기고속이 잠시 공동배차 하였으며, 대원버스에서 기사를 충원한 뒤 차량 면허를 광주시에서 성남시로 이관하고 철수했다.
- 2017년 8월 4일부터 8110번 차량이 경기도 급행(당시 굿모닝 급행)버스로 도색되고 G8110번으로 스티킹한 버스가 운행하기 시작했다. 작업 기간 동안 8110번 행선스티커를 테이프로 떡칠해 붙여놓은 로얄럭셔리가 임시로 투입되었다. 관련 게시물 2주 뒤 재도색이 완료되었다.
- 재도색 완료 이후 바로 노선번호가 G8110번으로 바뀌지는 않았다가, 2017년 9월 23일에 노선번호가 바뀐 것이 확인되었다. 네이버 지도에서는 2017년 10월 27일에 반영되었다.
4. 특징
신설 당시에는 간선급행버스였으며, 8100번보다 정류장 개수가 적은 것을 두고 광역급행버스 같다고 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하지만 간선급행버스의 정의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원래 간선급행버스는 정류장 수가 적다.[1] 말하자면 간선급행버스의 기본에 충실한 노선이다.
광역급행버스 M4102와 8100번의 과수요를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신설되었다.[2][3] 단, 서울역쪽으로는 커버가 안 되니 이 노선을 타고 서울역 갈 생각이라면 서울백병원, 평화방송 정류장에서 서울역으로 가는 노선들로 환승해야 한다.[4]
분당 ~ 서울 종로를 잇는 수많은 노선들 중에 이 노선만 '수내역.롯데백화점' 정류장에 정차한다.[5] M버스가 정자역에서 수내역을 거치지 않고[6] 바로 서현역으로 가는 것에 대해 민원이 많았던 것을 이 노선으로 해결한 셈이다.
종로에서 승차할 경우 승차 방향에 주의해야 한다. 우리은행종로지점부터 종로2가(삼일교) 구간은 서울 도심으로 들어오는 광역버스 노선들과 승차방향이 완전히 반대다.[7]
그리고 구미동차고지 회송목적으로 오리역~아데나펠리스 구간에서 무정차 통과하는 모습이 종종 보인다.[8] 그런데 어째서인지 GBIS에는 운중동영업소 소속이라고 뜬다. 하지만 현재는 죽전영업소에서 주박을 하는 모습이 확인되었다. 일부 버스는 정자동 주택전시관 앞 주차장에 주차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9]
2017년 7월 6일 SBS 파워FM 배성재의 TEN에 프리선언 에서 8110번 버스 이야기가 언급되었다.
과거 남산1호터널 요금소 높이로 인해 2층버스 투입이 불가능하였고, 현재는 요금소 높이가 높아져서 2층버스 진입이 가능해졌지만 아직까지 소식은 없다. 운행거리가 긴 편이 아니기 때문에 출퇴근시간에는 좌석수를 늘리기보다 배차간격을 최소화하는 것[10] 이 승객 편의성에 여러모로 유리하고, 운행경로상 G8110번이 아니더라도 유사 대체노선들이 잘 갖추어져 있어서 2층버스를 넣어봤자 수요를 더 끌어올 방법이 딱히 없다는 점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심야시간에는 이 노선 차량 중 8대가 반디1번, 반디2번으로 차출된다.반디2번은 원래 102번 차량으로 운행했으나 2020년 11월 공공버스 전환으로 용인시로 바뀌어서 투입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2020년 발생된 코로나19 초기에 잠시 7대까지 감차된 적이 있었으나, 이 노선은 3월 이후 운송수입금이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코로나 감차 기간동안 반대로 1~2대씩 다시 증차되었던 바 있다. 이후 10월 5일부터 기존 인가대수 12대에 3대를 더한 '''15대'''로, 증감차 변동 없는 정상운행을 실시한다.
'''기본요금제''' 노선이다.
4.1. 투입 차종
현재 G8110에 투입되는 차량은 전 차량 FXⅡ116 전비형/전중비형이며, 전중비형 차량들은 전부 뒷문을 막아서 뒷문을 사용할 수 없다.[11]
M4102에서 차출 된 차량일 경우, M버스 형태의 빈자리 표시기 유무로 구별할 수 있다.[12]
4.2. 일평균 승차량
- 원 출처는 경기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하였다.
- 경기도 자료는 연간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아 매년 3월을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 현금승차량은 집계되지 않았으며, 데이터 누락이나 오류로 인해 실제 승차량보다는 낮게 집계되니 단순 참고용으로만 확인하기 바람.
5. 연계 철도역
- [image] 수도권 전철 1호선: 종각역[13]
- [image] 서울 지하철 2호선: 을지로입구역[14]
- [image] 수도권 전철 경강선: 판교역
- [image]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서현역, 수내역, 정자역
- [image] 신분당선: 판교역, 정자역
6. 둘러보기
[1] 애초에 광역급행버스가 간선급행버스에서 파생되었다.[2] 이 때문에 출퇴근 시간과 평시, 휴일의 배차 상태가 각각 확연히 다르다.[3] 개통 이후 지속적인 증차로 인해, 현재는 출퇴근 시간 기준으로 M4102보다 G8110의 배차가 더 좋은 상태이다.[4] 단, 이 정류장은 서울 광교와 을지로를 통해서 운행되는 노선들만 정차한다. (경남여객 제외)[5] 이 노선이 생기기 전까지는 이미 입석까지 가득 들어찬 채로 분당구청 옆쪽에 서는 8100번에 의지해야만 했다.[6] 정류장 앞을 지나기는 하나, 인가를 받지 않아 무정차 통과한다.[7] 우리은행종로지점에는 9000, 9401번이 정차하는데, 판교나 서현역을 가는 것이라면 G8110번을 타는게 빠르다.[8] 새벽/심야시간대에는 521번 버스도 구미동차고지/서현역으로 회송을 한다[9] 특히 평일 출퇴근 집중배차 시간에는 이 대기장소에 G8110 차량들이 순번대로 줄지어 대기하면서 '''2~5분마다 한 대씩''' 출발한다.[10] 굿모닝버스(現 경기도 급행버스)가 처음 도입되었을 때의 목표가 ''''2분 배차 실현''''이었다. 실제로 아침 7시대에 실시간 정보를 확인하면 이 노선의 차량들 몇 대가 2~4분 정도의 배차간격으로 붙어서 운행하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11] 그러나 최근에 유니버스 프라임 신차가 들어와 전챠량 대우버스 라는 기록이 깨졌다.[12] 현재는 전 차량의 빈자리 표시기가 M버스 형태로 변경되었다.[13] 우리은행 종로지점 하차 후 도보 3분[14] 우리은행 종로지점 하차 후 도보 1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