쯔놈

 




字喃[1] / 자남 / chữ Nôm[2]
1. 개요
2. 상세
3. 쯔놈의 예
4. 컴퓨터 입력
5. 외부 링크


1. 개요


베트남어를 표기하기 위해 만들어진 베트남의 고유한 표어 문자.
13세기에서 20세기까지 사용되었고, 떠이선 왕조때 공식문자로 지정되기도 했다. 그러나 베트남이 서구 열강의 영향을 받은 이후에 라틴 문자 표기법인 쯔꾸옥응으가 만들어지고 프랑스 식민 치하에서 쯔꾸옥응으가 보급되면서 너무 글자수가 많고 어렵던 쯔놈은 급속히 사장되어[3] 쯔놈은 현재는 잘 사용되지 않으며[4], 물론 쯔놈과 한자를 교과과정에서 아예 안 가르치는것은 아니지만 비중이 별로 크지 않아 그저 고전문학이나 역사를 배울때 곁다리로 배우는 수준이다. 물론 베트남내에서도 국문학과나 역사학과로 진학하거나 서예가 등 전통문화 관련 종사자들은 쯔놈을 외우고 다니기는 하며 멋내기용으로 쯔놈을 쓰는 경우도 있기는 하다. 다만 중국에 사는 킨족들은 프랑스의 지배를 받지는 않았기 때문에 아직도 쯔놈을 한자와 혼용하면서 쓰기는 쓴다.
독자 문자는 아니고 한자의 확장형에 가깝다. 회의, 형성, 가차 등 한자의 기본 구성 원리를 그대로 사용하여 베트남어 고유의 단어를 표기하는 글자를 새로 만든 것이다. 또한 몇몇 글자는 기존의 한자를 그대로 들여와 쓰기도 하였다. 한국일본에도 제각각 고유 한자가 있고 중국 역시 지역마다 지역 방언을 옮겨쓰기 위한 지역의 고유 한자가 있는데 이것의 스케일이 더 커진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쯔놈은 베트남 고유의 글자를 뜻하는 말이며, 중국에서 건너온 일반적인 한자는 그냥 한뜨(Hán Tự 漢字), 그것을 글로 만들어 '한문'으로 쓴 것은 쯔뇨(Chữ Nho 𡨸儒)라고 한다. 또, 한자와 쯔놈을 함께 사용하여 베트남어 고유의 문장을 표기한 것은 한놈(Hán Nôm 漢喃)이라고 한다. 개념에 차이가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2. 상세


고전 문헌에서는 주로 한자(한뜨)와 병행하여 베트남어 고유의 낱말을 나타내는데 쓰였다. 시나 운문으로 된 문학작품 가운데는 쯔놈만으로 이루어진 것도 있다.
쯔놈 중에는 베트남 고유어가 아닌 것도 있다. 베트남어에서 각 한자의 발음이 여러 개로 분화된 단어가 많이 있는데, 그 중에 특정 발음임을 나타내기 위해 다른 한자를 덧붙여서 구분을 해주기도 한다. 예를 들어, 베트남어에서는 '字'라는 글자의 음이 여러 개로 분화되었는데, 그 중에 쯔(chữ) 발음으로 읽는 경우라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발음이 비슷한 宁[5]를 덧붙인 형성자 𡨸를 만들어서 만들었다.[6] 이런 글자들은 베트남어의 한자 발음들 중 하나를 명확히 나타내기 위해 만들어졌으므로 고유어를 표기하기 위한 용도가 아니다.
쯔놈과 원래의 한자를 뒤섞은 문체는 베트남 옛 왕조의 문서에서도 사용되었으나, 자체와 표기는 거의 통일이 되지 않아 여러 종류가 있다.
유니코드에는 다른 한자들과 함께 '한자 확장B' 영역에 4232자 정도가 있고, 금석문자경에는 약 9000자가 수록되었다.

3. 쯔놈의 예


쯔놈
그림
소리값

원리
𡗶
[image]
trời
하늘
天+上으로 만들어진 회의자
𠀧
[image]
ba

巴(소리)+三(뜻)으로 만들어진 형성자
𧘇
[image]
ấy
그것, 그것들
소리가 비슷한 衣에서 윗부분을 없앰.


làm
하다
뜻이 같은 爲에서 아랫부분을 없앰.


sào
길이의 단위
소리가 비슷한 高(cao)에서 가차.
나무위키 표어의 베트남어 역본을 한놈으로 표기하면 다음과 같을 것이다.

Namuwiki、𣘃見識𦓡各伴𣎏體發展。

Namuwiki, cây kiến thức mà các bạn có thể phát triển.

나무위키, 모두가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지식의 나무

현대 베트남의 경제 개방정책인 도이머이(Đổi mới)(쇄신)는 쯔놈으로 쓰면 𣌒𡤓(易 옆에 對, 始 밑에 買, 유니코드: U+23312, U+21913)가 된다.
아래는 "Giải phóng miền Nam(解放沔南; "남부 해방")"이라는 노래의 가사를 쯔놈과 일반 한자(한뜨)로 표기한 것이다.[7] 중간중간마다 뭔가 한중일에서 흔히 볼 수 없었던 글자가 보인다면 그게 바로 쯔놈이다. 나머지는 그냥 한자. 물론 이 가사는 제목 그대로 현대에 만들어진 노래이므로 원 가사는 쯔꾸옥응으로 쓰여있다.
[image]

4. 컴퓨터 입력


베트남에서 오늘날 쯔놈을 비롯한 한자가 거의 쓰이지 않다보니 드물기는 하지만, 쯔놈을 컴퓨터 키보드로 입력하고자 한다면 중국/일본에서 한어병음/가나를 입력하고 IME를 통해 한자로 변환하듯이 베트남에서도 쯔꾸옥응으(로마자)로 죽 적으면 IME의 도움을 받아 쯔놈 등의 한자로 변환한다. 다만 한놈 표기가 한국에서의 한자의 위상보다도 마이너한 관계로, 이러한 변환 기능이 OS 내장 IME에 탑재되어 있지는 않고, 서드파티 IME를 사용해야 한다. 온라인 입력기도 있는데 다음 문단을 참고할 것.

5. 외부 링크


  • 이 사이트에서 다양한 쯔놈 문자와 뜻을 볼 수 있다. 영문 사이트이니 유의할 것.
    • 온라인 쯔놈 입력기: 위 사이트 내에 있는 입력기. 쯔꾸옥응으를 입력하면 거기에 해당되는 한자와 쯔놈으로 변환할 수 있다.
  • 또다른 쯔놈 사이트
  • 비나위키 - 한놈(漢喃) 표기를 사용하는 베트남어 위키. [8] 베트남한놈부활위원회(委班復生漢喃越南; Ủy Ban Phục Sinh Hán-Nôm Việt Nam)에서 운영... 하지만 서버가 자주 죽는다.
    • 비나위키 위키 - 위의 위키가 FANDOM 시절에 쓰던 사이트. 혹시 위 링크가 접속되지 않으면 대신 들어가 보자.
  • 쯔놈 사전(Tự Điển Chữ Nôm Trích Dẫn)
  • 한자 사전(Từ điển Hán Nôm)
[1] 첫 번째 글자는 字, 𫳘(⿰字宁), 𪧚(⿰字守), 𡨸, 茡, 芓, 𫿰(⿰字文), 𡦂, 佇, 宁 등으로 쓸 수 있고, 두 번째 글자는 喃 또는 諵으로 쓸 수 있다.[2] 외래어 표기법의 베트남어 표기법 추가 이전에는 '추놈'으로 표기되었다.[3] 사실 이웃나라 캄보디아와 라오스는 고유의 표음문자를 지니고 있고, 한때 대립했다가 베트남에 합병된 참파에서도 인도 문자를 변형시켜서 고유문자를 만들었기 때문에 베트남에서도 쯔놈말고도 충분히 다른 표음문자를 만들 수 있었겠지만 따로 표음문자를 만들어 쓰지는 않았다.[4] 북베트남에서 1950년에 쯔놈 과목이 폐지되었다. 남베트남에서는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쯔놈을 배우도록 했지만, 당대 남베트남의 교육수준에서는 어차피 대다수는 쯔놈을 곁다리로 배우기는 마찬가지였다.[5] 쌓을 저. 貯·儲의 본 글자. 참고로 오늘날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원래 용법을 무시하고 寧의 간화자로 쓰고 있음.[6] 이 글자는 '쯔놈'의 '쯔'를 표기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글자 字·𡨸·𡦂 중 하나이다.[7]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Mặt trận Dân tộc Giải phóng miền Nam Việt Nam; 𩈘陣民族解放沔南越南. 흔히들 베트콩이라고 부르는 그 곳)에서 작사. 그래서 가사가 왠지 미제(Đế quốc Mỹ; 帝國美)를 까부수자는 내용이다(...). 1969-1976년까지 남베트남 공화국의 국가로 사용되었다.[8] http://www.soccer-cjkv.com 자체는 동아시아 클럽 랭킹이라는 사이트로, 동아시아 축구 연맹(EAFF)과 아세안 축구 연맹(AFF) 회원국의 축구 클럽들의 순위를 다룬다. 대체 왜 이 서버 안에 비나위키가 들어갔는지는 알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