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쯤 가면 막 하자는 거지요

 




'''단축버전'''
'''풀버전''' (2:35 부터 나온다.)
1. 개요
2. 이후
3. 관련 문서


1. 개요


2003년 노무현 전 대통령이 열었던 "검사와의 대화"에서 나온 노무현 전 대통령의 발언이다. 당시 참여정부는 검찰 개혁을 추진 중으로 이 때 수뇌부에 불만이 많을 것으로 생각되는 젊은 평검사들의 지지를 받을 것을 기대했으나, 이 토론에서 평검사들은 검찰총장에게 인사권을 이양할 것을 요구했다.[1]
당시 설전 도중 수원지방검찰청 검사였던 김영종이 청탁 의혹을 제기했는데, 이에 노무현 대통령이 청탁이 아니었다는 논조로 대답한 것이다.

김영종: 부산 동부지청장에게 청탁전화를 하신 적이 있습니다. (중략) 왜 검찰에 전화를 하셨습니까? (후략)

노무현: 이쯤... '''이쯤 가면 막 하자는 거지요?''' 우선 이리 되면 양보 없는 토론을 할 수밖에 없습니다.

당시 김영종 검사는 정치권의 청탁 문제를 거론하면서 노무현 대통령도 청탁을 하지 않았냐는 피장파장식으로 압박을 가한 것이다. 노무현 대통령은 이런 공격적인 질문에 심기가 영 불편했는지 마지막에 결국 이렇게 발언했다. (위 동영상의 풀버전, 8분 6초)

여러분들이 말씀을 많이 들으라 하시는데, 들으라고 하려면 앞으로의 제도 건의라든지, 여러분의 고충이라든지 이런 얘기를 하면은, 들어드리겠습니다. 대통령과 법무부 장관을 계속 공격하는 질문을 하면 계속 공격적인 답변을 할 수밖에 없는 것 아니겠습니까?

이후 가벼운 일에도 '이쯤 되면 막 가자는 거지요?' 등으로 변형[2]되어 유행어로 퍼져나갔다. 봉숭아 학당에서 노통장을 연기한 개그맨 김상태가 써먹었고, 2015년 현재도 의외로 많이 보이는 어록이다.
2003년에는 박명수, 배칠수, 김학도, 전영미가 출연한 코미디하우스의 코너 3자 토론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을 패러디한 배칠수가 이 발언을 성대모사하기도 했다.#

2. 이후


한겨레 보도
노무현에게서 이 어록을 이끌어 낸 김영종 검사는 이후 2008년 청주지방검찰청 영동지청장을 거쳐 대검 첨단범죄수사과장, 서울중앙지방검찰청 첨단범죄수사1부장, 대검찰청 범죄정보기획관, 수원지방검찰청 안양지청장 등을 역임했다.
2013년에는 10년 만에 평검사들과의 대화가 다시 열렸다. #
2019년 9월 20일, 의정부지방검찰청에서 조국 전 법무부장관이 평검사 21명과 비공개로 대화를 했다. #
이때 검사들이 반대했던 청와대 인사인 당시 민정수석 문재인은 2017년 대한민국 19대 대통령으로 당선된 이후 다시 검찰개혁을 추진하며 공수처를 비롯한 각종 법안들을 강행했고, 당시 청와대 인사였던 박범계[3] 당시 청와대 법무비서관은 이후 재선 국회의원으로 공수처 법안 제출 등 문재인 대통령이 시행할 정책에 전면에 나서 활동하게 되고 현재 법무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되었다. 이 과정에서 벌어지는 일들에 대해서는 검경 수사권 조정, 공수처, 조국 게이트, 추미애/비판 및 논란/법무부장관 시절 문서 참고.

3. 관련 문서




[1] 관련 기사[2] '막 하자'와 '막 가자'의 발음이 비슷해서 자연스레 변형된 듯하다.[3] 위 사진에는 문재인 당시 민정수석만 나와있지만 옆에 박범계 당시 법무비서관이 있었다. 박범계 뒤에는 문희상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