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대 국회의원 선거/지역별 결과
1. 개요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각 지역별로 나타낸 문서이다. 이번 선거를 통해 기존 현역 의원의 54.1%가 물갈이되었다. 그중 정당이 같은 인물은 24.5%이고 나머지 29.6%는 다른 정당 소속 다른 인물들로 교체되었다. 특히 호남권에서 대거 지역구 의원 교체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렇게 물갈이되어 쓸려나간 최대 피해자는 민생당으로 총선 전 20석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선거 후엔 0석으로 참패하며 원외 정당으로 전락했으며 미래통합당이 그 뒤를 이었다. 전자는 주로 호남권에서 후자는 주로 수도권에서 교체가 많이 일어났다.
2. 전국
위 표에서 범여권으로 분류된 정당에 진보 정당이 아닌 정당도 있으며, 범야권으로 분류된 정당에도 보수 정당이 아닌 정당도 있다. 특히 국민의당(2020년)은 보수 정당이 아닌 중도 정당이다.
3. 지역별
[1] 제20대: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2016년), 정의당 → 제21대:더불어시민당, 정의당, 열린민주당, 민생당[2] 제20대:새누리당 → 제21대:미래한국당, 국민의당(2020년)[3] 국민의당(2020)은 중도 정당이다.[4] 특별시, 광역시, 100만 특례시, 그리고 50만 특례시.
특별시: 서울
광역시: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100만 특례시: 수원시, 창원시, 고양시, 용인시
50만 특례시: 성남시, 부천시, 평택시(2020년), 청주시, 화성시, 안산시, 남양주시, 전주시, 천안시, 안양시, 김해시, 포항시[5] 특례시와 광역시를 제외한 시: 특별자치시, 일반시와 행정시.
특별자치시: 세종
일반시: 과천시, 광명시, 광주시, 구리시, 군포시, 김포시, 동두천시, 시흥시, 안성시, 양주시, 여주시, 오산시, 의왕시, 의정부시, 이천시, 파주시, 평택시(2016년), 포천시, 하남시, 강릉시, 동해시, 삼척시, 속초시, 원주시, 춘천시, 태백시, 제천시, 충주시, 계룡시, 공주시, 논산시, 당진시, 보령시, 서산시, 아산시, 경산시, 경주시, 구미시, 김천시, 문경시, 상주시, 안동시, 영주시, 영천시, 거제시, 밀양시, 사천시, 양산시, 진주시, 통영시, 군산시, 김제시, 남원시, 익산시, 정읍시, 목포시, 광양시, 나주시, 순천시, 여수시
행정시: 서귀포시, 제주시[6] 기장군, 달성군, 울주군, 강화군, 옹진군, 가평군, 양평군, 연천군, 고성군, 양구군, 양양군, 영월군, 인제군, 정선군, 철원군, 평창군, 홍천군, 화천군, 횡성군, 괴산군, 단양군, 보은군, 영동군, 옥천군, 음성군, 증평군, 진천군, 금산군, 부여군, 서천군, 예산군, 청양군, 태안군, 홍성군, 고령군, 군위군, 봉화군, 성주군, 영덕군, 영양군, 예천군, 울릉군, 울진군, 의성군, 청도군, 청송군, 칠곡군, 거창군, 고성군, 남해군, 산청군, 의령군, 창녕군, 하동군, 함안군, 함양군, 합천군, 고창군, 무주군, 부안군, 순창군, 완주군, 임실군, 장수군, 진안군, 강진군, 고흥군, 곡성군, 구례군, 담양군, 무안군, 보성군, 신안군, 영광군, 영암군, 완도군, 장성군, 장흥군, 진도군, 함평군, 해남군, 화순군[7]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8]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북도, 충청남도[9] 광주광역시, 전라북도, 전라남도[10] 대구광역시, 경상북도[11]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12] 접경지역 특별법에 의한 접경지역: 강화, 옹진, 김포, 파주, 연천, 고양, 양주, 동두천, 포천, 철원, 인제, 화천, 양구, 고성, 춘천
특별시: 서울
광역시: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100만 특례시: 수원시, 창원시, 고양시, 용인시
50만 특례시: 성남시, 부천시, 평택시(2020년), 청주시, 화성시, 안산시, 남양주시, 전주시, 천안시, 안양시, 김해시, 포항시[5] 특례시와 광역시를 제외한 시: 특별자치시, 일반시와 행정시.
특별자치시: 세종
일반시: 과천시, 광명시, 광주시, 구리시, 군포시, 김포시, 동두천시, 시흥시, 안성시, 양주시, 여주시, 오산시, 의왕시, 의정부시, 이천시, 파주시, 평택시(2016년), 포천시, 하남시, 강릉시, 동해시, 삼척시, 속초시, 원주시, 춘천시, 태백시, 제천시, 충주시, 계룡시, 공주시, 논산시, 당진시, 보령시, 서산시, 아산시, 경산시, 경주시, 구미시, 김천시, 문경시, 상주시, 안동시, 영주시, 영천시, 거제시, 밀양시, 사천시, 양산시, 진주시, 통영시, 군산시, 김제시, 남원시, 익산시, 정읍시, 목포시, 광양시, 나주시, 순천시, 여수시
행정시: 서귀포시, 제주시[6] 기장군, 달성군, 울주군, 강화군, 옹진군, 가평군, 양평군, 연천군, 고성군, 양구군, 양양군, 영월군, 인제군, 정선군, 철원군, 평창군, 홍천군, 화천군, 횡성군, 괴산군, 단양군, 보은군, 영동군, 옥천군, 음성군, 증평군, 진천군, 금산군, 부여군, 서천군, 예산군, 청양군, 태안군, 홍성군, 고령군, 군위군, 봉화군, 성주군, 영덕군, 영양군, 예천군, 울릉군, 울진군, 의성군, 청도군, 청송군, 칠곡군, 거창군, 고성군, 남해군, 산청군, 의령군, 창녕군, 하동군, 함안군, 함양군, 합천군, 고창군, 무주군, 부안군, 순창군, 완주군, 임실군, 장수군, 진안군, 강진군, 고흥군, 곡성군, 구례군, 담양군, 무안군, 보성군, 신안군, 영광군, 영암군, 완도군, 장성군, 장흥군, 진도군, 함평군, 해남군, 화순군[7]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8]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북도, 충청남도[9] 광주광역시, 전라북도, 전라남도[10] 대구광역시, 경상북도[11]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12] 접경지역 특별법에 의한 접경지역: 강화, 옹진, 김포, 파주, 연천, 고양, 양주, 동두천, 포천, 철원, 인제, 화천, 양구, 고성, 춘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