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셀무스의 신존재증명
1. 개요
캔터베리의 안셀무스 대주교가 고안한 하느님 존재증명의 한 가지. 본체론적 증명이라고도 한다. 데카르트와 라이프니츠는 존재론적 증명을 지지했다. 또한 헤겔은 하느님의 존재를 증명하는 이론 중 존재론적 증명만이 하느님의 존재를 입증해냈다고 생각했다.
2. 상세
안셀무스는 하느님을 "그것보다 더 위대한 것을 생각할 수 없는 가장 위대한 어떤 것"이라고 정의했다.[1] 그런데, '''그것보다 더 위대한 것을 생각할 수 없는 어떤 것'''은 '''실제로 존재해야 한다.''' 왜냐하면 '그것보다 더 위대한 것을 상상할 수 없지만 '''존재하지 않는 것''''보다 '그것보다 더 위대한 것을 상상할 수 없지만 '''존재하는 것''''이 더 위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것보다 더 위대한 것을 생각할 수 없는 어떤 것이 하느님이라면, 하느님은 그 본성상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 이것이 안셀무스의 하느님 존재증명의 대략적인 논의이다.
이것을 매우 단순하게 도식화한다면,
- 전제: 하느님은 가장 위대한 것이다.
- 사실: 가장 위대한 것은 실제로 존재해야 한다.
- 결론: 따라서 하느님은 존재한다.
- ① 그보다 더 근사한 섬을 상상할 수 없는 가장 근사한 섬을 상상해 보라.
- ② 그런 섬은 상상할 수 있으므로 적어도 상상 속에 존재한다.
- ③ 그런데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근사한 섬'보다 '실제로 존재하는 근사한 섬'이 더 근사하다.
- ④ 그렇기 때문에 그보다 더 근사한 섬을 상상할 수 없는 가장 근사한 섬은 실제로 존재해야 한다.
- ⑤ 따라서 가장 근사한 이 섬은 실제로 존재한다.
하지만 이 비판에는 다음과 같은 반박이 가능하다. 우리가 아무리 완벽한 섬을 생각해도, 그것보다 더 완벽한 섬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니 섬은 완벽함이 부여될 수 없는 대상이고, 거기서는 존재를 끌어낼 수 없다. 그러나 하느님은 그 정의상 더 이상 완벽한 것을 상상할 수 없는 가장 완벽한 것이다. 그러므로 하느님으로부터는 실제로 존재한다는 속성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것이다.
임마누엘 칸트의 경우 '존재'는 실체의 '속성'이 아니기 때문에 논리 자체가 넌센스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3.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 중세 고증으로 유명한 늑대와 양피지에서 "신의 존재증명"에 대한 내용이 언급된다. 이는 대표적인 유신론 논변인 존재론적 신 존재 증명을 말한다.
>"하지만 왜? 오히려 어머니와 만났으면 교회의 신 같은 건 거짓말이다 싶지 않아?"
>그보다 더 강력한 신의 존재에 대한 반증은 좀체 없으리라.
>하지만 신앙이란 좀 더 다른 종류의 것이다.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지요. 하지만 뭐랄까, 그렇지가 않아요. 신이 실제로 천상에 계시느냐 하는 그런 존재론적 이야기도 중요하지만, 그것과는 별도로 이 세상에는 진심으로 믿을수 있다는 무언가가 있다는, 그런 가르침을 준 것이 두 분입니다."
>
>『늑대와 양피지』 1권 173~174p
>그보다 더 강력한 신의 존재에 대한 반증은 좀체 없으리라.
>하지만 신앙이란 좀 더 다른 종류의 것이다.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지요. 하지만 뭐랄까, 그렇지가 않아요. 신이 실제로 천상에 계시느냐 하는 그런 존재론적 이야기도 중요하지만, 그것과는 별도로 이 세상에는 진심으로 믿을수 있다는 무언가가 있다는, 그런 가르침을 준 것이 두 분입니다."
>
>『늑대와 양피지』 1권 173~174p
4. 기타
오스트레일리아의 철학자 더글라스 개스킹은 '가장 위대한 존재가 하느님이라면, 존재하면서 천지를 창조하는 하느님보다 존재하지도 않으면서 천지를 창조하는 하느님이 더 위대할 것이다. 따라서 하느님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정반대의 주장을 하기도 했다.
개스킹의 주장의 가장 큰 결점은 ‘존재하지 않는 주체가 어떤 행위의 주체가 될 수 있는가’의 여부이다. 상식적으로 우리는 ‘존재하지 않는 행위의 주체’를 생각하지 않는다. 과연 존재하지 않는 존재자가 어떤 행위의 주체가 될 수 있는가? 물론 신의 ‘전능’이 모든 논리적 모순을 초월한다면 위 결론을 극복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그렇다면 신의 존재를 ‘논리적’으로 증명하는 것이 전혀 의미 없는 일이 되어버린다. 따라서, 우리는 적어도 ‘존재하지 않는 신의 행위’를 타당한 개념으로는 쉽게 받아들일 수 없고, 이로써 개스킹의 논증은 설득력을 잃는다.
[1] 여기서 '위대하다'라는 말은 '우월하고 좋은 속성과 능력을 가졌다'라는 의미로 이해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