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도
1. 개요
대한민국의 관료. 문재인 정부 대통령비서실의 총무비서관이다. 7급 공채로 공직을 시작해서 1급에 해당하는 청와대 비서관에 임명된 입지적인 인물이다.
통상 청와대 총무비서관은 청와대의 ‘돈’과 ‘인사’를 틀어쥐며 안살림을 하는 요직이라, 대통령이 오래 알고 지낸 최측근 인사가 기용돼 왔다.[1] 그런 총무비서관 자리에 별다른 연고 없이 능력만으로 임명되었다.
문재인 정부 총무비서관직에 오른 이후 칼 같은 원칙주의로 주목받고 있다. 단순히 과거의 안 좋은 관습을 잘라내는 정도가 아니라 사회적으로 용인될 수준의 융통성조차 원칙을 근거로 쳐내기도 했다. 때문에 대통령조차도 경우에 따라서는 알뜰한 살림살이를 해야 하고 규정에 맞지 않으면 대통령 시계를 주지 않으며, 근무 일수를 근거로 원칙에 따라 대통령 휴가 일수를 줄이기도 했다.
하지만 박형철 반부패비서관의 명퇴수당을 10달이나 늦게 반환받은 데다 영수증을 2번이나 끊어주는 등의 일을 벌인 게 드러나, 이러한 이미지 메이킹의 진실이 드러나게 되었다. 아래 논란 참조.
2. 생애
1965년 경남 합천군 초계면에서 태어나 초계종합고등학교, 창원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1992년 7급 공채로 공직에 입문했다. 변양균 기획예산처 장관 시절 비서관을 지냈고, 변양균 장관이 청와대 정책실장으로 옮겼을 때 청와대에서 행정관으로 근무했다. 강만수 전 기획재정부 장관 비서관도 역임했다. 업무 처리가 꼼꼼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기재부에선 그의 이름을 따 ‘이 정도는 일해야 한다’라는 유행어가 있다고 전해진다.
2.1. 문재인 정부 총무비서관
2017년 5월, 문재인 대통령의 첫 총무비서관으로 발탁되었다. 임종석 청와대 비서실장은 “대표적인 흙수저 출신이며 지방대, 7급 출신 기재부 국장으로 공무원 사회에서 신임과 존경을 받은 공무원”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그간 총무비서관 자리는 청와대의 인사·재정을 총괄하는 막후 실세였고, 대통령 최측근이 맡았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 자리를 예산·재정 전문 공무원에 맡겨서 시스템과 원칙에 따라 운영하겠다는 의지를 담았다”라고 발탁 배경을 설명했다.
취임 이후 청와대의 예산 낭비를 막기 위해 꼼꼼하게 살림을 해나가는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이를 위해 청와대 내부 관행들을 대대적으로 손보고 있다. 대표적으로 정권 교체 이후 나가는 전 정부 청와대 별정직 공무원들에게 지원금 차원에서 퇴직 3개월 동안 월급의 70%를 지급하는 조항이 있었는데 지급 기간을 1개월로 줄였다. 내부적으로도 반발이 많았지만 "우리 돈이면 상관없지만, 국민의 세금"이라고 주장을 굽히지 않아 문 대통령이 이 비서관의 손을 들어 주었다고 한다. 그리고 지금까지 대통령 역시 월급을 받지만 아무래도 대통령은 개인 생활과 업무를 구분하기 힘들어 청와대 활동비와 대통령 활동비를 대통령 내외의 생활비로 사용하는 관행이 있었는데, 이 비서관이 "(청와대에)전세 들어왔다 생각하시고, 공간만 유지하고 필요한 건 다 구입해 쓰셔야 한다"라고 문 대통령에게 직언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리고 실제 근무 기간에 비례해 연차 일수를 부여하도록 규정을 손봐서 대통령의 연차도 그에 따라 21일에서 14일로 줄이겠다고 보고했다고 한다.[2] 이를 들은 문 대통령은 크게 웃었다고 하며 그렇게 대통령의 휴가가 잘렸다. 대통령 휴가도 갈려나간 마당이니 다른 직원들도 당연히 같은 이유로 연차 일수가 다 줄었다고. 임종석 비서실장은 대통령 휴가를 잘라버렸다고 대단하다고 평가했다. 예로부터 청와대 특수활동비로 직원들에게 일종의 보너스를 지급하는 관행이 있는데 이 역시 대대적으로 삭감했다고 한다.[3] 또한 이렇게 절감한 연가보상비를 활용하여 2017년 11월 청와대 사상 최초로 전문임기제 공무원을 채용한다고 한다. 기사
문재인 대통령 기념 시계의 출납도 담당하고 있는데, 청와대 초청 손님들에게만 준다는 내규를 만들고 청와대 사람들이 아무리 사정해도 절대 들어주지 않아 내부에서 공적 취급을 받고 있다고 한다. # 이에 임종석 비서실장이 직을 걸고 협상해서 간신히 '직원의 생일 선물'로 주기로 합의했다고 하나, 이미 생일이 지난 사람도 있고 본인이 필요해서 찾는 사람만 있는 게 아니라 볼멘소리가 끊이지 않는다고 한다.[4]# 내부적으로 총무비서실이라도 털어야 하는 거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오지만 초청 인물 수만큼 그때그때 주문 제작하는 거라 소용없다고.
또한 예산뿐만 아니라 조직 및 노무관리 분야에서도 업무분석을 통한 업무혁신 체계를 도입하여 직원들의 업무부담을 덜어주고 예산을 절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기사 벤치마킹 대상은 미국 씨티그룹.
2018년 9월 심재철 자유한국당 의원이 청와대 업무추진비 지출 내역을 문제삼자 이정도 비서관이 직접 나서서 심재철 의원의 주장을 반박했다. 자세한 내용은 심재철 국가 재정정보 무단 유출 논란 문서 참조.
2019년 3월 13일, 감사원이 청와대의 업무추진비의 부당사용 여부와 관련 "문제점이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히면서 이 비서관이 자유한국당과의 '업무추진비 대전'에서 판정승을 거두었다는 평이 나왔다. 감사원은 감사 보고서에서 거듭 청와대에 대해 "증빙서류에 기재된 집행 일시·금액·장소 등이 모두 영수증과 일치했다"고 평가하며 "해당 증빙서류에 기재된 내용 및 그 적정 여부에 대하여 직상급자가 검토·결재하고 부적정 사례가 발견될 때는 반납 조치를 하는 방식으로 업무추진비 사용을 통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
3. 비판 및 논란
2019년 6월 25일, SBS의 단독보도에 의해 박형철 청와대 반부패비서관으로부터 환수해야 할 1억 5000만 원가량의 명예퇴직 수당을 10달이나 늦게[5] 환수한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되었다. 공무원법에는 20년 이상 일한 공무원이 명예퇴직을 하면, 정년까지 남은 기간을 계산해서 퇴직금과는 별도로 '명예퇴직 수당'을 받을 수 있게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나중에 공무원으로 다시 임용되면 전에 받았던 명퇴 수당은 새로 임용된 기관에 '지체 없이 즉시' 반납해야 한다.
담당자로서 이에 대한 본인의 해명이 더 가관인데, "그런 규정이 있는지 몰랐다", "6급 담당자가 미처 파악하지 못했던 것 같다"면서 "감사 서류를 준비하다가 발견돼 즉각 조치"했다고 해명했다. [단독] 즉시 반환해야 할 억대 퇴직수당, 열 달 지나 환수한 靑
심재철 국가 재정정보 무단 유출 논란 때도 그에 관한 논란이 있었는데, 공개된 업무추진비 내역에 따라 일반 직장인들 사이에서 그를 짠돌이 구두쇠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청와대 직원도 사람인데 잘 먹여야 하는 거 아니냐고 비판하거나 안쓰럽게 여기는 의견도 있었다. 실제로 중소기업에 다니는 한 직장인이 자기 회사에서 야근하면 그야말로 융숭하게 대접받는데, 청와대는 왜 그 것 밖에 안해주냐고 짠돌이 행동을 비판하는 댓글이 있었을 정도다.
[1] 노무현 정부 때 노 전 대통령의 변호사 시절 사무장이었던 최도술 전 비서관, 노 전 대통령의 고향친구였던 정상문 전 비서관, 이명박 정부 때 이 전 대통령 고향(포항) 후배였던 신학수 전 비서관, 박근혜 정부 때 ‘문고리 3인방’으로 불리던 이재만 전 비서관 등이 그런 예다.[2] 5월 초에 대통령 직무가 시작된 거니 이전달 분량의 휴가를 잘라버린 것[3] 실제로 2018년 청와대 예산안에서 특수활동비는 전년도의 70% 수준으로 줄어들었다.[4] 사실 청와대 직원뿐만 아니라 문정부 지지자들 대다수가 시계를 갖고 싶어 해서 '차라리 공식으로 팔아서 세수에 보태라'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참고로 문재인정권 전에는 대통령시계를 실제로 판매했던 사례가 있다.[5] 그것도 감사원의 청와대 기관운영 감사 딱 1주일 전이었으며, 이 과정에서도 청와대는 환수 금액을 잘못 계산해 고지서를 2번이나 발부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