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린

 


陳璘 (Chén Lín, 천린)
1543년 ~ 1607년
1. 개요
2. 생애
2.1. 군복을 입고 공을 세우다
2.2. 정유년, 조선으로.
2.3. 명으로 돌아간 후
3. 자손들
4. 대중 문화에서


1. 개요


명나라의 장수. 자는 조작(朝爵). 호는 용애(龍厓). 시호는 충강(忠康). 전공은 뛰어났으나 탐욕스러운 인물로 뒷말이 많았다.
한국에서는 정유재란 당시 조선에 원군으로 파견되어 이순신과 함께 싸운 인물로 유명하다.

2. 생애



2.1. 군복을 입고 공을 세우다


광동성 옹원현 사람으로 가정제 말에 지휘첨사가 되었으며, 영덕현의 도적을 토벌하는 데 참가하여 광동수비가 되었다. 도적 뇌원작을 평정하고 영동의 도적들을 물리쳤으며, 만력제 초에는 고요현의 도적 등승룡, 계양현의 도적 종월천 등을 평정했다.
여러 차례 승진해 도지휘첨사, 첨서광동도사에 임명되었으며, 이성립이 도적을 평정하기 위해 제양보를 공격했지만 패하자 그의 뒤를 이어 참전, 도적을 평정하고 조경 유격 장군, 고주 참장이 되었다. 남방의 묘족을 정벌해 부총병으로 옮겨 동안첨장사가 되었지만 그 곳에서 살아남은 자가 백성을 살해한 일이 일어나 책망을 받아 죄를 얻었으며, 주문달과 함께 석우, 청수의 여러 망루를 깨뜨려 360여 명을 죽이거나 사로잡아 용서를 받았다.
동안현이 평정되자 토목 공사를 일으켜 영채, 관성, 사당 등을 지었는데, 재물을 반출하는 것도 금지해 병졸들이 반란을 일으켜 주현을 약탈하자 나응학에게 탄핵받아 관직이 박탈되었다가 적을 사로잡으면서 죄가 사해져 낭산 부총병이 되었다. 모략이 있어 병사를 잘 부렸지만 탐욕이 심해 다시 탄핵을 받고 관직을 빼앗겼으며, 조정의 선비들은 그의 재주를 아깝게 여겼지만 천거하지는 않았다.

2.2. 정유년, 조선으로.


1592년에 적에게 패한 일이 참작되어 관직이 회복되어 광동의 병사 5천명을 이끌고 조선을 구원했으며, 1593년 2월에 어왜총병관이 되어 마귀, 유정 등과 함께 군사를 이끌고 병사 3천여 명, 전함 수백 척을 나누어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의 해구에 포진시켰다. 어위 도총관 겸 전군도독부도독(前軍都督府都督)이 되어 수군 5천 명을 이끌고 명량해전 이후 이순신 함대에 합류하였다.
징비록에 의하면 류성룡을 비롯한 많은 조정의 대신들이 '충무공이 진린의 횡포[1]를 가만히 놔둘 리가 없고, 분명 명나라 군대와 갈등이 생길테니 패하지 않을수 없을것이다'라며 우려를 표했다고 한다. 그러나 우려와 달리 진린이 온다는 말에 즉각 군대를 동원해 고기와 생선 등을 푸짐하게 차리고[2] 진린뿐 아니라 모든 장병들까지 배부르고 취하게 하여 인심을 샀고, 섬에 왜구가 왔다는 말에 그들을 격퇴한 후 수급 40개를 진린에게 모두 바쳐 더욱 관계를 돈독히 했다고 한다.[3]
이순신 장군과 만나기 전에 능력이 뛰어났지만 탐욕을 일삼는 장수였으며, 이순신 장군이 처음에 명 해군의 행패를 핑계로 본진에서 백성들과 함께 떠나려는 척을 해서 그에게서 명 해군의 지휘권까지 넘겨받는가 하면, 이후 진린에게 자신이 세운 공로를 전부 넘겨주는 식의 '채찍과 당근'을 병용하여 그를 마음으로 감복시켜 진심으로 존경하게 만들었다고 한다. 아무래도 바로 옆에서 이순신의 지휘력과 인품을 직접 겪어서인지 처음 안하무인의 모습을 보이던 진린이지만 점차 이순신에게 감복해나간다. "이순신은 천지를 주무르는 경천위지(經天緯地)의 재주와 나라를 바로 잡은 보천욕일(補天浴日)의 공로가 있는 사람이다."라는 최고의 찬사를 하는가 하면 조선군 장수를 당시 깔보고 무시하던 다른 명군과 달리 이순신 장군을 이야(李爺) 혹은 노야(老爺)[4]라는 호칭으로 불렀으며, 자신이 탄 가마가 감히 이순신이 탄 가마보다 먼저 나가는 일이 없도록 했을 정도이다.[5][6] 이에 그치지않고 진린은 이순신에게 자신과 함께 명국으로 가서 살자고 조르기도 했으니 그야말로 이순신 장군에게 푹 빠져있던 명나라 사람 중 하나였다.[7]
노량해전에서 적 왜선에 포위된 진린을 구하다가 이순신은 전사하게 되고 전투가 끝난 후 진린은 이에 사례하고자 하였으나 이미 이순신은 전사하고 난 후였다. 이 때 이순신의 죽음을 알자 땅바닥에 주저앉아 "어른께서 오셔서 나를 구해주었는데 이 무슨 일이란 말입니까?"라며 통곡했고, 이순신의 지휘 아래에서 대부분의 명군과는 달리 꽤나 엄한 군율 때문에 곤욕을 치렀던 명나라 해군 장졸들도 눈물을 흘렸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이것과는 별개로 전후 조선 수군의 공적을 모조리 가로챘고[8][9] 노량 해전에서 등자룡과 함께 왜군에게 포위당해 이순신 장군에 의해 목숨을 부지한 적이 있다. 부장인 등자룡은 구출되기 전에 일본군이 공격해와 백병전에 휘말려서 싸우다가 전사한다.

2.3. 명으로 돌아간 후


명에 돌아가서는 임진왜란 때의 공적으로 도독동지, 지휘첨사에 임명되고 광동백(廣東伯)에 봉해졌으며, 1년 전인 1597년에 양응룡이 파주에서 반란을 일으키자, 1598년에 호광 총병관에 임명되어 군사를 이끌고 반란을 진압했으며, 이어서 피림을 토벌했다.
1605년에는 신첨장관사로 옮겨 산묘를 토벌하는 것에 종군했으며, 광동성을 진무하고 관직을 마쳤다. 파주를 평정한 공으로 좌도독을 더하면서 지휘사에 임명되었으며, 1607년에 세상을 뜨자 묘족을 평정한 공으로 태자소보에 추증되고 시호는 충강(忠康)을 받았다.

3. 자손들


진린의 아들 진구경(陳九經)은 이후 나라의 국운을 두고 애산에서 청군과 싸우다 전사했다. 진구경의 아들 진영소는 감국수위사(監國守衛使)로서 일하다 애산에서의 비보에 이어 명나라가 멸망하자 '원수와 같은 하늘을 이고 살 수 없다'며 식솔들을 데리고 고금도를 거쳐 해남에 정착해 조선에 귀화했다. 그 후 후손들은 광동을 본관으로 하고 진린을 시조로 모시는 광동진씨가 되었다. 즉, 진린의 직계 후손은 현재 한국에서 이어지고 있다는 이야기.
해남에 정착한 진씨의 집성촌을 황조리라 하며, 진린을 모시는 사당인 황조별묘(黃朝別廟)도 있다. 2013년 3월에 한국 후손이 광동으로 가서 중국에 남은 후손들과 같이 제례를 올리는 등의 교류가 이어저 오고 있다고 한다.

4. 대중 문화에서



4.1. 불멸의 이순신


불멸의 이순신에서 등장하며, 김하균이 배역을 맡았다. 첫 등장부터 대명의 도독에게 무례하다며 접견나온 군관한테 싸대기를 날리더니 환영회에서 이순신이 직접 따라준 술잔을 이순신 얼굴에다 뿌려버리는 등 온갖 진상과 갑질을 부리는데, 이건 역사적 사실과는 너무나 다르게 과장된 태도다. 상술했듯 이순신과 만나자마자 바로 자세를 낮추며 상급자로 대했는데, 이순신은 명나라 정1품 도독이고 그는 정2품이니 당연한 일이다. 아무튼 드라마에서는 각종 건방진 행위는 다하며 갈등을 빚으나 이순신의 포용력으로 결국 그를 믿고 따르게 된다. 참고로 초기의 무례한 행동은 이순신이란 자를 평가하고 기선을 잡기 위해 의도적으로 벌인 것으로 연출된다.

4.2. 칼의 노래


칼의 노래에서는 부패한 명 수군 제독으로 등장하는데, 덥수룩한 수염을 기른 거대한 체구의 인물로 묘사된다. 주연에서 사슴 다리를 통쨰로 뜯어먹으며 생마늘을 으득으득 씹어먹고 공훈을 세우는 것에 집착하여 전투 중 바다에 떨어진 수급에 욕심을 부리는 면모를 보인다. 충무공과의 첫 만남에서도 천병(天兵)이 천자의 곡식을 먹는 것은 민망한 일이라며 조선 수군에게 군량을 부담시키고 싣고 온 곡식은 횡령하려는 모습을 보이나 충무공이 여러 방면으로 잘 어르고 달래가며 길들인 이후에는 충무공을 중국에서 높은 벼슬을 하며 큰 판을 주물러야 할 사람이라며 추켜세우고 크고 작은 일들에 대체적으로 원만히 협력을 하는 모습을 보인다.
다만 노량해전때에 왜군들에게 뇌물을 받아 활로를 터준 것으로 묘사되고 이것 때문에 충무공이 베어버릴까 고민하는 장면까지 나온다.

4.3. 임진록2


임진록2에서는 명의 화승총 영웅으로 나온다. 이는 수군 영웅들이 모두 원거리 무기를 쓰기 때문. 다른 장수들마냥 그냥저냥한 능력을 지니고 있다. 다만 성능은 딱 거기까지만이고 종합적인 능력은 별거 없다. 나중에 이순신이 조선의 반격에서 멋진 스킬까지 들고나온 반면 이 양반은 그런것도 없었다.
여담으로 조반에서 기공신포는 본래 진린이 사용하던 기술이었으나, 정식 버전으로 오면서 이순신의 기술로 변경.(...) 그리고 시나리오 진행시 임진록 2 조선 시나리오 8장에서 잠깐 언급된 것을 빼면 직접 스토리 진행(브리핑)에 나온 적이 없다.
[1] 충무공을 만나기 이전에는 조선 신하의 목에 밧줄을 묶고 말에 매달아 질질 끌고가서 거의 죽을 뻔했다는 이야기가 있다.[2] 충무공의 군대는 조정의 지원을 받기 어려운 상황이었기에 국빈급 인사임에도 스스로 챙겨야만 했던 것.[3] 왜구의 수급은 돈으로도 보상을 얻을 수 있을 뿐더러, 일정 이상 되면 노비조차 양반까지 될 수 있으며 장수의 경우 전공의 증거가 되어 승진에 도움이 되는 엄청난 물건이었다. 괜히 조선인 시체의 수급으로 구라치려다 귀고리 자국 때문에 들통났다는 이야기가 나오는게 아니다. 평소 충무공이 수급을 얻으려다 적을 놓친다며 수급 얻으려 하는걸 말렸다는 이야기가 있고, 또 바다 전투의 특성상 수급을 구하기 어렵다는 점을 감안하면 진린의 마음을 사고자 단단히 준비했다고 볼 수 있다.[4] 손윗사람을 표현할때 라오예(老爺)라고 한다. 이보다 높은 존칭은 尊,賢이 들어가는 존칭이 많으나, 사실 진린이 이순신보다 2살 많은데 저런 표현 했다는 자체가 충분히 높여준 것이며, 진린의 성정과 공적을 보았을때 그정도 예를 보였다는 점에서 대단한 호의라 할 수 있다. [5] 이것은 조선 왕조 실록에 전할 정도로 유명한 이야기로 진린이 이순신에게 얼마나 존경을 표했는지를 쉽게 알 수 있는 대표적인 예시이다.[6] 이건 당시 동아시아 정치 관계 상 엄청난 일이다. 뭘 해도 황제국명나라조선은 명시적으로 사대주의, 즉 명나라의 제후국 중 하나였기 때문이다. 쉽게 말해 명나라 황제의 대리인 자격으로 참전한 진린이 제후국 조선이순신한테 의전 선순위를 내준 것인데,진린이 진심으로 이순신한테 감복해서 가능했던 일이다.[7] 당시 명군은 조선을 제후국이라 하여 신하들은 물론 왕인 선조까지 무시하는 경우가 태반이었다. 하지만 이순신의 명성과 업적이 임진년부터 자자했고, 특히나 조선수군이 궤멸된 상황에서 울돌목에서 기적의 승리를 일구었으니 이순신에 대한 명군의 평가는 칭찬 일색이었다. 경리 양호를 비롯하여, 군문 형개와 같은 고위직은 물론 진린과 같은 일선에서 싸우는 명군 장수들에게도 이순신은 누구와 달리 인정을 받았고, 이 점이 더더욱 이 누군가가 이순신을 질투하는 원인 중 하나가 된다.[8] 하지만 이순신도 생전에 이를 알고는 있었으나, 과거 명성을 쌓은 것 때문에 선조에게 죽을 뻔한 이후로 오히려 공을 드러내길 꺼리게 됐기에 부담없이 자기 공을 진린에게 퍼주다시피 넘겨주곤 했었다. 그리고 그것과는 별개로 어쨌거나 자기 부하들의 공훈은 꼬박꼬박 챙겨줬고…. 애초에 이순신은 장계를 올릴 때 아예 진린의 공을 적은 거짓 장계와 실제 공로를 적은 진짜 장계 두 개를 올려서 조정에서도 상황은 다 파악하고 있었고, 나중에 명나라에서 진린이 조선군의 전과를 뺏었다는 소문을 듣고 진상 조사를 할 때 진린이 공을 세운 내용의 장계를 보여주어 넘어갔다.[9] 일설에는 선조와 이순신 간의 사이가 안 좋은 것을 알고 의도적으로 이순신의 공적을 깎아 이순신에 대한 선조의 질투를 막고 자신은 실리를 챙겼다고도 한다. 명나라에는 이순신의 공적을 상세히 잘 보고한 점 때문에 나온 이야기이지만 단순한 추측의 영역이며 동시에 이것도 이순신의 약점을 이용한 셈이니 결코 좋은 것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