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라 브라질레이로
Fila Brasileiro
[image]
도사견이 아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made in 브라질. 영어로 브라질리언 가드 독(Brazilian Guard Dog)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줄여서 필라라고도 부르고. 전직 재규어 사냥개[1] , 전직 탈출노예 추격용 개, 최고의 가드견 등의 별명을 가지고 있다. 블러드하운드(후각), 보르도 마스티프, 불독, 마스티프, 스페인 마스티프 등을 교배해서 만들어진 견종이다. 강인한 품종을 이것저것 섞어서 만든 개답게(?) 도사견과 외양이 상당히 유사한 편.
키 : 수컷 65~75cm, 암컷 60~70cm
무게 : 수컷 50~85kg, 암컷 40~73kg
용도 : '''경찰견'''[2] , 경비견, 가드견, 애완견, 쇼독
털색 : 다양함[3]
기타 : 기후 적응력이 뛰어나고 털이 짧음
도사견이랑 비슷하게 생겼는데(몸이 도사보다 더 두꺼운 정도) 마스티프 계열 잡종들은 다 비슷비슷하게 생겼다. 주인이나 가족은 헌신적으로 가드하면서 애완견같이 굴지만, 나머지한테는 완전 맹수인 성격이라 야누스라고도 불린다. 그 성격 덕분에 브라질에서는 '필라같이 하라'는 속담도 있을 정도로 치안이 안 좋은 곳에서는 최고의 가드견이라고 할 수 있지만 우리나라같이 치안이 안정적이고 법의 힘이 강한 곳에서는 불마스티프 같은 견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합하지 못하다. 기르던 풍산개가 집에 침입한 도둑의 얼굴을 물어뜯어서 거액을 배상해야 했던 게 우리나라일진대, 필라는 보통 침입자는 풍산개와는 비교가 안 되게 아주 박살 내버리고 저승행 열차를 강제로 탑승시킬수도있다. 그럴 경우 견주가 치러야 할 대가는...?
이런 성격 덕분에 주인을 바꾸기가 매우 힘이 들어서 다른 견종보다도 파양(입양과는 반대)이 더욱 어려우며, 도그쇼에서 심사위원을 공격해도 탈락되지 않는 '''유일'''한 견종이다. 브라질에서는 이 개가 순간적으로 입질을 잘 하는 견종으로 유명하다고 한다. 사나운 개가 싫다면 인연을 가지지 않는 게 좋을 견종이다.
몸을 좌우로 흔들면서 기운차게 걷는다고 한다. '낙타 걸음걸이'라고 불린다.
국내에는 소수의 마니아가 있고 가격은 오브차카랑 비슷. 관련 카페도 몇 개설되어있다.
브라질에서는 우리 필라가 하루종일 돌아오지 않다가 돌아올 때 보니 입에 재규어(...)를 물고 있더라는 카더라가 심심찮게 돌아다닌다.[4]
성격이 사납기 때문에 사회화를 시켜주지 않으면 낯선 사람이 볼 때마다 공격하려 드는 개막장이 될 가능성이 있다.(....)
[image]
도사견이 아니다!
1. 개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made in 브라질. 영어로 브라질리언 가드 독(Brazilian Guard Dog)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줄여서 필라라고도 부르고. 전직 재규어 사냥개[1] , 전직 탈출노예 추격용 개, 최고의 가드견 등의 별명을 가지고 있다. 블러드하운드(후각), 보르도 마스티프, 불독, 마스티프, 스페인 마스티프 등을 교배해서 만들어진 견종이다. 강인한 품종을 이것저것 섞어서 만든 개답게(?) 도사견과 외양이 상당히 유사한 편.
2. 상세
키 : 수컷 65~75cm, 암컷 60~70cm
무게 : 수컷 50~85kg, 암컷 40~73kg
용도 : '''경찰견'''[2] , 경비견, 가드견, 애완견, 쇼독
털색 : 다양함[3]
기타 : 기후 적응력이 뛰어나고 털이 짧음
도사견이랑 비슷하게 생겼는데(몸이 도사보다 더 두꺼운 정도) 마스티프 계열 잡종들은 다 비슷비슷하게 생겼다. 주인이나 가족은 헌신적으로 가드하면서 애완견같이 굴지만, 나머지한테는 완전 맹수인 성격이라 야누스라고도 불린다. 그 성격 덕분에 브라질에서는 '필라같이 하라'는 속담도 있을 정도로 치안이 안 좋은 곳에서는 최고의 가드견이라고 할 수 있지만 우리나라같이 치안이 안정적이고 법의 힘이 강한 곳에서는 불마스티프 같은 견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합하지 못하다. 기르던 풍산개가 집에 침입한 도둑의 얼굴을 물어뜯어서 거액을 배상해야 했던 게 우리나라일진대, 필라는 보통 침입자는 풍산개와는 비교가 안 되게 아주 박살 내버리고 저승행 열차를 강제로 탑승시킬수도있다. 그럴 경우 견주가 치러야 할 대가는...?
이런 성격 덕분에 주인을 바꾸기가 매우 힘이 들어서 다른 견종보다도 파양(입양과는 반대)이 더욱 어려우며, 도그쇼에서 심사위원을 공격해도 탈락되지 않는 '''유일'''한 견종이다. 브라질에서는 이 개가 순간적으로 입질을 잘 하는 견종으로 유명하다고 한다. 사나운 개가 싫다면 인연을 가지지 않는 게 좋을 견종이다.
몸을 좌우로 흔들면서 기운차게 걷는다고 한다. '낙타 걸음걸이'라고 불린다.
국내에는 소수의 마니아가 있고 가격은 오브차카랑 비슷. 관련 카페도 몇 개설되어있다.
브라질에서는 우리 필라가 하루종일 돌아오지 않다가 돌아올 때 보니 입에 재규어(...)를 물고 있더라는 카더라가 심심찮게 돌아다닌다.[4]
성격이 사납기 때문에 사회화를 시켜주지 않으면 낯선 사람이 볼 때마다 공격하려 드는 개막장이 될 가능성이 있다.(....)
[1] 지금은 사냥거리 자체가 없어져서 사냥개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2] 브라질 등의 남미에서 활발하게 쓰이고 있다고 한다.[3] 황색, 흑색이 많고 몸 전체가 흰색, 회색, 푸른빛을 띤 회색, 불규칙하거나 얼룩무늬의 반점이 있거나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나.[4] 다만 이 재규어는 암컷이나 작은 수컷으로 보인다. 큰 수컷 재규어는 '''100kg'''이 넘어가는데 필라 브라질레이로의 덩치로 이러한 큰 재규어를 상대하는 것은 무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