턴테이블리즘
Turntablism
디제잉의 일종이자, 음악의 한 장르 혹은 기법. 그 핵심은 '''두 대의 턴테이블과 믹서의 조합을 하나의 악기로 삼아 연주하는 것'''이다.
턴테이블리즘은 다음과 같은 디제잉의 다른 형태들과 비교해볼 수 있다:
턴테이블리스트들이 쓰는 연마하고 사용하는 대표적인 기술은 다음과 같다:
턴테이블리즘의 뿌리는 힙합의 탄생과 일치하지만, 뉴욕의 하위 문화에 불과했던 힙합 문화가 세계적으로 뻗어나가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던 사건은 1984년 그래미상 시상식에서 허비 행콕 밴드가 선보였던 Rockit 라이브 무대였다. Grandmaster DS.T가 선보였던 스크래칭은 그 다음 세대의 수많은 DJ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2002년에 여러 후배 턴테이블리스트들이 "Rockit 2.002"라는 제목으로 리메이크곡을 내놓기도 했다.
1990년대 이후 명성을 떨친 유명한 턴테이블리스트 밴드들은 다음과 같다:
현대에는 곡이 담긴 매체로 광학 디스크를 사용하거나(CDJ) 실제 LP를 재생하는 턴테이블이 아닌 턴테이블의 형태를 한 컨트롤러, 심지어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버추얼 디제잉을 하기도 한다. LP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것이 번거롭기 때문. 물론 가수들 사이에서 오토튠이 논란이 되는 것처럼 디지털 컨트롤러를 쓰는 것에 대한 논란도 많다.
beatmania IIDX 시리즈의 작곡가인 DJ Mass MAD Izm*이 보통 이 장르를 차용해서 TECH-BREAKBEATS라는 장르로 곡을 내기도 했다.
EZ2DJ의 게임 모드 중 하나인 턴테이블 모드가 이걸 오마주해서 나온 게임 모드이며, 이걸 모티브로 나온 게임이 크래킨 DJ다.
1. 개요
디제잉의 일종이자, 음악의 한 장르 혹은 기법. 그 핵심은 '''두 대의 턴테이블과 믹서의 조합을 하나의 악기로 삼아 연주하는 것'''이다.
턴테이블리즘은 다음과 같은 디제잉의 다른 형태들과 비교해볼 수 있다:
- 라이브 믹싱: 파티나 클럽 등에서 준비해 온 곡들을 적절히 이어주며 차례로 틀어주는 것. 흔히들 "디제잉"이라고 부르면 이걸 뜻한다.
- 프로듀싱: 샘플링 등 여러 기법을 통해 스튜디오에서 새로운 곡을 만들어내는 것.
턴테이블리스트들이 쓰는 연마하고 사용하는 대표적인 기술은 다음과 같다:
- 비트 저글링: 턴테이블의 두 판을 모두 잡고 번갈아가면서 소리를 섞어 믹스를 하는 것.
- 스크래치: 바늘에 판을 긁어서 소리를 내는 것. 한 손으로는 판을, 또 다른 손으로는 크로스페이더를 조작하는 것이 기본이다.
턴테이블리즘의 뿌리는 힙합의 탄생과 일치하지만, 뉴욕의 하위 문화에 불과했던 힙합 문화가 세계적으로 뻗어나가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던 사건은 1984년 그래미상 시상식에서 허비 행콕 밴드가 선보였던 Rockit 라이브 무대였다. Grandmaster DS.T가 선보였던 스크래칭은 그 다음 세대의 수많은 DJ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2002년에 여러 후배 턴테이블리스트들이 "Rockit 2.002"라는 제목으로 리메이크곡을 내놓기도 했다.
1990년대 이후 명성을 떨친 유명한 턴테이블리스트 밴드들은 다음과 같다:
- Invisibl Skratch Piklz (ISP): 필리핀계 미국인 턴테이블리스트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전설적인 밴드. 샌프란시스코를 중심으로 활동했으며, 2000년에 해체했다가 2010년대부터 간헐적으로 ISP 이름을 걸고 간간히 활동하기도 한다. DJ Qbert가 대표적인 구성원중 하나다.
- X-Ecutioners: 옛 이름은 'X-Men'. ISP가 미국 서부를 대표했다면 X-Ecutioners는 미국 동부를 대표하는 대표적인 밴드. 뉴욕 토박이들로 이뤄졌으며, 린킨 파크와 콜라보를 하기도 했다.
- Beat Junkies
- The Allies
- C2C
- DMC
- International Turntablist Federation (ITF): 현재는 사라졌다.
- Red Bull 3Style
현대에는 곡이 담긴 매체로 광학 디스크를 사용하거나(CDJ) 실제 LP를 재생하는 턴테이블이 아닌 턴테이블의 형태를 한 컨트롤러, 심지어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버추얼 디제잉을 하기도 한다. LP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것이 번거롭기 때문. 물론 가수들 사이에서 오토튠이 논란이 되는 것처럼 디지털 컨트롤러를 쓰는 것에 대한 논란도 많다.
beatmania IIDX 시리즈의 작곡가인 DJ Mass MAD Izm*이 보통 이 장르를 차용해서 TECH-BREAKBEATS라는 장르로 곡을 내기도 했다.
EZ2DJ의 게임 모드 중 하나인 턴테이블 모드가 이걸 오마주해서 나온 게임 모드이며, 이걸 모티브로 나온 게임이 크래킨 DJ다.
2. 같이 보기
[1] 물론 골수 턴테이블리스트들은 이러한 변화에 대해서 좋지 않게 보는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