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장애/통계

 


1. 개요
2. 지역별 우울증 통계
2.1. 우울감 경험률(조율)
3. 나이별 통계
3.1. 전체연령과 20대 남성 비교[1]
3.1.1. 전체 진료 환자수
3.1.2. 연평균 증가율
4. 우울증과 성별
5. 관련 항목


1. 개요


국민건강보험공단 분석 결과에 따르면 2007년 ~ 2011년 까지 20대 남성의 우울증 환자가 연평균 5.1%씩 증가했다고 한다. 이는 전체 평균인 2.2%에 비하면 2배 이상의 수치이다. 이에 비하여 20대 여성은 -0.6%로 소폭 감소하였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다.[2] 연합뉴스는 전체 평균에서는 여성 환자가 남성 환자의 2배라고 보도했다. 이와 함께 20대 남성과 70대 이상의 노인층도 우울증이 증가했다고 한다. 연합뉴스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2007 ~ 2011년 우울증 진료 통계를 인용하여 4년새 우울증 환자가 47만6천명에서 53만5천명로 12.4%로 증가했다고 보도했다. 전체 여성 환자는 34만6천명이며 전체 남성환자는 15만2천명이다. 전체 환자에서는 여성환자가 남성환자에 비하여 2.3배 많은 수치이다. 다만 ''''4년간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에서 20대 남성환자는 377명에서 481명으로 22% 증가하였다. 이것은 70대 여성에 이어 세대별 증가율 4위에 달하는 수치이다.[3] 세대별 증가율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차지한 것은 80세이상 여성이였다. 80세이상 여성은 ''''4년간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가 2천179명에서 2천990명으로 증가하여 37.2%의 증가율을 기록하였다. 2위는 80세 이상 남성으로 30.1%를 기록했다.

2. 지역별 우울증 통계



2.1. 우울감 경험률(조율)



2.1.1. 특별시광역시


특별시, 광역시의 우울감 경험률(조율) (단위: %)[4]
연도
서울시
부산시
대구시
인천시
광주시
대전시
울산시
2008년
'''8.2'''
6.9
7.4
'''8.7'''
'''8.8'''
6.9
5.4
2009년
'''7.9'''
6.3
'''8.3'''
'''9.9'''
'''7.0'''
'''7.6'''
5.3
2010년
6.8
4.9
5.5
6.0
5.0
6.1
5.4
2011년
'''7.0'''
5.5
4.2
5.2
5.4
4.2
3.6

2.1.2. 9개제주도


9개제주도의 우울감 경험률(조율) (단위: %)[5]
연도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도
2008년
'''9.2'''
'''9.3'''
'''8.5'''
'''8.2'''
6.0
'''7.9'''
'''9.3'''
'''7.4'''
'''7.7'''
2009년
'''8.2'''
'''9.3'''
6.0
6.9
5.5
5.7
'''7.5'''
6.6
'''9.9'''
2010년
5.8
6.5
4.0
4.7
5.3
4.1
5.7
4.0
6.4
2011년
6.2
4.7
4.1
4.7
3.3
3.3
5.0
4.1
6.7

3. 나이별 통계



3.1. 전체연령과 20대 남성 비교[6]



3.1.1. 전체 진료 환자수


우울증 진료 환자수: 전체 환자와 20대 남성 환자
연도
전체 환자수
20대 남성 환자수
2007년
476,488
14,969
2008년
471,439
14,198
2009년
492,380
14,634
2010년
515,820
15,721
2011년
535,385
16,976

3.1.2. 연평균 증가율


2007년 ~ 2011년: 우울증 5년간 연평균 증가율
전체 평균
20대 남성 평균
2.2%
'''5.1%'''

4. 우울증과 성별


우울증은 여성이 남성보다 2.3배 높다. 이는 국내에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전세계적으로 보편적으로 여성의 우울증 비율이 남성보다 높은 편이다. 그렇기 때문에 국내의 우울증 치료 및 심리상담은 거의 10~20대 여성을 주 타깃으로 맞춰져 있는 상태이고 또한 우울증에 대한 공감대 또한 10~20대 여성의 우울증에 편중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되려 10~20대 남성의 우울증에 대해선 상대적으로 여론의 관심조차도 거의 못 받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우울증 치료 역시 여성에 비해 제대로 받지를 못하는 편이고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5. 관련 항목



[1] http://media.daum.net/culture/newsview?newsid=20130303205409094[2] http://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N1001659481[3] http://media.daum.net/society/welfare/newsview?newsid=20130303120208840[4] 문의처 : 보건복지부 043-719-7385[5] 문의처 : 보건복지부 043-719-7385,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만성질환관리과[6] http://media.daum.net/culture/newsview?newsid=201303032054090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