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횡가

 


縱橫家
1. 개요
2. 내용
3. 사상가


1. 개요


중국 전국시대 제자백가 중 하나로, 대표적인 유세객(遊說客) 소진(蘇秦)과 장의(張儀)의 외교정책 '합'''종'''연'''횡''''(合縱連橫)에서 유래한다. 진나라의 성장과 관련 있는 제자백가로 진 혜문왕 때 연횡책을 주장한 장의와 동시대에 합종책을 주장한 공손연,[1] 그리고 진 소양왕 초기에 합종책으로 진나라와 맞섰던 소진이 대표적인 인물이다.

2. 내용


합종연횡에서 연횡(連橫)은 한자를 달리 해서 연횡(連衡)으로 표기하기도 하는데, 衡은 '저울대 형'이라는 뜻과 소리 외에도 橫과 똑같이 '가로 횡'이라는 뜻과 소리도 가지고 있다. 저울추를 거는 막대기인 저울대는 '가로로 균형을 맞추는 역할'을 하므로, 이러한 가로대의 의미와 개념에서 유추해서 衡을 '가로 횡'의 뜻과 소리로 사용한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아울러 유세(遊說)란 춘추전국시대에 사상가, 책사, 학자 등이 자신의 정견, 학설을 설파하며 각지를 돌아다니던 행위를 가리키던 말로, 오늘날 정치인들이 자신의 정치적 견해 또는 자기 소속 정당의 주장을 선전하며 돌아다니는 것을 가리킬 때 쓰는 말인 '유세'도 여기에서 비롯된 표현이다.
소진 등이 주장한 '''합종책'''(合縱策)이란 진(秦)나라에 대항하기 위해 , , , , , 6국이 힘을 합쳐야 한다는 의미이며, 이들 나라가 남북(세로)으로 합하는 형세에 빗대어 '합할 합(合)'자 + '세로 종(縱)'자를 써서 합종이라 일컬었다.
한편 장의 등이 주장한 '''연횡책'''(連橫策)이란 진나라와 이들 6국이 개별적으로 동맹을 맺어 화친해야 한다는 것으로, 6국의 단합을 통해 생존을 도모하고자 하는 합종책에 맞서는 주장이다. 진나라와 다른 나라가 동서(가로)로 이어지기에 '이을 연(連)'자 + '가로 횡(橫)'자를 써서 연횡이라 일컬었다.
때는 기원전 4세기 말로 당시 중국의 지리적, 문화적 중심부인 중원에서 벗어난 위치 탓에 시골 변두리 취급 당하던 진나라가 법가 상앙의 변법(개혁)으로 국력을 키워 중원을 도모하려 함에 위기를 느낀 나라들이 소진의 유세에 설득되면서 시작된다.[2] '''소꼬랑지가 되느니 닭대가리가 낫다''' (寧爲鷄口 無爲牛後, 영위계구 무위우후) 라는 얘기가 바로 여기서 나온다.[3] 그 외에 위나라에서는 "위험한걸 지금 쳐버려야지 놔두면 커진다." 라는 식으로 불안감을 돋궈주었고 제나라에 가서는 "제나라의 왕은 천하의 으뜸" 이라며 추켜세워주었고 초나라에서는 "이 동맹이 이뤄지면 초나라가 천하의 으뜸이 되겠지만 성사되지 않으면 진나라가 으뜸이 될것이다." 라며 경쟁심을 부추기는 식으로 차례차례 동맹을 맺게 했다.[4]
이에 맞불을 놓은 게 장의인데, 묘하게도 장의는 소진과 함께 한 스승, '''귀곡자'''(鬼谷子)를 모시고 공부하였으니 이른바 동문수학한 사이이다.
현대적인 학문 개념에는 잘 들어맞지 않기 때문에, 동양의 제자백가 사상을 깊게 연구한 사람이 아니라면 종횡가가 한나라 시대까지만 하더라도 학문의 한 갈래로 분류되었다는 사실조차 잘 모르게 되어버렸다.[5] 다만 현대의 우익좌익 개념에 맞춰서 우익적 이상이 실현되면 연횡책과 같은 모습이 되고, 좌익적 이상이 실현되면 합종책과 같은 모습이 될 것이라는 독특한 해석도 있다.

3. 사상가



[1] 위나라 출신으로 서수로도 불리며 혜문왕 초기 진나라의 대량조가 됐고 장의가 온 뒤에는 진나라의 대량조를 버리고 다시 위나라로 돌아가 장의에게 맞서서 6국의 합종책으로 장의의 연횡책에 대항했다.[2] 연나라부터 설득했는데 이때는 그저 "조나라랑 동맹 맺으세요. 진나라가 여기 쳐들어오는건 쉽지 않은데 조나라가 쳐들어 오면 끝장나요." 였는데 정작 조나라에 가서는 연나라뿐 아니라 6국 모두가 맺어야 한다고 연설하는데 '''사기의 소진열전에서 5쪽이나 될 정도의 대 연설이었다.'''[3] 한나라 왕에게 이렇게 얘기했다.[4] 의외로 이 말들은 나름대로 맞는 말이었거나 맞는 말이 되었는데 우선 한나라의 경우 결국 진소양왕이 죽었을 때 '''한나라 왕이 직접 조문을 와야 했고''' 위나라의 경우 이미 진효공 시절에 공자 앙이 붙잡히고 하서지역을 빼앗겨 천도까지 해야 했으며 제나라는 제민왕때에 진나라가 "개나소나 가진 왕 대신 내가 서제, 너님이 동제라고 하는게 어떠심?" 이라고 할 정도로 국력이 강성했고 초나라의 경우는 초나라가 합종과 연횡 사이에서 이랬다저랬다 해서 진나라의 천하통일을 막지 못했지만 반대로 초나라가 확고하게 진나라를 배척했다면 진나라가 천하통일을 하지 못했을 것이라는 평도 있다.[5] 참고로 제자백가의 학문을 처음으로 집대성한 것이 전한 시기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 인데, 여기 오늘날 우리가 아는 소설가라는 단어도 학문의 한 갈래로 등장한다. 물론 현대와 같은 문예 창작의 의미를 가지는 것은 아니고, 백성들 사이에서의 옛날 이야기를 수집하는 학문을 가리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