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서전시: 샌드스톰/부착물

 



1. 개요
1.1. 조준경 (Optics)
1.2. 탄약 (Ammo)
1.3. 탄창 (Magazine)
1.4. 총열 (Barrel)
1.5. 노리쇠 (Chamber)
1.6. 측면 레일 (Side Rail)
1.7. 언더배럴 (Underbarrel)
1.8. 개머리판 (Stock)
1.9. 훈련 (Training)
1.10. 기타 (Etc)


1. 개요


인서전시: 샌드스톰에 등장하는 총기 부착물을 정리한 문서.
(0)은 해당 장비가 요구하는 포인트의 수.

1.1. 조준경 (Optics)


일부 스코프는 낙차표시가 있다. 보통 장거리 저격 시 기본 조준선을 쓰기에 탄낙이 없다고 오해할 수 있으나 사실 보기엔 장거리 같아도 교전거리가 100m 넘는일이 드물기에 생기는 일이다. 즉슨 200m에서 그 낙차표시에 쏜다면 그곳에 박힌다. 참고할 것.
v1.9 업데이트 이후 2~4배율의 배율 전환 기능이 사용가능해지면서 고가의 포인트를 지불한만큼 성능도 확실해졌으며 일부 고정 배율 조준경의 포인트가 감소되었다. 1.5배율과 3배율, 6배율 등 저배율+고배율 광학 조준경도 추가되었다. 튜토리얼에 나와있듯이 정조준 상태를 유지하면서 근접 공격[1]을 누르면 짦은 전환 애니메이션이 작동된다.
전환 애니매이션으로 2배율의 경우 조준기 후방에 있는 매그니파이어를 옆으로 젖혀 이동 시킨다. 3-6배율 같이 배율 조절기가 있는 조준경의 경우 배율 조정기를 돌린다. 그리고 보조 조준기가 달린 경우 모션 없이 해당 조준기로 시야를 이동한다. 별도의 모션없이 조준이 풀리지 않고 배율이 변하므로 바로 전투를 이어나갈 수 있어 실사용에서 가장 유용하며 보조 조준경이 달린 경우 어떤 배율이든 시야 확보에서 우위점을 가진다. 하지만 그에 맞게 가장 높은 포인트를 요구한다.
사족으로 2× 조준경의 가변형 조준기의 모델링은 모두 EOTech 사의 3배율 매그니파이어 G33이다. 또 반군이 사용하는 무배율 광학장비는 거의 다 소련군의 사이드 레일 규격이나 피카티니 레일을 쓰는 총기의 경우 레일 규격으로 바뀐다. 밸런스 때문인지 반군이 주로 쓰는 구식 PSO-1 스코프 말고도 고가의 신형 러시아제 광학장비들을 운용한다.
  • 1.5X PK-AS (1) : BelOMO 사의 PK-AS. 러시아제 1.5배율 조준경.
  • 1.5X-1X A1 Scope (2) : 스와로브스키 사의 조준경 AUG A3 전용
  • 1.5X-1X CH Sights : G36K 전용. [1.5배율 & 1배율 전환]
  • Flipup Sights (1) : Troy 사의 가늠자. 더 나은 시야를 제공하는 접이식 기계식 조준기.
  • 1X Holographic (1) : EOTech 사의 553. 미국제 1배율 홀로그램 조준경.
  • 1X Kobra (1) : Axion 사의 코브라 EKP-8-18. 러시아제 1배율 조준경.
  • 1X MARS (1) : ITL 사의 MARS. 이스라엘제 1배율 조준경.[2]
  • 1X MRO (1) : Trijicon 사의 MRO. 미국제 소형 1배율 조준경.
  • 1X OKP-7 (1) : Narod 사의 OKP-7. 러시아제 1배율 조준경.
  • 1X Red Dot (1) : Aimpoint 사의 CompM4s. 미국제 원통형 1배율 조준경.
  • 4X-1X Type 11 Scope (1) : 중국제 4배율 조준경[3] QTS-11 전용
  • 2X-1X Holographic (2) : EOTech 553 + 가변 조준경. [2배율 & 1배율 전환]
  • 2X-1X Red Dot (2) : Aimpoint CompM4s + 가변 조준경. [2배율 & 1배율 전환]
  • 2X-1X Kobra Sight (2) : Axion 코브라 + 가변 조준경. [2배율 & 1배율 전환]
  • 2X-1X MARS (2) :ITL 사의 MARS. 이스라엘제 1배율 조준경 + 가변 조준경. [2배율 & 1배율 전환]
  • 2X-1X OKP-7 (2) : Narod 사의 OKP-7. 러시아제 1배율 + 가변 조준경. [2배율 & 1배율 전환]
  • 2.5x-1x M1C (2) : M1 Garand 전용
  • 3X-1X A2 Scope (2) : 콜트 사의 3배율 조준경. M16A2 전용. [2배율 & 1배율 전환]
  • 3X Type 03 Scope (3) : 중국제 03식 3배율 조준경. QBZ-03 전용.
  • 3X YMA95-1 Scope (1) : 중국이 캐나다에 유통시킨 3배율 조준경. QBZ-97 전용
  • 3X-1X CH Sights BUS (3) : 독일제 G36 전용 조준경. G36K 전용. [3배율 & 1배율 전환]
  • 4X-1X C79 (2) : Raytheon 사의 엘칸 C79. 3.4x28 배율의 광학 조준경.
    • 4X-1X C79 NV (3) : Raytheon 사의 엘칸 C79 + . 3.4x28 배율의 야간용 광학 조준경. [WP 흰색]
  • 4X M150 (3) : Trijicon 사의 ACOG 중 미 육군 도입형인 TA31RCO-M150CP. 미국제 4배율 조준경의 복제품.[4]
    • 4X M150 NV (3) : Trijicon 사의 ACOG 중 미 육군 도입형인 TA31RCO-M150CP + . 미국제 4배율 야간용 조준경. [WP 흰색]
    • 4X-1X M150 BUS (4) :
  • 4X PSO-1 (3) : NPZ 사의 PSO-1. SVD, AS VAL 부착 가능.
  • 4X PU Scope (3) : 소련제 PU 스코프. 모신나강 전용.
  • 4X-1X SU230 (3) : Raytheon 사의 엘칸 스펙터DR. 미국제 4배율 + 가변 조준경 [4배율 & 1배율 전환]
    • 4X-1X SU230 (3) : Raytheon 사의 엘칸 스펙터DR. 미국제 4배율 조준경. [WP 흰색 + 4배율 & 1배율 전환]
    • 4X-1X SU230 BUS (4) : [4배율 & 1배율 전환]
  • 4X-1X SUSAT (2) : Trilux 사의 SUSAT. 영국제 4배율 조준경. L85A2 전용.
  • 6X-3X T Scope (3) : [6배율 & 3배율 전환]
  • 6X-3X DOS Scope (3) : M110 SASS 전용 [6배율 & 3배율 전환]
  • 6X-3X Red Ring Scope (3) : [6배율 & 3배율 전환]
  • 7X Hunting Scope (3) : 사냥용 고배율 광학 조준경.
    • 7X Hunting Scope NV (3) : 사냥용 고배율 광학 조준경. [WP 흰색]
  • 7X Sniper Scope (3) : Leupold 사의 M3A. 저격용 고배율 광학 조준경.
    • 7X Sniper Scope NV (3) : Leupold 사의 M3A. 저격용 고배율 광학 조준경. [WP 흰색]
  • 7X Type 99 Scope (1) : 중국제 7배율 고배율 광학 조준경. M99 전용.

1.2. 탄약 (Ammo)


  • 예광탄 (Tracer Rounds) (0) : 탄 궤적을 보여준다. 서방제 총기의 예광탄은 빨간색이고, 동구권제 총기의 예광탄은 초록색이다. 이러다 보니 안보지원군은 빨간색을, 반란군은 초록색을 주로 사용하게 되지만 갈릴 같은 예외도 있으니 식별에 주의하자. 탄띠급탄식 경기관총과 테크니컬의 중기관총에는 기본적으로 장착된다.
  • 플레셰트 탄 (Flechette Rounds) (1) : 기존 샷건 탄의 구슬들 대신 화살들이 날아가는 탄. 방탄조끼가 없는 적에게 효과적이다. 산탄총만 사용할 수 있다.
  • 슬러그 탄 (Slug Rounds) (1) : 산탄의 펠릿이 1개로 줄어들지만 사거리가 늘어나고 정확도가 증가한다. M870/TOZ-194 전용
  • 철갑탄 (AP Rounds) : 전작들과 달리 특정 무기에 기본 장착되어 있으며[5] 구매가 가능한 매우 특수한 경우도 있다.[6] 또한, 무장 테크니컬 중기관총에도 기본 장착된다.
  • 예광 철갑탄 (Tracer AP Rounds) (기본,3) : 탄 궤적이 보이는 철갑탄. 철갑탄이 기본 장착된 총기에 예광탄을 추가 장착한 상태와 비슷하며, 특수 무기 전용 부품이기도 하다.[7] 경기관총의 경우[8] 이미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는 상태라고 볼 수 있다.

1.3. 탄창 (Magazine)


  • 확장 탄창 (Extended Mag) (1~4) : 여러 총기에 하나씩은 있는 부착물. 각 무기 종류마다 다르지만 최소한 5발 이상의 추가 탄약을 제공한다.[9]
  • 드럼 탄창#s-4.1.6 (Drum Mag) (3~4) : 둥근 형태의 대용량 탄창. 장탄수가 30발[10]에서 50발로 늘어난다. 다만, 일반/확장 탄창에 비해 재장전 속도가 길어지고 수평 반동에 패널티를 준다.
  • 스트리퍼 클립 (Stripper Clip) (1) : 총알 소진시 5발을 동시에 장전한다. 모신나강 전용

1.4. 총열 (Barrel)


대전 모드류에서 소음기는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지만, 작은 소음도 놓치지 않는 AI 협동 모드류에서는 컨셉이 아닌 다음엔 부착하지 말고 다른 장비에 투자하는 것이 더 좋다. 또한 소음 감소 효과의 패널티로 발당 데미지가 절반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적을 처치하는데 추가적인 한발이 더 소모된다.
  • 소염기 (Flash Hider) (1) : 총구화염을 줄여준다 Pve보다는 Pvp에서 유용하다.
  • 보정기 (Compensator) (3) : 총의 수평 반동을 감소시킨다. 기관단총류는 수직 반동도 조금 감소된다.
  • 소음기 (Suppressor) (3) : 총성을 줄여줘 위치 발각을 최소화하고 총구화염도 없어진다.
  • 고급 소음기 (Advanced Suppressor) (6) 보정기와 수직손잡이의 효력을 결합함과 동시에 소음기 역할도 가지고 있다. 그리스건 전용

1.5. 노리쇠 (Chamber)


  • 기름칠한 볼트 (Greased Bolt) (3) : 볼트액션 무기의 연사속도를 늘려준다. M24/모신나강 전용

1.6. 측면 레일 (Side Rail)


Nightfall 업데이트 이후 야간전 모드에서 자주 이용되는 부품들이다. 전작에선 야간 투시경만으로도 별 문제가 없었던 반면, 감도가 매우 높아져 빛을 내는 물체나 지형 주변에서는 섬광탄보다 더한 눈뽕을 일으킬 수 있게 되어 총기의 부착물을 교차하며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야시경/방독면 장비의 경우 정조준 시간 패널티가 있기 때문에 먼저 쏘는 사람이 이기는 근접전에서는 측면 레일 부품이 좋다. "적외선"이 붙은 야간 장비는 반드시 자신이 야투경을 써야하며 이를 장비한 적 역시 볼 수 있다는걸 알아두어야 한다.
  • 플래시라이트(Flash Light) (1) 어두운 공간을 밝힌다. 기본 H 버튼으로 켜고 끌 수 있다.
  • 적외선 플래시라이트(IR Flash Light) (1) 플래시라이트와 비슷하지만, 적외선이기에 야간투시경을 장비해야 보인다.
  • 레이저 조준기(Laser Sight) (2) : L3 Insight 사의 AN/PEQ-15.[11] 비조준 상태에선 포인트가 조준 방향을 가리키며, 적과 아군 관계없이 조준한 곳이 보이기에 뻔한 위치에 있다면 간파 당할 수 있다. 기본 H 버튼으로 켜고 끌 수 있다.
  • 적외선 레이저 조준기(IR Laser Sight) (1) : 레이저 조준기와 비슷하지만 적외선이기에 야간투시경을 장비해야 보인다. 기본 H 버튼으로 켜고 끌 수 있다.[12]

1.7. 언더배럴 (Underbarrel)


  • 양각대 (Bipod) (2) : Harris 사의 양각대. 적당한 높이의 엄폐물 위에 거치하거나 포복 상태에서 바닥에 거치하면 반동을 크게 줄여준다. 기관총 사수의 주무기에는 기본으로 장비되어 있다.
  • 수직 손잡이 (Recoil Grip) (3) : KAC 사의 수직 손잡이 / TAPCO 사의 Intrafuse 수직 손잡이 / AK 나무 전방손잡이. 수직반동 제어력을 높인다.
  • 빠른 교체 손잡이 (Quick Draw Grip) (1) : 장비 교체[13] 속도가 증가한다.
  • 장전용 손잡이 (Loading Grip) (2) : 재장전 속도가 증가한다. 드럼 탄창의 경우 체감이 크다
  • 조준용 손잡이 (Aiming Grip) (3) : 조준 속도가 증가한다.
  • 양각대 수직 손잡이 (Recoil Grip Bipod) (4) : Grip Pod 사의 양각대 일체형 수직 손잡이.
  • 유탄발사기 (Explosive Launcher) (3) : 고폭탄을 발사하는 유탄 발사기. 캠핑중인 적을 처리하는데 탁월한 성능을 발휘한다. 수류탄과 비슷한 폭발력을 가지고 있다. 사물에 접촉하면 즉시 폭발하고 더 멀리 날릴 수 있다. 가격이 수류탄에 비해 1포인트 더 비싸지만 성능은 보장해준다. 게다가 전작과 달리 이걸 들어도 다른 폭발물을 들 수 있어서 활용도가 더욱 늘었다. 이 역시 탄두가 상대의 몸에 맞으면 즉사하며 근접에서는 터지지 않지만 원거리에서는 즉발한다. 아주 가까운 거리가 아닌 이상 여전히 폭발하기 때문에 자살이나 팀킬의 위험이 있으나, 여전히 실내에선 유용하게 써 먹을 수 있다.
  • 연막탄 발사기 (Smoke Launcher) (1) : 연막탄을 발사하는 유탄 발사기. 개활지에서 아군 및 나에게 엄폐물을 제공해준다. 연막탄과 비교하면 지속시간은 짧지만 닿자마자 퍼지고 더 멀리 날릴 수 있는데다가 가격도 연막탄과 같은 1포인트이다. 몸에 맞으면 즉사한다.
  • M26 MASS (3) :안보지원군 전용 부착물. 탄창형이며, 펌프액션이다. 딜레이가 짧지 않기 때문에 근접에서 한방을 노려야 한다. 3개의 총기에 부착 가능하다[14].
  • 마스터키 (Masterkey) (4) : 안보군/반란군 부착물. 양진영 공통 장비이며, 삽입형과 펌프액션을 가지고 있다. 딜레이는 위와 같으나, 장전 도중 사격을 할 수 있어 유용하다. 6개의 총기에 부착 가능하다[15].
  • 벅샷 유탄발사기 (Buckshot Launcher) (2) : 단발 벅샷 유탄 부착물. 특유의 장전 딜레이가 짧은 건 물론이고, 다른 샷건 부착물보다 사거리가 좀 더 넓다. 하지만 최소 3발이상을 제공해주는 2개의 샷건 부착물과 달리 1발 사격 후 매번 장전해줘야 한다. 2개의 총기에 부착 가능하다.[16].
  • M7 (3) : M1 개런드 전용 폭발물. 고폭탄과 연막탄을 장비 할 수 있으며 타 유탄발사기처럼 장전하는게 아닌 공포탄으로 교체 후 총구에 유탄을 삽입하니 전환 과정이 매우 길다.

1.8. 개머리판 (Stock)


장탄수가 적은 주무기를 들었을 때 상당히 유용하다.
  • 빠른 교체 권총집 (Quick Draw Holster) (1) : 부무장으로 더 빨리 교체할 수 있다.

1.9. 훈련 (Training)


야간투시경을 장착했을 때는 조준 속도가 하락하는데[17], 이를 보완하기 위해 야간투시경 장착 시엔 조준경을 이용하지 않고 옆으로 빗겨서 쏘게 하는 것. 이러한 점으로 인하여 조준경에 투자 하지 않아도 편하게 전투할 수 있다. 이를 사용한다면 야간전 장비를 적극 응용하는 것이 좋다. 일단 기본 조건부터가 야시경을 장착하는 것이라 야시경이 필수이며 눈대중으로 사격하는 특성 상 레이저 조준기와 궁합이 매우 좋다. 특히 IR 레이저 조준기는 레이저 조준기부터 목표지점까지 레이저가 이어지는 형태로 나가기 때문에 근접전에서 매우 유리한 위치를 가져가고 중거리 대처도 어느정도 가능하다. 하지만 장거리 전투를 치루려면 정조준이 필수적인데 야시경을 해제하면 시야가 크게 제한된다. 하지만 이는 야간조준경을 사용하면 맨눈 상태에서 조준하여 야시경의 혜택을 받기 때문에 근접전과 장거리전을 동시에 치룰 수 있다는 장점이 생긴다.[18] 권총, 경기관총 그리고 대물 저격 소총에서만 장착 가능.
  • 야간 전술 조준 (NVG Point Shooting) (0) : 정조준 시 근접사격에 특화 된 총기 파지법으로 바꾼다.

1.10. 기타 (Etc)


  • 플랫 탑 (Flat Top) (1) : M16A4와 M4A1의 전방에 있는 삼각형의 가늠쇠를 납작한 형태의 가스 블록으로 교체하여 시야 확보에 도움을 준다. 조준경을 부착한 상태에서만 장착할수 있으며, 장착할시 접이식 조준기 부착물을 이용할수 없다.[19]
[1] 마우스 휠 버튼[2] 노획 사양.[3] 사격통제시스템이 장비되어야하나 게임 상 미구현 되어있다.[4] 자세히 보면 REPLICA SIGHT라는 각인이 박혀있다. 그래서인지 PVP 모드에선 반군이 사용.[5] AS Val, MP7, M24, 모신나강, M82A1 CQ, M99[6] Welrod[7] Welrod[8] M240B, MG3[9] 최대 탄약 수가 드럼탄창과 비슷 할 순 있으나 이 이상 더 늘어나진 않는다.[10] 평균 탄약 수[11] 안보지원군 무기 한정. 반군은 레이저 포인터 형태의 물건을 쓴다.[12] 야간 전술 조준을 장비하면 이 레이저를 보고 조준하는데 적외선 조명과 비교하면 더 밝게 보진 못 하는 대신 조준속도가 빨라진다. 일반 가늠자나 광학 장비와 비교했을땐 시야 가림이 없고 빠르게 조준할 수 있지만 장거리에선 정확한 조준이 어렵다.[13] 폭발물 포함[14] M16A4, M4A1. AUG A3[15] M16A4, M4A1, AKM, AK-74, M16A2, FAMAS F1[16] AKM, AK-74[17] 실제로도 야간투시경 장착과 정조준을 같이 하는 건 꽤나 불편하다. 대개 걸리적거리기도 하거니와 부피가 커서 조준경에 제대로 눈을 대기 어렵기 때문.[18] 다만, 이 모든 걸 달려고 하면 최소 4 포인트(IR 레이저 1 포인트, 야간 4배율 3). 적다고는 말 못할 양이 드므로 다른 곳에 쓸 포인트가 부족해질 수 있다. 맵과 상황, 그리고 자신의 병과에 따라 적절히 타협하여 장착할 것.[19] AI들이 간혹 광학 장비 없이 기계식 조준기와 이걸 같이 장비하고 오는데 노획해서 써보면 가관이다. 마치 테크니컬 중기관총의 대공조준기처럼 예광탄을 보면서 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