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생
1. 개요
長生
바둑 용어로 사활에서 패가 아닌데 같은 모양이 계속 반복되는 형태를 말한다. 위 설명과 별도로 전근대 중국에서 편찬된 현현기경(玄玄棋經)이라는 아주 유명한 바둑책이 있다. 책의 내용은 사활문제를 다룬 것으로 이 중에 장생세(長生勢)라는 문제가 있다. 장생의 기원은 이 문제에서 유래된 것이다. 어원은 아마 불로장생에서 온 것으로 추측하는데 확실하지는 않다. 일본 위키피디아에는 중국의 장생전(長生殿)에서 치러진 대국에서 이와 같은 형태가 나와 붙인 이름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2. 규정
한국 규칙에서는 무승부가 된다. 장생의 형태가 발생했을 때 두 대국자 중 어느 한 쪽의 포기 의사가 없는 것으로 확인이 되면 주심과 입회인의 합의로 무승부 처리를 한다. 입회인이 없으면 주심이 바로 무승부 선언을 하기도 한다. 덤 제도까지 만들어가며 무승부를 방지하는 바둑에서 무승부가 나오는 몇 안 되는 사례다. 응씨배에서는 이러한 불합리한 점을 해소하려고 장생이나 삼패도 패의 일종으로 취급해서 한 바퀴 더 돌리고 싶으면 팻감을 써야 하는 것이 규칙이다. 즉, 동형반복이 되려면 무조건 팻감을 써야 하므로 무승부가 없다. 다만 실제로 응씨배에서 장생과 삼패 모두 등장한 경우는 전무하다.
3. 발생 원리
첫번째 그림에서 흑이 살기 위해서는 a에 두어 백△를 따내야 한다. 그러나 백이 b에 두면 오궁도화로 잡히게 된다. 그래서 두번째 그림처럼 오궁도화를 방지하기 위해 1로 먹여치고, 백은 손을 뺐다가는 왼쪽 백 넉점이 잡히면서 흑이 살아 버리므로 2로 따낸다. 그 다음 세번째 그림처럼 이번에는 흑이 손을 뺐다가는 단수에 걸린 흑 여섯 점을 잡아버리는 수가 있으므로 흑3으로 백 두점을 따낸다. 그 다음에 마지막 그림으로 백4에 먹여쳐 버리면 패가 아닌데 끊임없는 동형반복이 나오므로 장생 무승부가 된다.[1]
4. 반응
오청원 9단의 회고록에서 "장생은 백만판을 둔다고 해도 나타나기 어렵다. 만약 생긴다면 경사스러운 일로 팥밥을 지어 축하해야 할 일"이라고 할 정도로 바둑계에서는 장생이 한번 발생하면 그 장생을 길조로 여긴다. 장생이 발생하면 두 대국자는 무병장수하고[2] 바둑을 좋아하는 그 나라 사람들에게 좋은 일이 생긴다고 한다. 아마 그래서인지 천 년에 한번 나올까 말까 하다는 말도 있을 정도로 희귀하기 때문에 장생을 '''예외적으로''' 무승부로 인정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에서도 응씨배처럼 장생과 삼패를 패의 형태로 봐야한다는 주장이 있다.[3] 물론 바로 무승부를 시키는 것 보다는 이게 더 합리적인 면이 있기는 하지만 장생의 형태 자체가 매우 드문만큼 아직은 무승부로 규정하고 있는 모양이다.
5. 사례
- 1993년 9월 23일 일본 혼인보전 본선리그에서 린하이펑(임해봉) 천원과 고마츠 히데키 8단의 대국. 장생에 대해 나오는 바둑관련 서적에는 반드시 등장하는 장생의 형태이다. 패하고 장생이 엮인 모양으로 유명하다. 기보
- 원래 이 대국은 정상적으로 진행되었다면 흑을 잡은 린하이펑 九단이 반집 이기는 대국이었다. 초반부터 미세하긴 했지만 흑쪽으로 형세가 기울어 있었고 좌상귀 반패싸움이 승부패가 되었다. 하지만 린하이펑 九단이 고마쓰 八단의 팻감을 하나만 더 받았으면 이런 문제가 생기지 않았는데, 팻감을 하나 덜 받고 좌상귀 반패를 해소하면서(팻감은 좌하귀 팻감을 받아줘도 흑이 더 많았다) 린하이펑 九단이 집으로는 반집 이겼지만 좌하귀에서 대형사고가 난 것이다. 1993년 나온 대국인데, 5년 후인 1998년 인터뷰 때 나온 린하이펑의 언급으로는 당시에 대국에서 장생이 나는 수를 못봤으며, 장생이 날 줄 알았으면 팻감을 받았을 거라고 한다.
- 무승부가 되어서 린하이펑과 고마쓰가 추가대국을 받게 되었는데, 린하이펑은 추가대국에서 이겨서 본선리그를 통과하여 도전자결정전까지 나갔지만, 고마쓰는 추가대국에서 지는 바람에 그대로 떨어졌다.
- 응씨배 규칙이었으면 흑329는 둘 수 없는 수가 되어 팻감이 필요해지지만, 흑의 팻감이 없어 대역전패를 당했을 것이다.
- 2009년 9월 14일 후지쓰배에서 대만의 왕밍완 9단과 일본의 우치다 슈헤이 3단의 대국. 국제 바둑 기전 중에서 유일하게 장생이 나온 판이다.
- 2013년 6월 29일 2013 한국바둑리그에서 최철한 9단과 안성준 3단의 대국. 제일 위 사진에 있는 장생 장면이 바로 이 대국의 장생 장면이며 89수만에 장생 무승부로 끝났다. 기사
- 이 당시 해설이 조훈현 九단.
6. 그 외 창작물
- 소설 피를 마시는 새에서는 작품내에서 바둑에 비유한 표현이 여러번 언급되는데 그 중에서도 마지막 챕터의 이름이 바로 장생이다. 어찌보면 작품 전체의 테마를 관통하는 소재일지도. 머릿말로 장생과 관련된 바둑 스승과 제자의 대화가 나온다. 제자는 승과 패에 비해 유독 장생을 특별하고 축하해야 할 일로 여기는 것에 불만을 가지지만 스승은 바둑을 이기기 위해서는 이길 상대가 필요하다며 장생은 우리가 바둑판 너머의 또 다른 우리를 멸종시키지 않을 것을, 즉 바둑이 영원히 계속될 수 있음을 보장한다고 대답한다.
- 영화 신의 한 수에서는 아예 바둑을 메인으로 하면서 관련된 용어를 스토리에 부각시켜서 그런지, 주인공 태석과 악역 살수가 바둑을 한판 두다가 장생이 나온다. 태석이 "장생이다. 서로 비겨 버린거야." 라면서 판을 끝내려 하자, 살수가 "난 비기려고 승부한건 아닌데?" 라고 말하며 곧이어 주먹 싸움으로 돌입하게 된다. 참고로, 영화에 나오는 장생 모양은 이 문서 가장 위에 나오는 최철한 9단과 안성준 3단이 둔 장생의 모습과 같으며 흑과 백만 바꾸어 둔 모양이다.
7. 관련 문서
[1] 자꾸 먹여치기가 나오다 보니 장생을 자살패라고도 한다. 참고로 바둑에서는 '죽이다'를 '버리다'와 비슷한 뜻(사석작전)으로 쓴다.[2] 이 말을 증명이라도 하듯 정말로 1993년에 장생을 만든 린하이펑 9단과 고마츠 히데키 8단은 나이가 70을 한참 넘었거나(임해봉), 50대에 접어 들었는데도(히데키) 큰 병 없이 건강하게 2017년 현재까지 일본기원 바둑 현역으로 잘 활동하고 있다.[3] 즉, 팻감을 써야 사이클을 돌릴 수 있다는 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