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극점
[image]
二重の極み (ふたえのきわみ, 두 겹의 극점) / 이중의 극치
만화 《바람의 검심》에서 나오는 기술.
첫 일격의 충격이 파괴 대상의 저항과 부딪힌 순간 주먹을 꺾어 이격(二擊)을 가함으로써, 그 두 번째 충격이 파괴 대상의 저항 없이 가해져 완전한 파괴를 이루는 기술.
원래는 십본도 중 서열 3위인 유큐잔 안지가 개발해낸 기술로, 사가라 사노스케의 필살기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사노스케가 기술을 습득하게 된 것은 히무라 켄신을 찾아 교토로 가던 중, 안지가 이중극점을 사용 하는 것을 보게 되고 목숨을 담보로 안지에게 기술을 전수받게 된다. 이 때의 사용모습은 숲 속에서 지장보살을 자기 주위로 모아놓고 칼을 땅에 꽂아넣는 기합만으로 모두 박살내는 짓이었다.
사노스케는 그게 바로 법력(法力)이냐고 물어봤지만, 안지는 법력 같은 것은 보지 못했고 있다고 해도 파계승인 자신은 쓸 수 없다고 말하며 자신이 한 것은 단지 기술일 뿐이라고 대답한다.
사노스케가 가르쳐달라고 계속 부탁한 끝에[1] 안지는 이중극점의 원리를 설명해줬고 사노스케는 그 말대로 차돌을 주먹으로 두 번 가격해봤지만, 쪼개졌을 뿐 가루가 나지 않았다. 그 뒤 안지는 충격이 유지되는 말 그대로 찰나의 순간에 두 번째 일격을 꽂아넣어야 하는 거라며 단 한 주먹으로 바위를 가루로 만들어 버리는 무시무시한 힘을 보여준다.
안지는 자신이 이 원리를 터득하고 기술을 익히는데 걸린 한 달 이내에 몸으로 익혀보라고 하며 기한 내에 익히지 못하면 자신이 사노스케를 죽이겠다고 한다. [2] 그러나 사노스케는 그 조건을 흔쾌히 받아들이며 자신에겐 시간이 없다며 스스로 기한을 일주일로 줄이고 필사적으로 목숨 건 수련을 거듭, 강가의 돌을 있는 대로 부수며 탈진해 쓰러질때까지 연습을 계속 한 끝에 마침내 이중극점을 터득하게 된다. 비록 기술을 쓸 수 있는 건 오른손 정권 뿐이지만 공언한 대로 일주일 안에 이중극점을 구사하게 된 사노스케에게 안지도 놀라움과 경의를 표한다.
하지만 사노스케가 이중극점을 익힌 뒤 맞서게 된 첫 상대는 공교롭게도 기술을 물려준 안지 자신이였다.[3] 여기서 사노스케는 피말리는 사투끝에 이중극점을 초월한 기술인 삼중극점으로 안지를 간신히 쓰러트린다. 그러나 그 대가로 사노스케의 오른손의 뼈도 완전히 나가게 되었다. 그리고 시시오 마코토에게 이중극점을 쓰면서 거의 박살나다시피 했다.
이 때문에 사노스케는 인벌편에 이르기까지 낫지 않은 오른손으로 이중극점을 구사하느라 그 때마다 손을 크게 다치게 되었지만, 우연한 계기로 자신만의 이중극점을 쓰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
사노스케는 오른손으로 쓰는 이중극점만 완성하였으나, 전수자인 안지는 주먹 외에도 머리, 다리, 팔꿈치 등 온몸으로 이중극점을 쓸 수 있으며 몸에 부담도 가지 않았다.[4] 사노가 짐작한 바로는 박치기로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심지어 허리에 차고 다니는 계도를 땅에 내려찍어서 이중극점의 힘을 땅으로 전달, 원거리-전방위 공격도 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했다시피, 단지 이것만으로도 돌로 된 지장보살상을 부숴버릴 수 있는 위력이 있다.
이중극점을 막는 기술로 몸의 일부에 극점을 넣어서 상대의 극점을 상쇄시키는 극점 막기가 있다. 또 사노스케는 이후 자신의 오른주먹에 가는 부담을 반대 손으로 억제하는 기술을 개발하기도 한다. [5]
기술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은 물체의 저항에 의해 낭비되는 힘을 막기 위해 주먹을 세워서 첫 일격을 가한 후 그 첫 번째 충격이 돌의 저항과 부딪힌 순간 주먹을 꺾어 이격을 가해 두 번째 충격은 저항을 받지 않고 완전한 피해를 입힌다는 것으로, 그저 두 대 때리는 기술이 아닌 일격과 이격 사이의 시간 간격이 찰나(75분의 1초)여야 한다는 힘든 조건이 따른다. 대신 맞은 상대는 말 그대로 산산조각이 나게 된다고 한다. 다만 바위정도의 강도를 가루내기 위해선 안지나 사노처럼 이중극점없이도 맨손으로 바위를 깨부술 힘이 있어야한다.
위의 설명이 이해되지 않는 사람은 이 링크를 참조.
오피셜 가이드북에 의하면 담당기자의 친구(무술가)에게 들은 이야기를 소재로 사용 했다고 하며 2ch에서 중2라면 꼭 해보는 것 중 하나에 선정되었다.
애초에 물리학적으론 뉴턴 제 3법칙을 씹어먹는 헛소리이니 현실에선 불가능하다. 이중극점의 원리는 끊어치기를 과장 혹은 변용시킨 게 아니라 반작용 자체를 새롭게 정의한 것이기 때문. 물체를 때린다고 쳤을 때 반작용은 타격의 위력 자체에 어떤 영향도 끼치지 않으며 단지 때린 만큼 나도 아프다는 현상일 뿐이다. 그런데 작중에서는 이런 반작용을 '''타격의 위력을 상쇄하는 반발작용'''으로 정의하고, 심지어 여기에 쿨타임까지 넣은 것이다. 즉 첫 타격으로 반작용을 발생시킨 후 쿨타임이 돌아오기 전에 두 번째 타격을 박아서 반발로 상쇄되지 않는 100% 위력을 발휘한다는 게 작중 이중극점의 원리다. 평상시 타격의 위력은 사실 반작용으로 상쇄되어 약해진 것이고 반작용을 제거함으로써 본래의 위력을 발휘한다는 것.[6] 현실적으로는 고등학교 과학만 배워도 개소리임을 알 수 있는 유사과학이지만, 애당초 당시 소년만화들 자체가 워낙 말도 안 되는 유사과학이 넘치는지라(...).
그러나 한번에 목적하는 만큼의 충격량을 전달할 수 없을 경우 공진의 개념으로 고유 주파수에 맞춰 두번의 힘을 가한다면 충분히 말이 된다고는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런 공진에 맞춰 두번의 충격을 가할 스피드면 그냥 깰 수 있는 경우가 대부분인 게 함정.
야나기타 리카오 wiki링크에 이중극점에 대해 간략하게 나오는데, '''이중극점은 과학적인 기술. 마하7.7의 펀치가 필요'''하다고 한다. 공상과학독본8권에 수록된 고찰이라고 한다.
폭발물 버전인 탠덤 탄두가 실존한다. 성형작약 탄두 두 개를 겹쳐서 첫째 탄두로 반응장갑을 무력화하고 그 직후에 둘째 탄두가 터져서 메탈제트를 때려박는 방식이다. 진동수니 찰나의 일격이니 하는 개념은 다 때려치우고, 한 점을 연타한다는 개념만 보면 나름 말이 된다. 물론 작용 반작용을 씹어먹는 건 아니지만, 반작용 대신 반응장갑을 씹어먹는 것이다.
백번 양보해서 한 점을 빠르게 또 때리는 것 자체는 어느 무술에건 있는 보편적인 원리이긴 하다. 당연히 만화에 나오는 것처럼 상대를 분해해버리는 과장된 파워를 내는 건 아니고, 페인트를 공격으로 잇거나, 사정거리를 잡거나, 잡아채거나 밀고 때리는 등의 연계를 통해 상대의 균형을 뒤흔들거나 가드를 치우고 때리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작가가 무술가 친구한테 들었다는 이야기도 이 쪽일 가능성이 크다. 맞는 입장에선 순식간에 급소 맞는 상황이니 엄청 억울하겠지만, 적어도 사람이 상상할 수 없는 속도로 이루어지는 건 아니며, 맞은 사람이 가루가 되는 것도 더더욱 아니다(...). 한 부분만 집중적으로 상처를 입어야 효과를 본 것이고, 사실 멋 없게 말하면 그냥 '''때린데 또 때리기'''다.
가능하다쳐도 그냥 한 방을 더 세게 먹이는 게 더 효율적이므로 이런 짓을 할 이유는 없다. 영춘권 같이 연타 기술을 쓰는 경우는 보통 초근접전이 주력이라 큰거 한방을 날릴 만한 거리가 아니기 때문.
개인화기로 이걸 하면 더블 탭이나 모잠비크 드릴이 된다. 용도는 때린 곳을 또 때리는, 혹은 한 상대에게 반드시 여러 발을 먹이는 방법을 통한 확실한 저지력 발휘.
フタエノキワミ、アッー!
애니메이션《바람의 검심》 영어 더빙판 에서 이 기술을 구사할 때 괴성을 지르는데, 워낙 임팩트가 강해서 여러 매드 무비에서 유행했다. "후타에노키와미 앗-!(フタエノキワミ、アッー![7] )", "고블린 밧또! 하앙!" 등. 자세한 것은 각 나라의 이중극점을 검증해 보기 문서를 참고.
'고브린 밧또'의 정확한 발음은 doble impacto(도블레 임빡또) 로, 스페인어로 '이중 타격'의 뜻이다.
이터널 파이터 제로에서는 미사카 카오리의 이터니스페셜 가운데 하나인 '익스트림 더블'(→←↙↓↘→+공격)로 패러디되었다. 2번째 공격은 가드 불능.
[image]
한편 2015년에 한 남자가 빙판위에 점프하다 발뒷꿈치와 엉덩이로 연달아 2번 부딪쳐 얼음을 깨고 물에 빠지는 움짤이 발굴되었는데 누군가가 이 짤을 '이중쿰척'이라고 명명했다. #
二重の極み (ふたえのきわみ, 두 겹의 극점) / 이중의 극치
1. 개요
만화 《바람의 검심》에서 나오는 기술.
첫 일격의 충격이 파괴 대상의 저항과 부딪힌 순간 주먹을 꺾어 이격(二擊)을 가함으로써, 그 두 번째 충격이 파괴 대상의 저항 없이 가해져 완전한 파괴를 이루는 기술.
원래는 십본도 중 서열 3위인 유큐잔 안지가 개발해낸 기술로, 사가라 사노스케의 필살기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사노스케가 기술을 습득하게 된 것은 히무라 켄신을 찾아 교토로 가던 중, 안지가 이중극점을 사용 하는 것을 보게 되고 목숨을 담보로 안지에게 기술을 전수받게 된다. 이 때의 사용모습은 숲 속에서 지장보살을 자기 주위로 모아놓고 칼을 땅에 꽂아넣는 기합만으로 모두 박살내는 짓이었다.
사노스케는 그게 바로 법력(法力)이냐고 물어봤지만, 안지는 법력 같은 것은 보지 못했고 있다고 해도 파계승인 자신은 쓸 수 없다고 말하며 자신이 한 것은 단지 기술일 뿐이라고 대답한다.
사노스케가 가르쳐달라고 계속 부탁한 끝에[1] 안지는 이중극점의 원리를 설명해줬고 사노스케는 그 말대로 차돌을 주먹으로 두 번 가격해봤지만, 쪼개졌을 뿐 가루가 나지 않았다. 그 뒤 안지는 충격이 유지되는 말 그대로 찰나의 순간에 두 번째 일격을 꽂아넣어야 하는 거라며 단 한 주먹으로 바위를 가루로 만들어 버리는 무시무시한 힘을 보여준다.
안지는 자신이 이 원리를 터득하고 기술을 익히는데 걸린 한 달 이내에 몸으로 익혀보라고 하며 기한 내에 익히지 못하면 자신이 사노스케를 죽이겠다고 한다. [2] 그러나 사노스케는 그 조건을 흔쾌히 받아들이며 자신에겐 시간이 없다며 스스로 기한을 일주일로 줄이고 필사적으로 목숨 건 수련을 거듭, 강가의 돌을 있는 대로 부수며 탈진해 쓰러질때까지 연습을 계속 한 끝에 마침내 이중극점을 터득하게 된다. 비록 기술을 쓸 수 있는 건 오른손 정권 뿐이지만 공언한 대로 일주일 안에 이중극점을 구사하게 된 사노스케에게 안지도 놀라움과 경의를 표한다.
하지만 사노스케가 이중극점을 익힌 뒤 맞서게 된 첫 상대는 공교롭게도 기술을 물려준 안지 자신이였다.[3] 여기서 사노스케는 피말리는 사투끝에 이중극점을 초월한 기술인 삼중극점으로 안지를 간신히 쓰러트린다. 그러나 그 대가로 사노스케의 오른손의 뼈도 완전히 나가게 되었다. 그리고 시시오 마코토에게 이중극점을 쓰면서 거의 박살나다시피 했다.
이 때문에 사노스케는 인벌편에 이르기까지 낫지 않은 오른손으로 이중극점을 구사하느라 그 때마다 손을 크게 다치게 되었지만, 우연한 계기로 자신만의 이중극점을 쓰는 방법을 알게 되었다.
사노스케는 오른손으로 쓰는 이중극점만 완성하였으나, 전수자인 안지는 주먹 외에도 머리, 다리, 팔꿈치 등 온몸으로 이중극점을 쓸 수 있으며 몸에 부담도 가지 않았다.[4] 사노가 짐작한 바로는 박치기로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심지어 허리에 차고 다니는 계도를 땅에 내려찍어서 이중극점의 힘을 땅으로 전달, 원거리-전방위 공격도 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했다시피, 단지 이것만으로도 돌로 된 지장보살상을 부숴버릴 수 있는 위력이 있다.
이중극점을 막는 기술로 몸의 일부에 극점을 넣어서 상대의 극점을 상쇄시키는 극점 막기가 있다. 또 사노스케는 이후 자신의 오른주먹에 가는 부담을 반대 손으로 억제하는 기술을 개발하기도 한다. [5]
2. 현실성
기술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은 물체의 저항에 의해 낭비되는 힘을 막기 위해 주먹을 세워서 첫 일격을 가한 후 그 첫 번째 충격이 돌의 저항과 부딪힌 순간 주먹을 꺾어 이격을 가해 두 번째 충격은 저항을 받지 않고 완전한 피해를 입힌다는 것으로, 그저 두 대 때리는 기술이 아닌 일격과 이격 사이의 시간 간격이 찰나(75분의 1초)여야 한다는 힘든 조건이 따른다. 대신 맞은 상대는 말 그대로 산산조각이 나게 된다고 한다. 다만 바위정도의 강도를 가루내기 위해선 안지나 사노처럼 이중극점없이도 맨손으로 바위를 깨부술 힘이 있어야한다.
위의 설명이 이해되지 않는 사람은 이 링크를 참조.
오피셜 가이드북에 의하면 담당기자의 친구(무술가)에게 들은 이야기를 소재로 사용 했다고 하며 2ch에서 중2라면 꼭 해보는 것 중 하나에 선정되었다.
애초에 물리학적으론 뉴턴 제 3법칙을 씹어먹는 헛소리이니 현실에선 불가능하다. 이중극점의 원리는 끊어치기를 과장 혹은 변용시킨 게 아니라 반작용 자체를 새롭게 정의한 것이기 때문. 물체를 때린다고 쳤을 때 반작용은 타격의 위력 자체에 어떤 영향도 끼치지 않으며 단지 때린 만큼 나도 아프다는 현상일 뿐이다. 그런데 작중에서는 이런 반작용을 '''타격의 위력을 상쇄하는 반발작용'''으로 정의하고, 심지어 여기에 쿨타임까지 넣은 것이다. 즉 첫 타격으로 반작용을 발생시킨 후 쿨타임이 돌아오기 전에 두 번째 타격을 박아서 반발로 상쇄되지 않는 100% 위력을 발휘한다는 게 작중 이중극점의 원리다. 평상시 타격의 위력은 사실 반작용으로 상쇄되어 약해진 것이고 반작용을 제거함으로써 본래의 위력을 발휘한다는 것.[6] 현실적으로는 고등학교 과학만 배워도 개소리임을 알 수 있는 유사과학이지만, 애당초 당시 소년만화들 자체가 워낙 말도 안 되는 유사과학이 넘치는지라(...).
그러나 한번에 목적하는 만큼의 충격량을 전달할 수 없을 경우 공진의 개념으로 고유 주파수에 맞춰 두번의 힘을 가한다면 충분히 말이 된다고는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런 공진에 맞춰 두번의 충격을 가할 스피드면 그냥 깰 수 있는 경우가 대부분인 게 함정.
야나기타 리카오 wiki링크에 이중극점에 대해 간략하게 나오는데, '''이중극점은 과학적인 기술. 마하7.7의 펀치가 필요'''하다고 한다. 공상과학독본8권에 수록된 고찰이라고 한다.
폭발물 버전인 탠덤 탄두가 실존한다. 성형작약 탄두 두 개를 겹쳐서 첫째 탄두로 반응장갑을 무력화하고 그 직후에 둘째 탄두가 터져서 메탈제트를 때려박는 방식이다. 진동수니 찰나의 일격이니 하는 개념은 다 때려치우고, 한 점을 연타한다는 개념만 보면 나름 말이 된다. 물론 작용 반작용을 씹어먹는 건 아니지만, 반작용 대신 반응장갑을 씹어먹는 것이다.
백번 양보해서 한 점을 빠르게 또 때리는 것 자체는 어느 무술에건 있는 보편적인 원리이긴 하다. 당연히 만화에 나오는 것처럼 상대를 분해해버리는 과장된 파워를 내는 건 아니고, 페인트를 공격으로 잇거나, 사정거리를 잡거나, 잡아채거나 밀고 때리는 등의 연계를 통해 상대의 균형을 뒤흔들거나 가드를 치우고 때리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작가가 무술가 친구한테 들었다는 이야기도 이 쪽일 가능성이 크다. 맞는 입장에선 순식간에 급소 맞는 상황이니 엄청 억울하겠지만, 적어도 사람이 상상할 수 없는 속도로 이루어지는 건 아니며, 맞은 사람이 가루가 되는 것도 더더욱 아니다(...). 한 부분만 집중적으로 상처를 입어야 효과를 본 것이고, 사실 멋 없게 말하면 그냥 '''때린데 또 때리기'''다.
가능하다쳐도 그냥 한 방을 더 세게 먹이는 게 더 효율적이므로 이런 짓을 할 이유는 없다. 영춘권 같이 연타 기술을 쓰는 경우는 보통 초근접전이 주력이라 큰거 한방을 날릴 만한 거리가 아니기 때문.
개인화기로 이걸 하면 더블 탭이나 모잠비크 드릴이 된다. 용도는 때린 곳을 또 때리는, 혹은 한 상대에게 반드시 여러 발을 먹이는 방법을 통한 확실한 저지력 발휘.
3. 소재로서
フタエノキワミ、アッー!
애니메이션《바람의 검심》 영어 더빙판 에서 이 기술을 구사할 때 괴성을 지르는데, 워낙 임팩트가 강해서 여러 매드 무비에서 유행했다. "후타에노키와미 앗-!(フタエノキワミ、アッー![7] )", "고블린 밧또! 하앙!" 등. 자세한 것은 각 나라의 이중극점을 검증해 보기 문서를 참고.
'고브린 밧또'의 정확한 발음은 doble impacto(도블레 임빡또) 로, 스페인어로 '이중 타격'의 뜻이다.
이터널 파이터 제로에서는 미사카 카오리의 이터니스페셜 가운데 하나인 '익스트림 더블'(→←↙↓↘→+공격)로 패러디되었다. 2번째 공격은 가드 불능.
[image]
한편 2015년에 한 남자가 빙판위에 점프하다 발뒷꿈치와 엉덩이로 연달아 2번 부딪쳐 얼음을 깨고 물에 빠지는 움짤이 발굴되었는데 누군가가 이 짤을 '이중쿰척'이라고 명명했다. #
[1] 무엇보다 현 정권에 대해 안좋은 감정을 표현한게 가장 큰 계기이다.[2] 사노스케가 목숨을 걸 만한 이유라는 대답을 듣고 이를 확실히 하기 위해 내건 조건. 다만 이는 결의를 다지기 위한 것이고 안지의 인격 상 실제로는 죽이지 않았을 확률이 높다.[3] 이 전에 쵸우와도 잠시 싸운 적이 있지만 진지한 대결은 아니었다.[4] 단, 사노스케의 손이 박살나게 된 계기는 이중극점을 뛰어넘은 삼중극점을 쓰고, 낫지 않은 상태에서 무리하게 이중극점을 날린 것이다.[5] 요령을 알고 있으니 왼쪽손으로 이중극점을 익히면 되지 않냐고 생각할 수 있는데, 오른손잡이인 사람이 갑자기 왼손으로 글씨를 쓰거나 젓가락질을 하기 어려운 것처럼 바로 익히기는 힘든 것으로 추정된다.[6] 두 번째 공격이 물체를 가루로 만들어버리면서 손을 가루로 만들지 않는 것은, 애초에 반작용이 쿨타임 때문에 발동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런 주제에 손에 무리는 간다는 게 미스터리(...).[7] 이 "アッー!"은 한여름 밤의 음몽 팬덤의 대표적인 용어. 원래 일본어에는 없던 표기법이다. 자세한 것은 항목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