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기 전에 꼭 먹어야 할 세계 음식 재료 1001
[image]
세계 각국에 있는 재료들을 종류별로 모은 음식 재료 소개 책. 대부분 조리되기 전의 식재료를 설명하지만, 후반부의 디저트나 빵 부분을 보면 완성품도 설명한다.
1001 XXX you must ㅇㅇㅇ before you die의 제목으로 출판되는 1001 Before You Die(한국에서는 1001 시리즈) 시리즈중 하나이다. 이외에 들어야 하는 노래 1001곡[1] , 들어야 하는 앨범 1001, 읽어야 할 책 1001권, 플레이 해야 할 비디오게임 1001개, 꼭 봐야 할 영화 1001편[2] , 봐야 하는 코믹스, 돌아야 하는 골프 홀, 봐야 하는 건물, 봐야 하는 회화, 마셔야 하는 와인, 맥주 등이 출간되어있다. 엄청나게 다양한 시리즈.
상당히 많은 작가들이 모여서 집필한 책으로, 사진들이 꽤 좋은 화질로 나오다보니 재료만 보는 것만으로도 입맛이 자극된다는 독자들도 있을 정도.
요식업, 특히 양식을 주로 배우는 사람이라면 꼭 읽어봐야할 서적. 온갖 식재료에 대한 상식부터 용법, 어울리는 식재 등 많은 정보를 한 권에서 얻을 수 있다.
내용이 내용인지라 한페이지에 두 개씩 소개하는데도 두께는 사전 수준이다.거기에 똑같은 재료라도 종류별로 설명한 게 있어서 뒷부분의 ㄱㄴㄷ순으로 재료 찾기는 별 도움이 안되고 앞페이지의 색인이 검색에 더 도움이 된다.
국내에서만 먹을거라 생각하는 재료가 의외로 세계적으로 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홍어는 프랑스에선 삶아서 소스를 얹어 먹는다거나, 애저(새끼돼지)요리도 필리핀, 포르투갈 같은 여러 나라에서 먹는다고 되어 있다. 무청도 주 재료는 아니지만 유럽지역에서 종종 먹는다는 말이 있다.
그런데 한국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지 않았던 건지 미역을 얘기하면서 한국과 일본 근해가 원산이라고 소개하면서도 먹는 방법은 일본의 경우만 소개한다거나 김을 설명할 때에도 일본 얘기만 나온다. 그밖에도 곶감을 하치야 감이라 소개하고 동아(동과:冬瓜)는 동남아쪽에서 먹는다는 말은 있어도 한국에서 먹었다는 말은 없다. 뭐 동아가 한국에서는 잊혀진 재료이긴 하지만.
특히 압권은 홍어에 대한 설명인데, '''암모니아 냄새가 나는 홍어는 먹을 수 없을 만큼 상한 홍어니 절대 먹지 말라'''고 설명한다.(...) 그도 그런 게 한국에서 삭혀 먹는 것은 발효이다. 발효랑 부패랑은 다르다. 김치에 대한 글을 살펴보면 고대 중국의 진나라 때부터 만리장성을 쌓은 사람들이 배추를 소금물에 절여먹은 것을 시초로 한 이야기부터 시작해서 김치를 처음부터 아예 대놓고 중국 음식이라고 얘기를 한 것을 보면 한국의 음식에 대한 정보가 많이 부족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때 당시는 아쉬울 수 있으나, 그 이후에 중국의 김치 왜곡이라는 사건이 발생했기 때문에 지금 이 책을 바라본다면 또 다른 생각이 들 수도 있다.
또 쑥갓 얘기를 하면서 일본의 국화(國花)인 국화(菊花) 얘기를 한다. 국화는 일본 황실을 상징하는 꽃일 뿐, 일본은 법적으로 제정된 국화가 없다. 벚꽃 또한 민간에서 사랑받는 꽃일뿐 국화가 아니다. 사실 중국 음식과 일본 음식은 구미권에 수십~수백년간 알려져 있었기에 인지도가 더 높긴 하지만 세계의 음식 재료를 집대성한다는 의미로 쓰인 걸 생각하면 아쉬운 부분이라 할 수 있다.
1. 개요
세계 각국에 있는 재료들을 종류별로 모은 음식 재료 소개 책. 대부분 조리되기 전의 식재료를 설명하지만, 후반부의 디저트나 빵 부분을 보면 완성품도 설명한다.
2. 상세
1001 XXX you must ㅇㅇㅇ before you die의 제목으로 출판되는 1001 Before You Die(한국에서는 1001 시리즈) 시리즈중 하나이다. 이외에 들어야 하는 노래 1001곡[1] , 들어야 하는 앨범 1001, 읽어야 할 책 1001권, 플레이 해야 할 비디오게임 1001개, 꼭 봐야 할 영화 1001편[2] , 봐야 하는 코믹스, 돌아야 하는 골프 홀, 봐야 하는 건물, 봐야 하는 회화, 마셔야 하는 와인, 맥주 등이 출간되어있다. 엄청나게 다양한 시리즈.
상당히 많은 작가들이 모여서 집필한 책으로, 사진들이 꽤 좋은 화질로 나오다보니 재료만 보는 것만으로도 입맛이 자극된다는 독자들도 있을 정도.
요식업, 특히 양식을 주로 배우는 사람이라면 꼭 읽어봐야할 서적. 온갖 식재료에 대한 상식부터 용법, 어울리는 식재 등 많은 정보를 한 권에서 얻을 수 있다.
내용이 내용인지라 한페이지에 두 개씩 소개하는데도 두께는 사전 수준이다.거기에 똑같은 재료라도 종류별로 설명한 게 있어서 뒷부분의 ㄱㄴㄷ순으로 재료 찾기는 별 도움이 안되고 앞페이지의 색인이 검색에 더 도움이 된다.
국내에서만 먹을거라 생각하는 재료가 의외로 세계적으로 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홍어는 프랑스에선 삶아서 소스를 얹어 먹는다거나, 애저(새끼돼지)요리도 필리핀, 포르투갈 같은 여러 나라에서 먹는다고 되어 있다. 무청도 주 재료는 아니지만 유럽지역에서 종종 먹는다는 말이 있다.
그런데 한국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지 않았던 건지 미역을 얘기하면서 한국과 일본 근해가 원산이라고 소개하면서도 먹는 방법은 일본의 경우만 소개한다거나 김을 설명할 때에도 일본 얘기만 나온다. 그밖에도 곶감을 하치야 감이라 소개하고 동아(동과:冬瓜)는 동남아쪽에서 먹는다는 말은 있어도 한국에서 먹었다는 말은 없다. 뭐 동아가 한국에서는 잊혀진 재료이긴 하지만.
특히 압권은 홍어에 대한 설명인데, '''암모니아 냄새가 나는 홍어는 먹을 수 없을 만큼 상한 홍어니 절대 먹지 말라'''고 설명한다.(...) 그도 그런 게 한국에서 삭혀 먹는 것은 발효이다. 발효랑 부패랑은 다르다. 김치에 대한 글을 살펴보면 고대 중국의 진나라 때부터 만리장성을 쌓은 사람들이 배추를 소금물에 절여먹은 것을 시초로 한 이야기부터 시작해서 김치를 처음부터 아예 대놓고 중국 음식이라고 얘기를 한 것을 보면 한국의 음식에 대한 정보가 많이 부족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때 당시는 아쉬울 수 있으나, 그 이후에 중국의 김치 왜곡이라는 사건이 발생했기 때문에 지금 이 책을 바라본다면 또 다른 생각이 들 수도 있다.
또 쑥갓 얘기를 하면서 일본의 국화(國花)인 국화(菊花) 얘기를 한다. 국화는 일본 황실을 상징하는 꽃일 뿐, 일본은 법적으로 제정된 국화가 없다. 벚꽃 또한 민간에서 사랑받는 꽃일뿐 국화가 아니다. 사실 중국 음식과 일본 음식은 구미권에 수십~수백년간 알려져 있었기에 인지도가 더 높긴 하지만 세계의 음식 재료를 집대성한다는 의미로 쓰인 걸 생각하면 아쉬운 부분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