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텔러바다소

 

[image]
'''스텔러바다소'''
Steller's sea cow
이명: 스텔러해우
''' ''Hydrodamalis gigas'' ''' Zimmermann, 1780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바다소목(Sirenia)

듀공과(Dugongidae)
아과
†스텔러바다소아과(Hydrodamalinae)

†스텔러바다소속(''Hydrodamalis'')
''''''
†'''스텔러바다소'''(''H. gigas'')
1. 개요
2. 발견과 멸종
3. 기타


1. 개요


[image]
게오르크 빌헬름 스텔러(Georg Wilhelm Steller)가 남긴 (어쩌면) 최초의 스텔러바다소의 삽화. 1743년도에 그려졌으며, 이후의 복원도는 대체로 이 그림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image]
모형으로 제작된 복원도.
[image]
키 180cm의 사람과의 크기 비교도.
북극 지방에 살았던 해우류의 일종이자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생물은 인간이라는 사실을 증명해주며 사라진 종. 매너티보다는 듀공과 더 가깝다고 한다.[1]
빙하기 때 등장해서 번성했던 생물로, 빙하기가 끝나고 간빙기가 시작된 이후 개체수가 크게 감소했다. 18세기 인간들에게 그 존재가 알려졌을 당시에 이미 북극과 알래스카 연안에 수천여 마리만 남아있었다고 알려져 있으며, 매너티, 듀공과 비슷한 생물이지만 덩치는 훨씬 컸다.[2] 해초를 뜯어먹고 살았던 것으로 추측되며, 지극히 온순한 생물이었다.

2. 발견과 멸종


1741년에 러시아령인 캄차카 반도 근해의 베링 해 근처 코만도르스키예 제도를 탐험하던 자연학자 게오르크 스텔러 휘하의 북극 탐험대가 조난당했을 때, 식량이 떨어진 나머지 스텔러바다소를 발견하고 사냥했는데. 고기가 굉장히 맛있었으며[3] 지방은 연료로 쓸 수 있어서 살아남을 수 있었다고 기록했다.
문제는 바로 그 다음부터였다. 탐험대가 돌아와 스텔러바다소에 대한 보고를 하자, 북극해를 탐험하는 배들이 이 섬에 와서는 식량으로 삼으려고 남획하기 시작했다. 상술했듯이 지극히 온순해서 사냥꾼들에게 반격을 가하지도 않았기 때문에 굉장히 쉽게 잡을 수 있었다고 하며, 동료애가 깊어서 암컷이나 새끼가 상처를 입으면 많은 수컷들이 주변에 모여들어 보호하려 했는데 그것이 오히려 더욱 빨리 멸종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이후 스텔러의 옛동료이자 박물학자 이반 포포프라는 사람이 섬에 도착하지만 다른 동물들은 없고 마지막 2~3마리만 있자 화가 나서 너흰 돈이 안 된다고 외치며 그들을 사냥하면서 멸종되었다. 그는 화가 나서 그 남은 개체들을 죽인 것에 대해 후회했다고 한다. 물론 그렇게 적은 개체수로는 살려보낸다 해도 아무런 의미가 없다.
결국 스텔러바다소는 스텔러 탐험대의 눈에 띈 지 27년도 되지 않아 멸종하고 만다. 이와 비슷한 사례로는 도도, 코끼리새, 큰바다오리 등이 있으며, 결과론적인 이야기지만 고기가 맛이 없었더라면 조난된 탐험대가 생존을 위해 잡아먹을지언정 멸종은 피할 수 있었을지도 모를 일이다. 실제로 펭귄의 경우에는 남극에 간 탐험대가 생존을 위해 잡아먹었지만 식감이 마치 텐트 천을 씹는 것 같다는 증언이 나온 탓에 이후 식용으로 사냥당하지 않았다. 도움글
이후 이전에 살던 지역 근처 바다에서 간간히 어부들에게 목격담이 전해지고 있으나 신빙성은 낮은 편. 근연종인 매너티나 듀공은 추운 지역에 살지 않기 때문에, 고래나 물개, 바다코끼리 따위를 착각했을 가능성이 크다.
스텔러바다소가 발견됐을 때 이미 멸종해가는 중이었다는 주장이 있는데, 원주민들이 해달을 전부 잡아버려서 해달의 주식인 성게가 불어나 스텔러바다소의 먹이가 되는 해조류를 사정없이 먹어치웠고 그에 따라 먹이가 줄어 수가 감소했다는 것. 하지만 유럽인들이 모피를 노리고 해달 사냥에 나서기 전까지 북태평양에 해달이 없기는커녕 오히려 바글거렸기 때문에, 신빙성이 낮다.

특이하게도 이빨과 발가락이 없는데, 그 대신 각질의 치판이 있어 이것으로 먹이를 씹었다고 한다.
2017년 11월, 18세기에 멸종된 스텔러바다소의 화석이 발견됐다. #

3. 기타


여러가지 면에서 웹툰 덴마에 등장하는 피기어의 모티브가 된 생물들 중 하나로 추정된다. 피기어도 서식하는 행성에선 맛없는 고기로 취급되지만 외행성에선 맛있는 미식용 고기로 간주되며, 암컷과 새끼들이 위기에 처하면 많은 수컷들이 몰려와 보호하려는 모습을 보인다.
스타더스트 메모리즈의 저자 호시노 유키노부의 만화 <멸망한 짐승들의 바다>의 한 챕터에선 소련의 폐허가 된 생체실험 연구소에서 극소수 살아남은 개체를 잡아 식량 증산을 목적으로 유전자 조작해 거대 돌연변이화된[4] 육식성 스텔러바다소 가족이 살고 있다가 주인공 일행이 연구소에 표류하자 다섯 명 중 셋을 죽인다. 주인공 선장과 과학자, 두 명의 필사의 탈출끝에 해우 하나가 불에 타 다치자 새끼와 다른 해우 하나가 보호하려 와서 같이 불에 타는 장면이 나온다. 다른 챕터인 '아웃버스터' 와 더불어 인간의 탐욕이 불러오는 비극을 다룬다.
대항해시대 온라인에서 발견물로 나오며 발견물 정보에는 습성과 함께 '이대로라면 멸종해버릴지 모른다'라는 글이 있다. 그 외에 대항해시대까지는 있었다가 멸종한 다른 동물들도 비슷한 설명이 달리는 편.

[1] 매너티는 꼬리가 둥근 반면에 듀공은 꼬리가 갈라져 있는데, 스텔러바다소도 마찬가지로 꼬리 지느러미가 갈라져 있다.[2] 몸길이 약 8m. 매너티는 최대 4.6m, 듀공은 3m. 몸무게는 8~10톤 정도로 추정된다.[3] 마블링이 잘 된 쇠고기와 비슷했다고 한다.[4] 작중에서는 원래의 스텔러바다소는 최대 11미터까지 컸었다고 언급되다가 그보다도 훨씬 더 크게 만들어낸 존재로 나온다. 거의 고래 수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