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야카시(에로게)
[image]
AYAKASHI / アヤカシ
2005년 10월 28일에 Crossnet에서 발매한 에로게. 장르는 전기물 및 능력자 배틀물이다.
인간의 정신에 기생해 그 정신을 먹고 살지만, 숙주에게 강력한 능력을 빌려주는 '아야카시'라는 존재를 다루는 캐릭터들이 싸우는 능력자 배틀물. 적절한 스토리와 굉장히 준수한 전투씬 연출을 자랑하는 수작이다. 특히 고퀄리티의 CG와 동영상을 절묘하게 융합했고, 거기에 2005년 당대의 에로게들 중에서는 대화 씬에서 캐릭터의 스탠딩 CG의 입이 실제로 움직이는 정교함을 보이는 비쥬얼 효과가 뛰어난 작품이었다. 여기에 에로게 음악 담당자 중에서도 유명한 호소이 소시(細井聡司)가 맡은 OST도 매우 평이 좋았으며 특히 오프닝 곡인 모래의 성(砂の城)은 명곡으로 취급받는다.
하지만 배틀물 에로게의 대명사가 되어버린 Fate/stay night 때문에 조용히 묻혔다. 플레이해본 몇몇 유저들은 "페이트보다 굉장한데 인지도가 적어서 아쉽다." 라고 평하기도.
[image]
'''망했어요'''라는 말이 절로 나오는 유명한 위 짤방이 이 게임의 팬디스크인 아야카시H에서 나왔다.[1]
성우는 게임판, 애니판 순서
2007년 애니화되었으나 저질 퀄리티의 작화[3] 와 지나친 축약에 따른 스토리 붕괴 때문에 대차게 망했다. 사실 에로게 애니화에 대한 지원이 점차 끊겨가는 시점에서 나온 작품이고 감독도 연출력이 검증되지 않은 인물이었던지라 어느 정도 예상되던 퀄리티였다. 그리고 TVA를 제작한 도쿄 키즈는 이 애니를 제작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도산했다'''. 거기다 게임 제작사인 Crossnet은 희대의 누키게인 그녀×그녀×그녀를 제작한 ωstar의 모회사였는데 이 쪽은 2009년에 '''잠적'''.
TVA는 옹호도 할 수 없는 흑역사였지만 오프닝/엔딩곡과 원작 게임 음악스탭들이 담당한 음악만큼은 좋았으며 성우진도 상당히 호화스러웠다. TVA에서 여주인공 요아케 에이무 역을 맡은 미즈키 나나가 부른 캐릭터송 '푸른 빛의 끝에서(蒼き光の果て)'가 그녀의 앨범에 어레인지되어 실렸기 때문에 애니의 존재는 몰라도 노래는 인기있는 편이다.
1. 개요
AYAKASHI / アヤカシ
2005년 10월 28일에 Crossnet에서 발매한 에로게. 장르는 전기물 및 능력자 배틀물이다.
인간의 정신에 기생해 그 정신을 먹고 살지만, 숙주에게 강력한 능력을 빌려주는 '아야카시'라는 존재를 다루는 캐릭터들이 싸우는 능력자 배틀물. 적절한 스토리와 굉장히 준수한 전투씬 연출을 자랑하는 수작이다. 특히 고퀄리티의 CG와 동영상을 절묘하게 융합했고, 거기에 2005년 당대의 에로게들 중에서는 대화 씬에서 캐릭터의 스탠딩 CG의 입이 실제로 움직이는 정교함을 보이는 비쥬얼 효과가 뛰어난 작품이었다. 여기에 에로게 음악 담당자 중에서도 유명한 호소이 소시(細井聡司)가 맡은 OST도 매우 평이 좋았으며 특히 오프닝 곡인 모래의 성(砂の城)은 명곡으로 취급받는다.
하지만 배틀물 에로게의 대명사가 되어버린 Fate/stay night 때문에 조용히 묻혔다. 플레이해본 몇몇 유저들은 "페이트보다 굉장한데 인지도가 적어서 아쉽다." 라고 평하기도.
[image]
'''망했어요'''라는 말이 절로 나오는 유명한 위 짤방이 이 게임의 팬디스크인 아야카시H에서 나왔다.[1]
2. 등장인물
성우는 게임판, 애니판 순서
- 쿠사카 유우 - 성우:없음/키시오 다이스케
주인공.
유우의 소꿉친구.
- "그"(“彼”) - 성우:鉄仮面/스기타 토모카즈 [2]
- 요아케 아키노(夜明 アキノ) - 성우:잇시키 히카루/유키노 사츠키
- 加藤 恵美 - 성우:잇시키 히카루
- 카지와라 헤이마(梶原 平馬) - 성우:神宮 帝
- 마에카와 아키오(前川 彰男) - 성우:黒田 鉄雄
- 하나이 노리코(花井 のり子) - 성우:유즈키 카나메
히메의 친구.
- 小島先生 - 성우:舛食四音
- 藤山先生 - 성우:坂本 正吾
- 梶原 姫乃 - 성우:미야비 린(みやび りん)
- 오이카와 치나츠(及川 千夏) - 성우:아오야마 유카리
학생회장.
프랑스인과의 하프.
- 나츠하라 오리에(夏原 織江) - 성우:호쿠토 미나미/노가와 사쿠라
- 사나다 안즈(真田 アンズ) - 성우:오오노 마리나/없음
- 이가지 토라코(伊賀路 虎子) - 성우:福元 コヒロ
- 小野寺 洋子 - 성우:福元 コヒロ
- 사나다 쿄헤이(真田 恭平) - 성우:平山 丈史
- 유우의 아버지(悠の父) - 성우:平山 丈史
- 츠가루 쥬로타(津軽 十郎太) - 성우:秋鹿 和斗
- 카도야 쇼고(角屋 昭吾) - 성우:桜庭 修一朗
- 片山 - 성우:紅城 誠
- 세가 코우지(瀬賀 高似) - 성우:五反田 正人
3. OST
- 오프닝 테마 砂の城
- 작사, 노래: 나카하라 료(中原 涼)
- 작곡, 편곡: 호소이 소시(細井聡司)
4. 미디어 믹스
4.1. 애니메이션
2007년 애니화되었으나 저질 퀄리티의 작화[3] 와 지나친 축약에 따른 스토리 붕괴 때문에 대차게 망했다. 사실 에로게 애니화에 대한 지원이 점차 끊겨가는 시점에서 나온 작품이고 감독도 연출력이 검증되지 않은 인물이었던지라 어느 정도 예상되던 퀄리티였다. 그리고 TVA를 제작한 도쿄 키즈는 이 애니를 제작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도산했다'''. 거기다 게임 제작사인 Crossnet은 희대의 누키게인 그녀×그녀×그녀를 제작한 ωstar의 모회사였는데 이 쪽은 2009년에 '''잠적'''.
TVA는 옹호도 할 수 없는 흑역사였지만 오프닝/엔딩곡과 원작 게임 음악스탭들이 담당한 음악만큼은 좋았으며 성우진도 상당히 호화스러웠다. TVA에서 여주인공 요아케 에이무 역을 맡은 미즈키 나나가 부른 캐릭터송 '푸른 빛의 끝에서(蒼き光の果て)'가 그녀의 앨범에 어레인지되어 실렸기 때문에 애니의 존재는 몰라도 노래는 인기있는 편이다.
4.1.1. 주제가
- 엔딩 테마 篝火
- 작사: 오쿠이 마사미
- 작곡: Monta
- 편곡: 이치카와 준(市川 淳)
- 노래: KAORI
4.1.2. 회차 목록
[1] 참고로 저 장면은 오해하기 쉬운데 실제로는 그냥 쇼핑 카탈로그를 보면서 좋아하고 있는 것이다. 뒤의 여성은 시라가미 키쿠리로 팬디스크에만 나오는 오리지널 캐릭터이다.[2] 유일하게 원작과 성우가 같다.[3] 2005년에 나온 원작 게임의 오프닝이 2007년에 나온 TVA 오프닝보다 훨씬 작화가 좋을 정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