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포식언해

 

[image]
1. 개요
2. 내용
3. 바깥고리


1. 개요


火砲式諺解. 조선 인조 13년인 1635년에 이서가 당대 우리나라 군인들의 쏘는 방법과 화약 굽는 방법을 한글로 기술하여 간행한 한국의 병서.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2. 내용


1635년(인조 13년)에 이서가 저술한 병서로, 1600년대의 조선군이 사용한 화약 무기에 대해 가장 폭넓게 설명하고 있는 병서이다. 천자총통, 대완구, 비격진천뢰, 불랑기, 화차 등 총 43종에 이르는 한국의 화약 무기들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총통등록, 국조오례의서례 병기도설, 화기도감의궤, 융원필비, 신기비결, 훈국신조군기도설, 훈국신조기계도설 등 우리나라의 다양한 고전 군사 교범 중 하나로 인정받는다.
같은 시기에 이서가 저술한 신전자취염초방언해(新傳煮取焰硝方諺解)와 함께 합철되어 있다.
1635년에 이서가 직접 저술했던 친필 원본은 현전하지 않으며, 현재 전해지는 것은 1685년(숙종 11년)에 황해병영(黃海兵營)에서 중간한 것이다.
화약 제조법, 사격법, 용약법(用藥法) 등을 자세히 설명해놓은 화약 무기는 천자총통, 지자총통(地字銃筒), 별황자총통(別黃字銃筒), 대완구(大碗口), 중완구, 소완구, 소소완구(小小碗口), 진천뢰(震天雷), 비진천뢰(飛震天雷), 철신포(鐵信砲), 불랑기(佛狼機, 1호 ∼ 5호), 벽력포(霹靂砲), 호준포(虎蹲砲), 중백자총(中百子銃), 소백자총(小百子銃), 승자총통, 차승자총통(次勝字銃筒), 소승자총통(小勝字銃筒), 삼안총(三眼銃), 질려포(蒺藜砲), 대통(大筒), 중통(中筒), 소통(小筒), 중신기화차(中神機火車), 화차(火車), 우자총통(宇字銃筒), 주자총통(宙字銃筒), 홍자총통(洪字銃筒), 황자총통(黃字銃筒), 일자총통(日字銃筒), 월자총통(月字銃筒), 영자총통(盈字銃筒), 측자총통(昃字銃筒), 대발화(大發火), 중발화(中發火), 중신기통(中神機筒), 주화통(走火筒), 지화(地火), 석류화전(石硫火箭), 명화(明火) 등이다.
조선 인조년간에 사용된 화약 무기 연구에 중요한 자료 중 하나이다. 또한 1600년대 한글 연구에도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다.

3. 바깥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