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시아 전투
[clearfix]
1. 배경
기원전 59년 집정관에 선출된 카이사르는 임기 후 남부 갈리아의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헬베티족의 침입을 받은 갈리아 중북부의 하이두이족은 카이사르에게 군사적 개입을 요청하였고 이에 따라 헬베티족의 이주를 저지하면서 시작된 전쟁은 이후 '보호'를 명목으로 갈리아를 지배하려는 카이사르의 목적이 노골화되면서 갈리아족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이후 수차례에 걸쳐 갈리아와 벨가이족의 반격이 있었으나 탁월한 전략가이자 전술가인 카이사르에 의하여 모조리 격퇴되었으며, 겨울의 숙영기간을 노리고 있었던 각개격파 시도도 좌절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아르베르니족 족장 베르킨게토릭스가 로마의 압제에 맞서 자유를 쟁취하자고 호소하자 갈리아 부족장들이 죄다 들고 일어나 대규모 항전을 시작했고 갈리아 최후의 항전답게 그 결집력도 어마어마하여 본래 카이사르에게 복종했던 하이두이족까지도 이에 호응할 정도였다. 이들은 청야 로마군의 보급을 원천 차단해버렸고 게르고비아에서 로마군을 패배시켜 카이사르를 궁지로 몰아넣었으나, 그냥 몇달 기다리기만 해도 거의 확실히 이길 수있는 전쟁인데도, 어째서인지 최정예 군단병들을 거느린 임기응변의 귀재 카이사르를 상대로 급작스럽게 야전을 걸었다가 허무하게 개털리고 만다.
이 때의 패배하면서 대부분의 기병을 잃은 베르킨게토릭스는 알레시아에 입성하여 농성태세로 들어갔다. 어차피 카이사르가 한번 이겼다고 한들, 보급도 끊긴데다 언제 갈리아 측의 구원군이 들이닥칠지 모르는 상황에서 여유작작하게 공성전을 걸수도 없었기 때문에 누가 봐도 철수하고 재기할 수 없게 될 것이 뻔한 상황이었으나...
2. 전개
베르킨게토릭스의 농성 전략 자체는 나쁘지 않았다. 졌다고 해도 베르킨게토릭스는 이미 한번 패배하고도 오히려 더 큰 지지를 받은 경험이 있었다. 게다가 갈리아의 성지인 알레시아에 주둔함으로써 당시 로마군과의 관계를 끊기를 주저하던 부족들을 고취시킬 수있었고, 카이사르에게 갈리아로부터 즉시 철수 할수밖에 없도록 강요하는 효과도 있었다. 당시 갈리아 곳곳에서 여러 부족들이 로마에 대항해 봉기하던 상황이었고, 숫자로만 보자면 카이사르의 군대는 알레시아에 농성중인 베르킨게토릭스의 주둔군에 대항하기에도 벅찬 수준이었다. 병력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카이사르의 군대가 알레시아에 포위망을 만드는 것은 배후의 갈리아군이 있기에 매우 위험한 일이었고, 결국 카이사르는 어쩔 수 없이 갈리아를 떠나야만 하게 될 것이었다.
하지만 베르킨게토릭스가 간과한 것이 있었으니 바로 로마군단이 당대의 가장 유능한 전투공병집단이기도 했다는 것. 하룻밤 묵을 군단 숙영지도 각잡아서 짓고 필요하다면 현장에서 이동식 공성탑과 공성망치를 제작해 공성전을 수행하는 로마군은 포위망에도 아예 목책과 해자로 도배를 해버려서 쥐새끼 한마리 못빠져나가게 하며, 외부로부터 적이 더 올 것이 예상되면 배후에도 목책과 해자를 철저하게 발라댔다. 로마군을 숱하게 박살내고 다닌 2차 포에니 전쟁의 풍운아 한니발조차도 이 로마식 포위진지에 대한 배후공격만큼은 실패했다. 이런 상황에서 식량이 더 부족한 쪽은 오히려 대군을 이끌고 허겁지겁 알레시아에 입성한 베르킨게토릭스 쪽이 되버려서, 로마군을 상대로 공성전을 벌여 이기지 못하면 굶어죽게 된 것이다. 카이사르의 지시를 받은 로마군이 포위진지를 아예 요새 수준으로 지어대기 시작하자, 언덕 위에 자리잡은 도시에서 내려다보고 있던 베르킨게토릭스는 크게 당황했다. 이 포위진지는 해자와 목책은 물론 방벽 및 망루에 기계식 투사병기, 그리고 유사시에 방벽방어를 위해 출동할 병력들이 주둔하는 초소까지 갖추고 있었다.
포위망 건설이 시작되자 이것을 저지하기 위해 베르킨게토릭스는 기병을 내보내 로마군을 공격하였고 카이사르 역시 기병을 내보냈다. 양측의 교전은 배신해버린 갈리아인 기병들 대신 투입된 게르만족 용병기마대의 대활약에 힘입어 로마군의 승리로 끝난다. 이를 본 베르킨게토릭스는 기병을 도시 밖으로 모두 내보낸 뒤 보병만 도시에 머물게 하는 한편 기병들에겐 갈리아인들에게 구조요청을 하게 하였다. 이는 어떻게든 식량을 확보해보려는 조치였다.[2] 로마군의 포위망 건설이 아직 완료되지 않은 시점이라 이들은 무사히 포위망을 뚫고 달아난다. 이 소식을 들은 카이사르는 외부의 공격에도 버틸 수 있도록 자신의 전선을 중심으로 안과 바깥 양쪽에 포위망을 건설한다. 이때 로마군은 거기에 이중삼중으로 함정을 파고 꼬챙이를 박고 가시덤불을 깔고 마름쇠를 뿌리는 등의 보강조치까지 취했다.
카이사르가 알레시아를 포위하였다는 소식을 들은 갈리아족은 회의를 열어 각 부족들에게 1만에서 3만씩 병력을 제공받아 25만 보병, 8천 기병을 이끌고 베르킨게토릭스를 구원하기로 하였다. 그 병력을 집결한 갈리아인들은 콤미우스와 베르카시벨라우노스 등을 사령관으로 선출하고 알레시아를 향해 이동하였다.
이러는 동안 알레시아의 곡식은 바닥이 났고, 따라서 베르킨게토릭스는 노약자와 여자, 어린이들을 모두 성 밖으로 내보냈다. 이들은 로마인 진영으로 가서 항복하였으나 로마인들은 그들의 수용을 거부하였다. 갈리아 전기의 해당 대목에서는 수용을 거부한 이유와 받아들여지지 못한 민간인의 운명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다.[3] 대부분의 민간인은 두 진영 사이에서 빠져나가지 못하고 비참하게 아사했을 것으로 추측될 뿐이다.[4][5]
그러다가 드디어 알레시아에 도착한 갈리아족의 대군이 로마군을 포위하였다. 즉, 2중 포위전이 된 것이다. 그들은 로마군의 포위망을 공격하였고 이것을 지켜본 알레시아의 갈리아인들도 성 밖으로 나와 로마군을 공격하였다.
[image]
로마군은 적지에서 앞뒤로 포위된 어려운 상황에 처했으나 여러가지로 준비가 잘 되어있었고, 또한 이러한 상황에 익숙한지라 결국 갈리아족의 수차례에 걸친 양면공격을 잘 버텨내었다. 양측은 정오부터 해질녘까지 싸웠지만 갈리아인들은 로마군에게 격퇴되었다.[6]
그리고 갈리아인들은 그날 밤 다시 대규모로 공격을 하였고 베르킨게토릭스도 자신의 병사를 내보냈다. 암흑 속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로마군은 다시 갈리아인들을 격파한다.
두 차례에 걸쳐 패배한 갈리아인들은 대책회의를 열었다. 이 회의에서 로마인들의 포위망을 이루었던 방책으로 뛰어드는 것은 무모한 일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이들은 지형에 대한 정보를 교환한 끝에 포위망의 북쪽에 언덕이 있는데 이곳은 지형상 너무 넓어 로마인들이 방책을 두르지 않았음을 알게 된다. 다만 카이사르는 이곳이 약하다고 보고 2개 군단을 상주시켰는데 갈리아인들은 방책을 돌파하기를 시도하기 보단 차라리 2개 군단을 공격하는 것이 낫다고 판단하였다. 그리하여 이들은 6만의 병력을 뽑아 이곳을 공략하기로 하였다.
6만의 갈리아군 병력은 밤중에 우회하여 언덕 꼭대기에 이르렀고 2개 군단은 이로써 언덕의 경사진 낮은 곳에서 갈리아인들의 공격을 받게 되었다. 정오가 되자 갈리아인들은 2개 군단이 머무는 보루를 향해 돌격을 개시하였고 이를 신호로 갈리아인 전체가 로마의 진형을 공격하였다. 베르킨게토릭스 역시 그의 병력을 이끌고 성 밖으로 나가 호응한다.
[image]
전투는 격렬하였고 특히 2개 군단이 있는 비탈진 경사면에서의 싸움은 매우 치열하였다. 로마군의 전투력은 뛰어났으나 갈리아인들도 그들의 최정예를 뽑은 데다 언덕 위에서 공격하는 것이었으므로 밀리지 않았다. 이들은 우세한 병력을 바탕으로 계속 후열의 병력과 전열의 병력을 교체하면서 체력의 저하를 막았다. 이를 파악한 카이사르는 라비에누스에게 6개 대대(0.6개 군단)을 보내 이들을 구원토록 한다.
이러면서 카이사르는 진영 전체를 누비면서 병력을 격려하였다. 그리고 다른 보루들에서의 갈리아인들의 공세가 약화되자 그는 각 진영에서 병력을 차출하였다. 그 뒤 기병들을 진영 밖으로 내보내 적의 배후로 기동하게 하였다.
이윽고 카이사르는 라비에누스에게 더이상 버티지 못하겠다는 전갈을 받는다. 이 소식을 들은 카이사르는 이미 차출해 놓은 11대대(1.1개 군단)의 군단병을 이끌고 라비에누스가 있는 곳으로 향하였다. 카이사르가 도착하자 그의 진홍색 외투의 색깔[7] 로 인해 모두가 그의 도착을 알았고 양 진영의 병사들은 일제히 함성을 지른다. 전투는 더 격렬해지고 오랫동안 우열이 갈리지 않았는데 마침내 카이사르가 내보낸 기병이 적의 배후에 도착하여 그들의 후방에 돌격하였다. 이 공격으로 인해 갈리아군은 급격히 무너지게 된다.
이 언덕에서의 결전마저 격퇴되자 갈리아인들은 절망에 사로잡히게 된다. 이들의 의지는 완전히 꺾였고 따라서 갈리아의 대군은 포위를 풀고 철수하였다. 다음날 베르킨게토릭스는 더이상 버틸 수 없음을 알고 자신을 카이사르에게 넘기고 항복하라고 제안한다. 갈리아인들은 베르킨게토릭스를 카이사르에게 인도하였는데 이때 그는 말을 타고 카이사르의 둘레를 한 바퀴 돈 뒤 그의 앞에 꿇어앉아 가만히 있었다고 한다.
3. 평가 및 영향
'''세계 역사상 비슷한 사례조차 찾기 힘든 도넛 형태의 앞뒤 포위 전투'''. 로마군은 갈리아군을 포위하면서 동시에 포위당한채 싸웠다.
베르킨게토릭스의 항복으로 알레시아 전투는 막을 내렸고 이로써 갈리아에서 로마의 패권이 확립되었다. 이후 로마가 멸망하기까지 갈리아족의 대규모 항전은 다시는 일어나지 않았다.
사실상 라인 강 이서의 이후 역사를 결정지은 전투로 평가된다.
이 전투에서 베르킨게토릭스와 갈리아족은 로마인의 포위를 풀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다하였다. 그러나 이들에겐 불행하게도 카이사르 휘하의 로마군은 무장 수준이 우수한데다 7년의 전투 경험이 쌓여 매우 정예화되었으므로 안팎의 공격에도 무너지지 않았다. 일반적인 포위 공격에 무너지는 부대가 수두룩하다는 것을 생각한다면 역포위에서도 무너지지 않는 카이사르 군대의 힘을 느낄 수 있는 부분이다.[8]
또한 세 번에 걸친 안팎을 동시에 공격한 전투 중 마지막 결전에서는 갈리아인들이 로마군의 포위망의 약한 부분이었던 언덕을 정확히 찔렀고 로마군은 상당히 난처한 상황에 빠지게 되었다. 하지만 카이사르의 로마군은 유연하게 포위망에서 11개 대대를 차출해서 구성을 변화하는 한편, 기병까지 배후로 기동하는 여유를 부려 승패에 결정적인 쐐기를 박게 된다.
이렇듯 로마군의 우세한 전력, 갈리아인들의 정교하지 못한 지휘, 그리고 카이사르의 뛰어난 통솔력으로 인해 알레시아 전투는 로마군의 승리로 끝났고 그로써 전 갈리아는 로마의 지배하에 놓이게 된다. 이 군사적 위업을 바탕으로 카이사르는 내전에서 승리한 뒤 종신독재관에 취임했으며, 로마 공화정의 막을 내리고 제정으로 가는 길을 열게 된다.
아스테릭스에서 족장 아브라라쿠르식스 등의 골족에게 이 전투 얘기를 꺼내면 그런 건 몰라!!!라는 식으로 대응하는 이들이 많다. 뭐, 이 만화는 골족 얘기를 다루고 있으니 그럴 법도 하지만...
[1] 산정에 틀어박힌 베르킨게토릭스의 갈리아군과 그를 포위한 카이사르의 로마 군단, 그리고 베르킨게토릭스를 구원하러 달려온 갈리아군을 볼 수 있다.[A] A B 카이사르의 기록.[B] 플루타르코스의 기록.[C] 스트라보의 기록.[D] 현재 사가 추정.[2] 당시 야전에서는 군마에게 사료로 보리를 먹였다. 더구나 말이니만큼 군마가 먹는 보리의 양은 엄청난데 정작 농성전에선 쓸모가 없다.[3] 갈리아 전기, 7년, 78번 기사.[4] 다만 거부한 것에 대해서 역사학자들이 추측한 바로는 바로 카이사르군의 의지 및 보급품 문제 때문에 그랬을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카이사르 성격상 이들을 만일 받아준다고 해도 자신의 본진은 갈리아 본토에 있기에 보급품도 확실치 않은 마당에 피난민까지 오면 식량은 많이 필요할 것이고 또한 이들이 있으면 군사들이 사기 저하나 혹은 이들이 나중에 배신해서 로마인들의 요새 정보를 누설할지도 모르는 것도 있었다. 또한, 카이사르가 여자와 노약자들을 받아주지 않음으로써 베르킨게토릭스에게 자신이 그렇게 만만한 존재가 아님을 보여주기 위해 그들을 받아주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카이사르가 전장에 나섰을 때마다 철두철미한 계산을 하던 성격이었음을 생각하면 이 가설이 가장 신뢰할만하다.[5] 세계 전쟁사 다큐멘터리에서는 베르킨게토릭스가 어쩔 수 없이 주민들을 모두 성 안으로 들여보냈다고 하나 확실치는 않다.[6] 해자 밖에 설치된 함정이 톡톡히 성과를 거두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로마인들이 설치한 함정에 갈리아 지원군 선봉들이 함정에 걸려서 부상당하는 일이 많았다고 한다.[7] 로마군 총사령관이 입는 망토.[8] 사소한 조건이 몇개 더 붙겠지만 당시 알레시아 전투 직전까지의 전황은 성공적인 역포위의 모습이었다. 하지만 알다시피 카이사르는 오히려 2중 포위를 역으로 물리치는 데 성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