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이 싫으면 중이 떠나라

 

1. 설명
2. 문제점
3. 관련 문서


1. 설명


마음에 안 드는 대상이나 집단을 애써 바꾸려 하지 말고 본인이 관심을 끊고 떠나라는 의미의 속담.
설명과 같이 본래 스님이 부패한 절을 개혁하려다가 잘되지 않아서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나야지"라고 체념하는 투의 혼잣말의 개념이었다. 그러나 현대에와서 문제 해결을 요구하는 스님에게 꼬우면 떠나라는 식으로 윽박지르는 용도로 쓰이고 있다.

2. 문제점


원론적으로는 그럴듯한 말이지만 모든 경우에 적용될 수 없을 뿐더러 근본적인 문제의 해결보다는 문제를 제기한 측을 논의에서 배제하는 행동이 되므로 교묘하게 논점을 흐리는 데에 많이 이용되기도 하는 말이다. 또한 이 말에는 "절은 언제나 옳다."라는 전제가 깔려있다. 당연히 절도 틀린 결정을 내릴 수 있으므로, 이 속담의 논리 자체가 '''매듭 자르기의 오류'''일 뿐이다. 비슷한 사례로 '꼬북이'가 있다.
이 속담을 부적절하게 사용하는 상황은 이런 경우가 있다.
  • 구성원 의견 묵살: 자신의 의견만을 내세우고 다른 구성원들의 의견을 묵살하는 데에 사용되곤 한다. 기업체, 정당 같은 대규모 조직은 물론 작게는 그룹 스터디 같은 곳에서도 자주 보이는 유형이다. 특히 내부고발을 비난하는데 쓰이기도 한다.
  • 억지 실드: 각종 방송 프로그램, 연예 활동, 유튜브나 인터넷 방송, 웹툰 등에서 과한 실더들이 주로 쓰는 방식. 일부 사용자들의 단순한 의견제시 또는 정당한 비판을 차단하는 데에 이 속담을 사용한다. 'BGM이 안 어울린다', '편집이 너무 정신없다', '가독성이 떨어진다' 등 충분히 제시할 수 있는 의견에 싫으면 보지 말라는 식으로 응수하는 빠들이 정말 많다. 심지어 도덕적으로나 법적으로 문제 있는 행동을 한 인물에게 실드를 칠 때 이런 말을 쓰는 사람들이 있다. 자신이 좋아하는 것에 대한 불호나 비판을 자기가 보는 앞에서 원천봉쇄하고 싶은 사람들도 주로 이런 짓을 한다.
  • 절에서 떠날 수가 없는 경우: 현실적으로 대안이 없거나, 오랜 세월을 함께해서 떠나기가 심리적으로 크게 부담이 되는 상황에서도 이런 말을 악용한다. 예를 들어 주변에 상가가 없는 대학이나 직장의 구내식당에서 음식의 질이 매우 떨어져 이에 항변했더니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나면 된다'고 대응하면, 상대방의 절박한 처지를 악용해서 사실상 갑질 또는 폭리를 얻는다.
    • 자국 탈출의 어려움: 절에서 떠날 수 없는 경우 중에서도 현실적으로 대안이 없는 극명한 사례에 속한다. 애초에 타국에서 사는 것 자체가 문화 차이, 언어 문제 등 다양한 문제를 동반하기 때문이다. 자국 혐오에 젖어 있는 청년들이 정작 자국을 탈출할 생각은 하지 못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북한은 이 경우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예에 속하는데, 북한 주민들 가운데 어느정도 정보를 접한 이들은 대부분 북한을 좋아하지 않지만, 북한을 실제로 떠나는 것은 하늘의 별 따기이기 때문이다.
  • 절을 떠났더니 절이 따라오는 경우: 꼬우면 떠나라고해서 정말 떠났는데 끝까지 추적해서 보복을 하는 경우를 말한다.
  • 적을 알고 나를 알아야하는 경우: 생각보다 꽤 있는 경우. 사실 무언가를 파헤치기 위해서 대상의 이야기를 알아보자고 하면 오히려 절이 싫으니 더 세세하게 단점을 파낸다면 더 난처해진다.
인벤에는 이 속담과 관련해 이런 글이 올라오기도 했다. #
게다가 절이 싫어서 중이 진짜로 떠나는 경우는 '''그 절 자체가 막장'''인 상황이라는 방증이 된다. 본래 의미를 생각하면 이 쪽이 오히려 들어맞는다. 그러니까 이런 소리가 나오는 것 자체가 꼰대임을 증명하는 것이니 평소 행실에 매우 주의해야 한다. 실제로 대한민국 국회에 처음 입성한 초선의원들이 번번히 재선에 도전하지 않으려는 것도 이 때문이고, 이주일 역시 같은 이유로 재선을 포기한 바 있다.

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