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언자
1. 개요
1. 개요
方言字
한문에는 없으나 중국어의 여러 방언들을 음 그대로 옮겨적기 위해 만들어진 한자들을 말한다. 각 지역의 고유 한자라는 면에서 한국이나 일본의 국자, 베트남의 쯔놈과 비슷하다.
동아시아의 각종 문헌에서 쓰이는 한자들은 대부분 2000여 년 전에 쓰인 고대 중국어에 기반한 한문에서 유래한 것이다. 중국 역사 중 극초기를 제외하면, 중국에서 글말로 썼던 한문은 역사적으로 중국어 입말인 구어체와는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이미 한나라 대에 들어서면서부터 구어체와 문어체의 차이가 생기기 시작하고, 수나라나 당나라 대에 이르러는 구체적인 한문 지식이 없으면 둘이 완전히 다른 언어로 보일 정도로 달라지게 된다.[1] 그래서 공식적인 기록은 대부분 한문으로 남아 있지만, 가끔 입말 그대로 옮겨적는 기록도 있는데 이러한 문체를 '백화문'이라 한다.
백화문을 쓸 때는 입말 그대로 옮기기 위해 기존의 한자를 빌려와 표기하거나 새로이 한자를 만든다. 드넓은 중국 대륙에서는 당연히 서로 크게 이질적인 방언(다른 언어라고도 볼 수 있는)이 쓰였으므로 자연히 특정 지역에서만 쓰이는 한자의 훈/음이나 한자가 생겨나게 된다. 좁게는 후자를, 넓게는 전자와 후자 모두를 방언자라 한다. 오늘날에도 중국의 지명에서 이 방언자들을 많이 볼 수 있는데, 그 중 잘 알려진 사례로 선전의 圳이 있다.
중국어(표준중국어)를 배우게 되면 한국에서 한자를 열심히 배웠다 하더라도 생판 처음 보는 한자들을 보게 될 것인데, 이것들은 본래 전통 한문에서 쓰이지 않는 북경 관화의 방언자가 대부분이다. 물론 백화운동으로 한문을 안 쓰고 북경 관화 백화문을 표준화해 표준어로 쓰게 된 지금은 엄밀하게 이를 '방언자'라 하기 어려워졌다.
물론 다른 중국어의 방언들, 예를 들면 상해어나 광동어나 대만어, 객가어 등에서도 이런 방언자를 볼 수 있다. 조금 예를 들자면 광동어에서 보이는 㗎, 乜, 嘢, 喺, 氹, 冇, 嘅, 哋, 嚟, 啲, 𡃁 등이나 대만어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埕[2] , 𨑨, 迌, 𣍐 등이 있다. 그러나 전통적으로 중국어권은 한문, (20세기부터) 북경 관화를 표준어로 써왔기에 북경 관화를 제외한 다른 사투리의 방언자들은 광동어 방언자 정도를 제외하면 표준화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유니코드에 해당 한자가 없는 경우가 많다.
드물게 일본어에도 존재하는데, 중국어처럼 지명에 많이 존재한다. 일본에는 물론 고유 한자인 국자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전국적으로 쓰이는 게 아닌 특정 지역에서만 쓰는 한자가 있었는데 이를 방언자라 한 것이다. (류큐어를 일본어의 사투리로 보는 관점을 따른다면) 오키나와에 방언자를 쓴 지명들이 많다.
[1] 문어 대 문어가 아닌, 재구된 상고한어(상나라~서진시대의 중국어)발음과 재구된 중고한어(남북조~남송)발음을 비교해 보면 이게 같은 언어인가 싶을 정도로 아예 다르다.[2] 대만의 동네 이름에서도 많이 쓰인다. 대표적으로 가오슝에 鹽埕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