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천문자

 



則天文字
1. 개요
2. 글자


1. 개요


중국 나라 때 측천무후가 만든 문자. 문자라는 이름이 붙어 있으나, 기존의 한자와 완전히 다른 문자가 아닌 한자의 제자원리에 따라 만들어진 특수한 한자라 할 수 있으며, 새로운 한자를 여럿 추가시킨 개념에 가깝고 기존에 존재하던 한자와 섞어쓰는 경우도 많았다. 한자의 분류인 육서에서는 상형이나 회의로 분류된다. 현재 17자 정도가 전해지며, 이 글자들은 모두 유니코드에 등록되어 있다.[1]
당나라는 중국 역사상 매우 개방적인 왕조로 주변국과 교류가 많았기 때문에 신라, 일본 등 주변국에서도 측천문자를 사용했다. 또한 상당수가 측천무후 시기에만 쓰이다가 이후 사용을 금지해 사멸했기 때문에 측천문자가 사용된 글은 연대 추정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가장 가까운 예가 바로 최초 목판 인쇄물인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다.[2]
서양에도 비슷한 게 있다. 바로 로마 황제 클라우디우스가 만든 Claudian Letters.

2. 글자


  • 글자가 깨지는 경우에는 유니코드 번호(U+****)를 클릭해 유니코드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정자
신자
설명


U+66CC
明과 空(또는 日, 月, 空 세 글자)의 합자. 일월당공(日月當空)이라고도 한다. 측천무후 본인의 이름으로 쓰였다.

U+77BE
위 글자를 잘못 쓴 경우. 쌍목당공(雙目當空)이라고도 한다. 위 글자가 측천무후의 이름으로 쓰여서 이를 피하기 위해 다른 형태로 쓰였다는 설도 있다.

𠑺
U+2047A
天자의 전서체를 변형한 형태.
𠀑
U+20011
위 글자가 또 변형된 형태. 자세히 보면 병(丙)과 비슷하나 좀 다르다.


U+57CA
山, 水, 土 세 글자의 합자. 산의 물이 땅에 도달하는 대지를 의미한다.

𡆠
U+211A0
乙 부분은 삼족오를 형상화한 것. 원래 테두리가 둥근 모양이었는데, 활자를 만들면서 네모 테두리가 되었다고 한다.


U+56DD
口는 보름달의 윤곽을, 子는 중국 전설상의 달토끼 또는 두꺼비를 의미한다. 보름달의 형상이므로 𠥱보다 길한 글자라는 인상을 준다. 옛 민나라 방언으로 자식을 뜻하는 건(囝)과는 모양만 같은 별개의 글자다.[3] 현대 중국에서는 仔(자세할 자)자의 이체자로 취급된다.
𠥱
U+20971
匚는 3개월을, 出는 중국 전설상의 달에 사는 두꺼비를 의미한다. 生에 해당하는 측천문자 𠤵의 이체자라는 설도 있다.


U+3007
둥근 별의 모양을 나타낸 전형적인 상형자. 현대에는 0(=零)의 의미로, 西紀二〇一〇年과 같이 쓰인다. 독음도 같이 변하여 '''영'''(←령)으로 읽는다.

𠺞
20E9E
天, 大, 吉 세 글자의 합자.
𠁈
U+20048
위 글자가 활자를 만들기 쉽도록 변형된 형태.
𠱰
U+20C70
위 글자가 활자를 만들기 쉽도록 변형된 형태.

𢘑
U+22611
一과 忠의 합자. '신하의 제1덕목은 충성'이라는 의미이다.

𠀺
U+2003A
天과 興의 합자. 측천무후의 치세 동안 가정(苛政: 가혹한 정치)과 폐정(弊政: 폐해가 많은 정치)이 없는 신세계를 만들겠다는 뜻이다.

𡕀
U+21540
載자 자체를 변형한 것.
𠧋
U+209CB
위 글자의 이체자.

𡔈
U+21508
天, 明, 人, 上 네 글자의 합자인데, 얼핏 보면 전혀 안 그래 보인다(…)[4] '하늘의 광명으로 온 세상을 비춘다'는 의미이다.

𠡦
U+20866
千, 万이 2개씩 들어간 합자. 왕조가 오랫동안 이어지리라는 의미. 千千力力으로 풀면 의미가 통하지 않는다. 力 부분은 卍의 변형인 가 변해서 된 것이라고도 한다.
𠦚
U+2099A
위 글자에서 가로획 하나가 빠진 형태.

𠙺
U+2067A
王의 이체자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𥢓
U+25893
授의 옛 형태의 변형. 아래 형태보다 많이 사용되었다.
𥠢
U+25822
위 글자가 활자를 만들기 쉽도록 변형된 형태.

𤪉
U+24A89
永, 主, 久, 王의 합자.
𨭻
U+28B7B
위 글자가 변형된 형태. 永은 求로, 主는 全으로 바뀌었으며 久와 王이 합쳐져 金이 되었다.

𨲢
U+28CA2
長, 正, 主의 합자. 정통성 있는 군주인 측천무후가 오랜 치세를 이어갈 것임을 뜻한다.


U+5700
팔방토지(八方土地)라고도 한다. 원래 글자인 國이 或/惑 등과 통해 불길한 글자로 간주되어 바뀌었다. 원래 口 안에 무측천을 뜻하는 武자를 넣은 모양으로 '무측천이 나라를 다스린다'는 의미였으나 후에 '무측천이 옥에 갇힌 모양이라 불길하다'하여 이 형태로 바뀌었다. 일본에서는 그 이후로도 계속 国자와 통용되어 오고 있다. 그 예 중 하나가 도쿠가와 미츠쿠니(德川 光圀).

𤯔
U+24BD4
一과 生의 합자. 사람의 생은 하나 뿐임을 의미한다.

𢈗
U+22217


𠤵
U+20935


𠩍
U+20A4D


[1] 아래 표에서 유니코드 표가 4자리인 것은 BMP, 5자리인 것은 SIP이다.[2] 석가탑 중수기문과 관련하여 고려시대인 1024년 재인쇄설도 있기는 하지만 지지율은 비교적 낮다. [3] 이 한자는 의외로 한국사에서도 구경할 수 있는데, 정약용애절양을 지을 때 이 민나라의 풍습을 인용한 구절이 있기 때문이다.[4] 위쪽이 天+明, 아래쪽이 人+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