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한부

 

1. 의미
2. 시한부 생명과 관계된 질병
2.1. 드라마에서의 허구
3. 관련 문서


1. 의미


어떤 일에 일정한 시간의 한계를 둠.

2. 시한부 생명과 관계된 질병


보통은 , 특히 말기암을 진단 받으면 시한부 생명이라는 말을 사용한다. 그러나 암만이 시한부 생명이 아니다. 길건 짧건 간에 제 명대로 못 살고 사망 하는 질병은 많다.
보통 사고로 다친 경우는 얼마 살지 못하고 죽을지라도 시한부라고 하진 않는다.[1] 뇌사도 얼마 살지 못하지만 이런 경우도 시한부라는 말은 상대적으로 덜 사용한다. 이런 표현은 보통은 일반적인 질병에 많이 사용한다.
시한부 선고를 내를 때 하는 'X년은 사실 수 있습니다', '앞으로 X개월입니다' 하는 것은 연구를 통해 보통 그 병이랑 당신 상태를 보면 평균 기대여명이 그쯤 된다는 식으로 예후를 빅데이터화하여 산출되는 것이라, 말 그대로 '평균적으로' 그렇다는 뜻이다. 매체에선 기적적으로 평균보다 오래 사는 경우가 많이 다뤄지지만, 그렇게 오래 사는 사람이 있으면 갑자기 상태가 확 나빠져서 선고보다도 빨리 사망하는 경우도 그만큼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질환들이 있다.

2.1. 드라마에서의 허구


드라마들에서 클리셰로 자주 써먹는 소재 중 하나다. 대부분의 시한부 생명인 환자는 위의 질병을 가지고 있다면 그 몰골이 그냥 보기가 어려울 정도로 쇠약해진다. 그런데 드라마에서는 시한부 선언을 받았다고 하면서도 멀쩡한 얼굴이다.
위의 질병 목록에서 보다시피 말기암, 간경화, 만성 알코올 중독 등 대부분의 말기 질환 환자들은 정말 보기에도 처참할 만큼 완전히 마르고 심하게 말하면 좀비, 강시처럼 보일 정도다. 드라마의 허구, 특히 한국 드라마의 한계로, 아직까지는 리얼리티가 많이 부족하여 일어나는 일이다. 반대로 이를 잘 표현한 영화로 김명민 주연의 내사랑 내곁에가 있다.
물론 일부 질환의 경우 드물게 시한부 인생을 선고 받을 지경이어도 거의 외형적인 변화는 없는 경우가 있기도 하지만[2] 이 역시 사망이 가까워지면 명확하게 외관상으로도 병색이 드러난다.

3. 관련 문서



[1] 뇌의 다른 부분은 손상되어도 기본적인 생명 활동을 담당하는 부분만은 살아있기 때문에 심폐기능도 멀쩡해서 영양공급 등만 이루어진다면 기계의 도움 없이도 살 수 있다.[2] 일부 위암의 경우 급격히 몸무게가 줄어드는 것 외에 큰 변화가 없다. 또한 췌장암, 급성백혈병 등은 말기가 되어도 특별히 알아채기 어렵기도 하다. 암의 경우 젊은 사람일수록 병의 진행이 빨라 상태가 급격히 악화되는 경향도 있고. 뇌종양의 경우도 마찬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