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전

 



1. 개요
2. 설명
3. 각종 의전
3.1. 사교 의례
3.3. 국가 의전
3.4. 행사 진행
3.4.1. 주요인사 방문 시 확인사항
3.4.2. 안전, 비상
4. 기타


1. 개요


儀典
Protocol
대접, 대우, 행사를 치르는 일정한 법식. 보통은 특정 고위급 인물에 대한 존대나 외교 의례를 가리키는 좁은 의미로 많이 쓰인다.

2. 설명


현실적으로 국가간의 파워 차이는 상당하지만 국가원수외교관 등에 대한 의례는 비교적 동등한 지위로 지켜지고 있다. 이는 국가간의 의례가 대등해야 하는 외교관습에서 비롯된 것이다.
오늘날의 의전은 상당수가 서양의 전통이 규범화된 것이 많지만 동양이나 다른 지방에서도 늘 의전은 있었다. 가령 수나라 시절에 의 사신이 보낸 국서에서 동쪽의 천자가 서쪽의 천자에게 라고 표현한 부분은 당시 중화사상을 당연히 여기던 중국인들에겐 의전상 납득할 수 없는 일이었다. 당나라에서도 마찬가지로 고구려, 백제, 신라, 왜의 사신들은 의전 순서에 따라 당 황제를 만날 수 있었다. 이는 신라 통일 후에도 마찬가지여서 통일신라와 발해의 각 사신과 빈공과 급제자들은 당나라에서 의전 순서를 서로 앞으로 하려고 기싸움을 벌였다(쟁장 사건, 등제서열 사건). 일본이 메이지 유신 이후 다시 조선과 국교를 맺으려고 보내온 국서 역시 조선 입장에서는 무례하기 짝이 없는 것이어서 돌려보내게 되었고 이는 정한론자들의 좋은 시비감이 된 적도 있다. 이 외에도 많은 국서나 문서 등이 직위나 표현 등의 의전문제를 겪었고 아시아유럽이나 이는 마찬가지였다.
게다가 문서 말고도 서로의 문화권이 언행의 예법이 달랐기에 각국 정상에게 사신이 존대하는 법도 문제였다. 건륭제에게 갔던 영국대사 조지 매카트니 역시 서로의 문화가 달라서 황제에게 절대로 절(인사)을 할 수 없다고 버텼고 결국 한쪽 무릎을 꿇는 서양식으로 최고의 예우를 대신했다고 한다. 이와는 반대로 보빙사는 미국에 가서 체스터 아서 대통령을 보고 대통령이 조선의 왕에 상당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최상의 예우인 절을 하였다고 알려져 있다[1]. 예법이 고도로 발달한 조선은 외교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의례가 중시되었다. 국조오례의, 조선왕실의궤는 조선의 의례를 생생하게 보여준다.
이런 사례들이 축적되고 국제적으로 조율되어서 의전은 비록 국가의 규모나 체제는 달라도 최대한 동등하게 서로를 대하는 체계로 발전하였다. 그리고 이런 의전을 어길 경우엔 상당한 외교적 결례가 된다.
아무 것도 안 하는 것 같은 정상회담 전에 국장급의 실무자부터 시작해서 무수히 많은 실무회담을 거치게 되는데, 의전 문제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도 실무진의 중요한 논의 사항이다.[2]
한국보다 규모가 딸리는 북한이 상당히 집착하는 문제이기도 하다. 개성공단 회담 등을 할 때 급이 낮은 실무자를 보냈다고 회담장을 박차고 나가버리고 그런다. 그런데 꼭 북한이라 그런 건 아니고 보통은 동등한 수준의 직위를 보내는 것이 외교적 관습이다. 한국과 북한의 관계는 일반적인 외교 관계와는 또 다른 문제지만. 애초에 정부구조의 차이가 하늘과 땅이라 동일한 수준의 직위라는 게 확실하지 않다는 게 큰 문제.
외교 의전의 5가지 원칙은 존중(Respect), 상호주의(Reciprocity), 문화반영(Reflecting culture), 서열(Rank)[3], 오른쪽(Right)[4]으로 흔히 5R이라고 한다.
의외의 사실인데 한국은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의전 강국이다. 2012 서울 핵안보정상회의 당시에 각국 정상들의 차량이 정확히 1분 단위로 들어온 걸로 유명하다.
의전에서는 을 맞추는 것도 중요하다. 카운터파트가 누구인지. 군대간에 계급 비교할 수 있게 나토코드를 만든 것도 이런 차원도 있다.[5] 서로 다른 군끼리 만나 연합작전하는데 상급대령이랑 준장을 같은 걸로 볼 것인가 하는 문제 등을 위해서.
의장대의 주요 목적 중 하나가 이런 의전 행사를 치르는 것이다.
대부분이 표준화되어 있는 의전에서 가장 어려운 건 '''채식주의자, 혐주, 혐연가'''이다. 도널드 트럼프가 대표적인 혐주 + 혐연가이고,[6] 아돌프 히틀러는 채식, 혐주, 혐연 트리플 크라운인 터라 상대방이랑 식사 자체가 매우 힘들었다고 한다.

3. 각종 의전



3.1. 사교 의례


  • 외교부 홈페이지에 자세히 소개되어 있다.
  • 소개 : 소개에도 순서가 있다. 나이어린 사람을 나이많은 사람에게, 하급자를 상급자에게, 남자를 여자에게 소개하는 식이다.
  • 악수
아랫사람이 먼저 악수를 청하는 것은 예의에 어긋나며, 남자가 여자에게 먼저 악수를 청하는 것도 예의에 어긋난다. 윗사람이 먼저 손을 내밀거나 여자가 먼저 손을 내밀어야 악수를 한다.
악수를 두 손으로 하거나 상반신을 숙이면서 악수를 하면 외국인에게는 모양이 이상해 보이기 쉽다.
  • 포옹
중동, 일부 유럽 (프랑스, 이탈리아)에서는 친밀함의 표시로 포옹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당황해서 거절하면 예의에 어긋난다.
  • 자동차 예절 (지프 제외)
[image][image]
1이 가장 상석이고 3이 가장 말석이다. 운전사가 있는 경우 타고 내리기 편한 조수석 뒷자리가 상석이고, 차주가 직접 운전할 경우 차주와 대등한 위치에서 대화할 수 있는 조수석이 상석이다. 지프의 경우 운전사가 있든 없든 간에 조수석이 상석이다.
  • 파티 예절, 식탁 예절, 호칭

3.2. 직장생활 의전


손님 맞이, 고위직 대접 등을 말한다.
예를 들어 지사장에게 손님이 왔다고 하자. 그러면 웃으면서 다가가 인사하고 문을 열어다주고 목적지를 물어본 뒤 지사장실로 안내하고 음료수를 가져다 주는 과정이 이 경우의 의전에 해당한다.
이 의미의 의전은 총무 부서의 직무이므로 해당 항목으로.

3.3. 국가 의전


  • 순방 : 한국 높으신 분이 외국을 방문할 경우 외교부가 담당한다.
  • 외빈 방한 영접 : 외국 높으신 분이 한국을 방문할 경우 외교부가 담당한다. 국가원수, A급 총리(행정수반인 총리), B급 총리(행정수반이 아닌 총리, 부통령, 왕세자), 외교부장관 등의 신분으로 나누어 그에 맞는 영접을 한다.
  • 외교사절 파견 : 한국 외교관을 외국에 파견할 경우 외교부가 담당한다.
  • 외교사절 접수 : 외국 외교관이 한국에 부임할 경우 외교부가 담당한다.
  • 상훈 : 외국인에게 한국 정부의 훈장을 줄 경우 외교부가 담당한다.
  • 사열 : 외국의 국가원수가 방문할 때, 대한민국 국군의장대사열을 하는 의전 행사를 담당한다.

3.3.1. 의전서열



3.4. 행사 진행



3.4.1. 주요인사 방문 시 확인사항


○ 인적사항 : 성명, 직책, 생년월일, 학력, 경력 등
○ 종교(금기사항, 준수사항)
○ 건강관계
○ 배우자 동반 여부 및 희망 일정
○ 공식 수행원의 인적사항 : 성명 및 직위(서열순), 약력, 사진
○ 공항이용 : 항공기편, 도착 및 출발 장소와 시간
○ 내빈이 주최하기를 희망하는 연회 : 리셉션, 답례 만찬 등
  • 내빈이 특히 희망하는 일정 : 문화재 답사, 현장시찰[7], 좌담, 브리핑 등. 그 나라 교민과 면담을 희망하는 경우도 있다.
  • 내빈의 기호파악
    • 취미, 운동, 음식, 차, 담배 등
    • 선물교환
    • 숙소 (내빈의 희망 : 온돌, 침대 등)

3.4.2. 안전, 비상


  • 우천시 텐트, 우산, 우의, 차량, 인원 대피장소 등이 필요하다.
  • 전기, 통신, 조명, 가스, 엘리베이터가 갑자기 고장나면 곤란하다. 대체 장비가 있어야 하고 사전에 시설을 점검해야 한다.
  • 인명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대형 행사의 경우 소방서와 연계해서 진행하고 응급구조요원을 배치한다.

4. 기타


의전은 상대에 대한 예의이기 때문에 꼭 필요하지만, 과하거나 부족해서는 안 된다. 의전에 있어 시간 엄수는 당연한 것임에도 정상회담에서 지각을 기본으로 아는 블라디미르 푸틴이 의전 부족의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겠으며, 반대로 과한 의전의 대표라면 군대에서 사단장이 방문한다고 했을 때 벌어지는 일들을 생각해 보면 된다.

[1] 절을 한 후에 일어나 악수를 하여 조선의 예법과 상대국인 미국식 예법을 모두 하였다고 한다.[2] 물론 가장 중요한 것은 회담 안건에 대한 조율과 그에 대한 상호간의 입장을 확인하는 것이다.[3] 외교관들이 특히 이 문제에 집착한다. 국가원수정부수반보다 높고 동급이면 재임기간 순서로 정한다. 이때문에 군주국의 국가원수들이 공화국의 국가원수에게 존중받게 된다. 원래 군주국의 국가원수를 극존중해주는 게 관례이긴 하다.[4] 상석이 오른쪽인 것. 사열에서도 손님은 오른쪽에 선다.[5] 물론 주 목적은 지휘 서열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6] 2017년 트럼프가 한국을 방문하게 되었을 때 청와대가 가장 고민한 메뉴가 음료였다. 청와대 말고 타 국가 정상들도 그와의 만남에서는 술을 꺼내지 못했는데, 세계가 주목하는 유일의 초강대국 대통령이 술을 안 마시겠다는데 본인들이 마실 수는 없으니...[7] 특별히 방문하기를 원하는 기관 위주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