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구정광대다라니경
無垢淨光大陀羅尼經 무구정광대다라니경
[clearfix]
김대성이 통일신라 경덕왕 10년(751)에 불국사에 석가탑을 세우고 탑 속에 넣은 듯 보이는 불경. 국보 제126호인 불국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의 일부를 이룬다. 불교중앙박물관이 소장했지만 현재는 불국사 성보박물관에서 소장 중이고,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경주박물관이 복제본을 전시 중이다.
지금까지 남아있는 것 중에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물'''로 한국에서 유명한데.. 제작연대가 구체적으로 확실하지는 않아서 이설이 있다. 아래의 제작연대 논란 단락 참조.
너비 약 8 cm, 폭 6.5∼6.7 cm에 전체 길이 620 cm인 두루마리에 1행 8∼9자씩 다라니경을 적었다. 발견 당시 두루마리 중간까지 부식되고 산화되어 알아보지 못하는 부분이 있었는데, 발굴 후 20여 년 사이 부식이 심해지는 문제가 발생, 1988년에서 1989년 사이에 대대적으로 보수했다.
1966년 석가탑의 사리함을 노린 도굴[1] 로 석가탑이 손상을 입고 붕괴 위기에까지 몰리자 긴급하게 유지, 보수를 위해 해체작업을 하던 중 석가탑 2층에서 사리구와 함께 발견되었다. 이 과정도 순탄치가 않았다. 2층 옥개석을 들어올리던 중 옥개석의 무게를 이기지 못한 나무지주가 부러지면서 옥개석이 땅바닥에 추락하는 사고가 났다.[2] 이러면서 2층 탑신 내부가 노출되어 그 안의 사리감이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의 제작 시대는 대략 704년~751년 사이로 추정한다. 근거는 산스크리트어로 된 다라니경이 처음 중국에서 한자로 번역된 것이 704년이고 석가탑의 제작 시작이 751년이라는 것이다. 또한 무구정광대다라니경에는 지(地)가 埊으로, 초(初)가 𡔈로 기록되었는데, 이는 당나라 측천무후 시기인 690년∼704년에만 사용된 무주제자(武周制字)이다. 그렇기 때문에 못해도 불국사를 건립한 751년 이전에 만들어졌을 확률이 높다는 것이 한국 학계의 주장이다.[3]
여하튼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의 정확한 제작'연도'를 모른다는 약점이 있어 중국은 690년에 간행되었다고 주장하는 묘법연화경을, 일본은 770년에 간행되어 소장 중인 백만탑다라니경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인쇄물이라고 주장한다.
한국학자의 노력에 의해 무구정광 대다라니경은 706년으로 판명되었다
청주대학교 김성수 교수는 경주시 구황리 삼층석탐에서 발견된 사리외함에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을 함께 안치했다고"새긴 글씨(706년제작)와 석가탑에서 발견된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의 권미제(제작에 참여한 사람 명단) 필적이 같은 사람임을 밝혀냈다
동시에 글 자체가 신라특유의 필체이므로 사리함 제작시기와 같은 706년이라고 했다[출처:한국7대 불가사의, 이종호 지음]
하지만 중국이 여전히 자신이 최초라는 고집을 꺾지 않고 있어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은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해 유네스코에 심사를 했지만, 현존 최고의 금속활자 인쇄물인 직지심체요절과는 달리 아직까지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또한 저자가 확실한 직지심체요절과는 달리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의 저자가 적히지 않아 기록연도를 확증할 방법이 없어 공식적으로 인증받기는 어렵다. 이는 묘법연화경이나 백만탑다라니경 또한 마찬가지라서 기네스북에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인쇄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무구정광대다라니을 신라에서 만들었다는 것이 정설이다. 재료인 종이의 성분[4] 과 활자의 서체가 8세기 신라의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다라니경이 발견되자 중국에서는 무주제자(武周制字)[5] 가 있으니 중국산이라고 주장했지만, 한국 사학계에서 침착하게 반론을 제시했다.
무주제자는 한반도에서도 쓰였다. 8~9세기 동아시아 사회는 정세가 비교적 안정되어 수많은 신라방이 중국 각지에 형성되었을 정도로 한중 교류가 활발했으므로 중국에서 새로 만든 한자는 한국에서도 금방 들여와 쓰였다.
또한 전근대 중국에서 만든 인쇄물이라면 황제의 이름자를 빼는 피휘를 반드시 했는데, 불교가 탄압받아서 반체제 성향을 띠던 때도 아니고 중국에서 불교가 국가적으로 흥성했던 시대인데도 무구정광대다라니경에는 당시 중국의 여황제 측천무후의 휘[6] 인 조(照) 자가 다라니경에 버젓이 들어갔다. 즉 황제의 이름자를 빼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런 짓을 만약 중국 내에서 실수로라도 했다간 장형이나 귀양은 물론 활판 파기 후 재제작은 기본 옵션으로 각오해야 하고, 먄약 인쇄가 되어서 대중들에게 풀렸다면 관계자 전원 황제능멸죄로 모가지가 나갔을 것이다. 하물며 한 국가의 불사와 관련하여 공식적으로 외국까지 나가기란 더더욱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즉 중국 피휘의 영향을 받지 않는[7] 신라에서 제작되었다고 봄이 더 타당성 있다.
석가탑 중수기문에서 1024년 석가탑을 중수하면서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을 안치했다는 내용이 있어 통일신라시대가 아닌 고려시대에 제작하여 탑에 넣은 것이 아닌가 하는 논란이 있다. 다만 그렇다면 측천무후 재위기에만 사용되고 그 직후 금지된 무주제자(武周制字)를 측천무후 사후 3백 년이 지나 고려시대에 사용했다는 말이 된다. 다만 원본을 재인쇄하여 안치하였다면 말이 되긴 한다.
[clearfix]
1. 개요
김대성이 통일신라 경덕왕 10년(751)에 불국사에 석가탑을 세우고 탑 속에 넣은 듯 보이는 불경. 국보 제126호인 불국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의 일부를 이룬다. 불교중앙박물관이 소장했지만 현재는 불국사 성보박물관에서 소장 중이고,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경주박물관이 복제본을 전시 중이다.
지금까지 남아있는 것 중에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물'''로 한국에서 유명한데.. 제작연대가 구체적으로 확실하지는 않아서 이설이 있다. 아래의 제작연대 논란 단락 참조.
2. 형태
너비 약 8 cm, 폭 6.5∼6.7 cm에 전체 길이 620 cm인 두루마리에 1행 8∼9자씩 다라니경을 적었다. 발견 당시 두루마리 중간까지 부식되고 산화되어 알아보지 못하는 부분이 있었는데, 발굴 후 20여 년 사이 부식이 심해지는 문제가 발생, 1988년에서 1989년 사이에 대대적으로 보수했다.
3. 발견
1966년 석가탑의 사리함을 노린 도굴[1] 로 석가탑이 손상을 입고 붕괴 위기에까지 몰리자 긴급하게 유지, 보수를 위해 해체작업을 하던 중 석가탑 2층에서 사리구와 함께 발견되었다. 이 과정도 순탄치가 않았다. 2층 옥개석을 들어올리던 중 옥개석의 무게를 이기지 못한 나무지주가 부러지면서 옥개석이 땅바닥에 추락하는 사고가 났다.[2] 이러면서 2층 탑신 내부가 노출되어 그 안의 사리감이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4. 논란
4.1. 제작연대 및 최고(最古) 논란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의 제작 시대는 대략 704년~751년 사이로 추정한다. 근거는 산스크리트어로 된 다라니경이 처음 중국에서 한자로 번역된 것이 704년이고 석가탑의 제작 시작이 751년이라는 것이다. 또한 무구정광대다라니경에는 지(地)가 埊으로, 초(初)가 𡔈로 기록되었는데, 이는 당나라 측천무후 시기인 690년∼704년에만 사용된 무주제자(武周制字)이다. 그렇기 때문에 못해도 불국사를 건립한 751년 이전에 만들어졌을 확률이 높다는 것이 한국 학계의 주장이다.[3]
여하튼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의 정확한 제작'연도'를 모른다는 약점이 있어 중국은 690년에 간행되었다고 주장하는 묘법연화경을, 일본은 770년에 간행되어 소장 중인 백만탑다라니경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인쇄물이라고 주장한다.
한국학자의 노력에 의해 무구정광 대다라니경은 706년으로 판명되었다
청주대학교 김성수 교수는 경주시 구황리 삼층석탐에서 발견된 사리외함에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을 함께 안치했다고"새긴 글씨(706년제작)와 석가탑에서 발견된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의 권미제(제작에 참여한 사람 명단) 필적이 같은 사람임을 밝혀냈다
동시에 글 자체가 신라특유의 필체이므로 사리함 제작시기와 같은 706년이라고 했다[출처:한국7대 불가사의, 이종호 지음]
하지만 중국이 여전히 자신이 최초라는 고집을 꺾지 않고 있어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은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해 유네스코에 심사를 했지만, 현존 최고의 금속활자 인쇄물인 직지심체요절과는 달리 아직까지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했다. 또한 저자가 확실한 직지심체요절과는 달리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의 저자가 적히지 않아 기록연도를 확증할 방법이 없어 공식적으로 인증받기는 어렵다. 이는 묘법연화경이나 백만탑다라니경 또한 마찬가지라서 기네스북에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인쇄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4.2. 제작장소 논란
무구정광대다라니을 신라에서 만들었다는 것이 정설이다. 재료인 종이의 성분[4] 과 활자의 서체가 8세기 신라의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다라니경이 발견되자 중국에서는 무주제자(武周制字)[5] 가 있으니 중국산이라고 주장했지만, 한국 사학계에서 침착하게 반론을 제시했다.
무주제자는 한반도에서도 쓰였다. 8~9세기 동아시아 사회는 정세가 비교적 안정되어 수많은 신라방이 중국 각지에 형성되었을 정도로 한중 교류가 활발했으므로 중국에서 새로 만든 한자는 한국에서도 금방 들여와 쓰였다.
또한 전근대 중국에서 만든 인쇄물이라면 황제의 이름자를 빼는 피휘를 반드시 했는데, 불교가 탄압받아서 반체제 성향을 띠던 때도 아니고 중국에서 불교가 국가적으로 흥성했던 시대인데도 무구정광대다라니경에는 당시 중국의 여황제 측천무후의 휘[6] 인 조(照) 자가 다라니경에 버젓이 들어갔다. 즉 황제의 이름자를 빼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런 짓을 만약 중국 내에서 실수로라도 했다간 장형이나 귀양은 물론 활판 파기 후 재제작은 기본 옵션으로 각오해야 하고, 먄약 인쇄가 되어서 대중들에게 풀렸다면 관계자 전원 황제능멸죄로 모가지가 나갔을 것이다. 하물며 한 국가의 불사와 관련하여 공식적으로 외국까지 나가기란 더더욱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즉 중국 피휘의 영향을 받지 않는[7] 신라에서 제작되었다고 봄이 더 타당성 있다.
4.3. 석가탑 중수기문 내용 관련 논란
석가탑 중수기문에서 1024년 석가탑을 중수하면서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을 안치했다는 내용이 있어 통일신라시대가 아닌 고려시대에 제작하여 탑에 넣은 것이 아닌가 하는 논란이 있다. 다만 그렇다면 측천무후 재위기에만 사용되고 그 직후 금지된 무주제자(武周制字)를 측천무후 사후 3백 년이 지나 고려시대에 사용했다는 말이 된다. 다만 원본을 재인쇄하여 안치하였다면 말이 되긴 한다.
5. 바깥고리
6. 같이보기
[1] 이 도굴꾼들은 황룡사 목탑지의 사리장엄구도 도굴하였으며, 이후 수사로 황룡사 사리장엄구는 회수에 성공하였으나 사리와 사리함은 사라져 버린 후로 지금까지 문헌기록을 제외한 실물은 존재조차 확인되지 않았다.[2] 나무 지주로 당시에 쓰이던 나무 전봇대를 가져다 썼는데 이 전봇대 중 하나가 속이 썩어 무게를 지탱하지 못하고 부러졌다. 도굴꾼들의 장비가 체인블럭과 유압잭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아직 나라가 가난하던 시절이라 일개 도굴꾼보다 국가기관의 장비가 더 열악했던 것이다. 당시 국가가 얼마나 가난했는지 짐작해볼 만한 대목이다. 추락한 옥개석은 일부가 파손되었는데 석가탑 2층 옥개석 모서리에서 볼 수 있는 부자연스럽게 이어붙인 듯한 부분이 바로 그 흔적이다.[3] 불국사에 위치한 불국사 성보 박물관도 해당 내용을 소개한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도 마찬가지이다.##[4] 전남 구례 화엄사 서탑에서 발견된 백지묵서경과 같은 재질로 판명되었다. 백지묵서경 역시 무구정광대다라니경과 같은 시대인 8세기 서책.[5] 당나라 측천무후 제위기에 만들어 쓴 글자. 690년부터 704년까지 쓰였지만 705년 당 중종이 사용을 중지했다.[6] 황제나 높은 분의 이름[7] 물론 신라, 조선 등 한국 역대 왕조도 중국에 보내는 외교문서나, 흥례문 현판처럼 중국 사신의 눈에 띌 확률이 높은 경우에는 중국 피휘를 챙겨줬지만 이런 국내용 문서에는 해당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