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일식 로마자 표기법/한국어

 




Yale romanization of Korean / 한국어의 예일식 로마자 표기법
1. 개요
2. 규정
3. 특징
4. 표기 예시
5. 기타
6. 문제점 및 비판
7. 관련 문서


1. 개요


현대 한국어중세 한국어 발음을 표기하기 위해 고안된 예일식 로마자 표기법. 예일 대학교 출신 새뮤얼 엘모 마틴(Samuel Elmo Martin)과 그의 동문들이 만들었다. 매큔-라이샤워 표기법(1937)보다 약 10년 쯤 뒤에 만들어졌다.
한국어 발음을 기본 로마자만 활용하여 음운론[1]적으로 기술하기 위해 고안되었기에 실용적으로 쓰이기에는 부적합하다. 하지만 한글 표기와 발음 등을 모두 체계적으로 고려하여 만들어졌기에, 해외의 적지 않은 한국어 학자들이 이 표기법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 해외 학계에서는 거의 표준 수준으로 쓰이는 표기법이다. 따라서 해외의 한국어학 논문을 읽으려면 이 표기법을 알아 둘 필요가 있다.

2. 규정


각각의 글자는 '''위치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표기되며, 모든 기호는 대문자로 적으라고 명시한 경우가 아니면 원칙적으로 소문자로만 적는다.

2.1. 현대 한국어 표기


'''한글'''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
'''로마자'''
k
n
t
l
m
p
s
ng
c
ch
kh
th
ph
h
kk
tt
pp
ss
cc
'''한글'''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ㅒ'''
'''ㅔ'''
'''ㅖ'''
'''ㅚ'''
'''ㅟ'''
'''ㅢ'''
'''ㅘ'''
'''ㅝ'''
'''ㅙ'''
'''ㅞ'''
'''로마자'''
a
ya
e
ye
o
yo
wu
yu
u
i
ay
yay
ey
yey
oy
wi
uy
wa
we
way
wey
  • 초성에 오는 은 표기하지 않는다.
  • 양순음(ㅁ, ㅂ, ㅃ, ㅍ)의 뒤에서는 ㅜ를 u로 표기한다.
  • q는 된소리되기 현상을 표기할 때 사용된다.
    • 할 일 : halq il
    • 할 것 : halq kes
    • 글자 : kulqca
  • 음절 구분이 필요할 경우 .을 찍어 구분한다.
    • 늙은 : nulk.un
    • 같이 : kath.i
  • 장음을 나타낼 필요가 있을 경우 모음자 위에 마크론(macron)을 추가한다.
    • 말〔馬〕 : mal
    • 말〔言〕 : māl
  • 두음 법칙에 의한 음운 변동을 나타낼 필요가 있을 경우 l, n을 윗첨자로 올려(l, n)적는다.
    • 영도(領導) : ˡyengto
    • 노인(老人) : ˡnoin
    • 영변(寧邊) : ⁿyengpyen

2.2. 중세 한국어 표기


'''한글'''
'''ㅸ'''
'''ㅿ'''
'''ㅇ'''
'''ㆆ'''
'''로마자'''
W
z
G
q
'''한글'''
'''ㅗ'''
'''ㅚ'''
'''ㅛ'''
'''ㅠ'''
'''ㆌ'''
'''ㆍ'''
'''ㆎ'''
'''로마자'''
wo
woy
ywo
ywu
yuwy
o
oy
  • 중세 한국어에서는 가 무조건 "wu"로 표기된다. 즉 기본 모음인 ㆍ, ㅡ, ㅣ를 각각 o, u, i로 표기하고, ㆍ에 구축(口蹙)이 적용된 ㅗ를 wo, ㅡ에 구축이 적용된 ㅜ를 wu로 표기한다. 구축(≒원순) 모음을 'w-'로 표기한 것.
  • 은 /g/~/ɣ/~/ɦ/ 음가를 갖는 경우에만 'G"로 표기되며, 그 이외에는 생략한다.

2.3. 그 외


  •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발음을 나타내기 위해 / 기호로 이종(異種)을 표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언(用言)에서 ㅓ와 ㅏ 발음을 한꺼번에 표기하기 위해 ᵉ⁄ₐ(e/a)를 쓰는 게 그 예이다. 또한 중세 한국어에서는 ㅡ와 ㆍ의 치환을 나타내기 위해 ᵘ⁄ₒ(u/o)를 쓸 수 있다.
  • 어깻점(')으로 축약이나 생략을 나타낼 수도 있다.
    • 나 + 의 → 내 na 'y
    • 별 + 으로 → 별로 pyel 'lo
  • 불규칙 활용을 나타내기 위해 ㄷ과 ㄹ 발음에 무관하게 한 기호로 대문자 T를 쓸 수도 있다.
    • 걷다 : keTta
    • 걸어요 : keTᵉ⁄ₐyo
  • 방언이나 고어 발음 등을 표기하기 위해 다른 보조 부호를 첨가할 수도 있다.

3. 특징


현재까지 사용되는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 중 거의 유일하게, 비록 일부이긴 하나 '''옛한글의 표기를 지원한다.'''
딴이가 달린 모음은 현대 한국어 발음과 중세 한국어 추정음의 음성학적 차이를 구분해서 적지 않는다. 예를 들어 ㅔ는 원래 중세 한국어에서 /əj/~/ej/로 발음된 것으로 추정되고 현재는 /e/로 발음되지만[2] 예일식에서는 발음에 따른 구분 없이 ey로만 적는 식이다.[3]

4. 표기 예시



5. 기타



6. 문제점 및 비판



7. 관련 문서



[1] 변이음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뜻이다.[2] 사실 현재는 ㅐ와 ㅔ의 구분이 사라져 /e̞/ 정도로 발음하는 사람이 대다수이다.[3] 사실 ㅟ를 제외한 딴이가 달린 모음을 y를 받쳐 적은 것은 중세 한국어 발음과 한글 철자를 기준으로 한 표기이지 현대 한국어 발음을 반영한 것이라고 보긴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