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수

 

1. 개요
2. 고조선 시대의 패수
2.1. 청천강설
2.2. 압록강설
4. 보통명사설

浿

1. 개요


한국사 문헌 기록에 등장하는 고유명사로, 강의 이름이다. 기록에 따라 패강(浿江)‧패하(浿河) 등으로도 불리었으며, 패서지방이나 패강진 등은 여기서 파생된 지명이다.
지금의 어느 강을 말하는지는 시기별로 지칭 대상이 달라진다. 시대를 막론하고 대략적으로 한반도 서북지역의 강으로 비정되는 경우가 많은데 압록강, 청천강, 대동강, 예성강 등이 후보로 꼽힌다.『사기(史記)』와 『한서(漢書)』조선전(朝鮮傳)에 기록된 강 이름으로 열수(列水)와 아울러 일찍이 중국에 알려진 강이다. 위치에 대하여 앞서 언급했듯이 논란이 많고 패수를 어디로 비정하느냐에 따라 여러 고대 국가들의 위치를 추정하는 게 달라진다.
현존하는 연·지 장성 유적은 랴오닝성 북쪽에 남아 있고, 끝으로 보이는 양평은 요하의 동쪽인 요양으로 위치가 추정되고 있기에 패수를 요하유역으로 볼 수 없고 청천강이나 압록강으로 봐야한다는게 일반적이다.[1]

2. 고조선 시대의 패수



2.1. 청천강설


한백겸은 『동국지리지』에서 패수를 청천강에 비정했으며, 이를 사학자 이병도가 고고학적으로 고증했다. 중국 계통 유물(명도전이나 철기 등)과 조선 계통 유물(세형동검 등)의 출토지가 청천강을 경계로 뚜렷이 구분되고 있다. 청천강 이남으로 제한된 세형 동검의 출토 범위와 한반도 북부까지 진출한 연의 흔적(연화보 - 세죽리 문화권)과도 대강 합치한다.

2.2. 압록강설


이후석 교수는 패수의 위치 문제를 고고학적으로 접근했다. 만번한은 천산 산맥 일대고, 패수는 압록강이라고 주장한다. 고고학적으로 물질 문화를 살펴보면, 천산 산맥이라는 자연 경계를 기점으로 연의 물질 문화와 고조선의 물질 문화가 구분되어 나타나고 압록강을 기점으로 한의 물질 문화 분포와 위만 조선의 물질 문화 분포가 구분된다는 것이다.[2]

3. 삼국시대, 남북국시대의 패수


삼국시대의 패수는 대동강 혹은 예성강이다. 『삼국사기』 백제본기에 기원전 6년(온조왕 13)경 백제의 북쪽 경계선으로 기술되어 있는 패하(浿河)는 예성강을 가리킨다. 735년(성덕왕 34)에 당나라가 정식으로 신라의 영유권을 공인[3]한 이른바 ‘패강 이남의 땅’의 패강은 지금의 대동강을 지칭한다.[4]
통일신라 후기에 설치한 군진인 패강진은 대략 지금의 황해도 일대, 혹은 평양 일대까지 포함한 행정구역으로 여러 해석이 있는데 그 이름은 역시 패수의 다른 이름인 패강에서 유래한 것이다. 또한 통일신라 후기에 옛 고구려 유민 출신으로 고구려 계승의식을 가진 호족들의 본거지였던 패서 지방은 패수의 서쪽 지방이란 의미인데 이 경우는 예성강 서쪽으로 간주한 것이다.

4. 보통명사설


위와 같이 시대별로 지칭하는 강이 달라지는 듯한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아예 패수라는 명칭 자체가 국경을 이루는 강을 뜻하는 고대 서북한의 보통명사라는 설도 있다.

[1] 패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2] 고고자료를 통해 본 만번한- 전국시대 고조선과 연의 경계 변화/이후석, 동북아역사논총 57호/ 2016년.[3] 732년 발해당나라의 등주(登州)를 공격하자 당 현종이 발해의 남부를 공격해달라는 요청을 신라가 받아들인 계기로 인정한 것이다. 발해 공격이 폭설로 실패하기는 했지만.[4] 패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