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도용 라디오
참고 기사
SD 카드나 USB 포트를 통한 MP3 파일 재생이 탑재된 휴대용 라디오. 2012~2013년경 부터 본격 발매되기 시작했다.
주로 어르신들이 애용한다고 해서 '효도용 라디오' 혹은 '효도 라디오'라는 별칭이 붙는다.
작고 쓰기 편한 음악 재생 기기로, MP3 기능이 있다해서 '효도 MP3'라고도 한다. 관점에 따라서 라디오 수신기라 보다는 FM방송 기능이 붙은 일종의 MP3 플레이어로 볼 수도 있다. 차이점은 첫째로 MP3 플레이어는 기본적으로 내장 메모리가 있지만 효도용 라디오는 음원을 들으려면 외장 메모리 카드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고, 둘째로 MP3 플레이어는 대부분이 내장 스피커가 없어서 이어폰을 꽂아야만 들을 수 있는데 효도용 라디오는 이어폰과 내장 스피커 둘 다 쓸 수 있다는 것이다.
AM방송을 청취할 수 있는 효도용 라디오는 거의 없다.[1]
기존의 라디오, 카세트 재생기와는 다르게 아주 작은 sd 카드만으로 MP3 파일 재생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용 카세트 재생기/녹음기와 휴대용 라디오의 주요 구매층이던 중노년층이 이 물건으로 갈아탔다. 가까스로 명맥을 잇던 카세트 시장의 절멸에 기여했으며 기존의 포터블 라디오의 판매량의 급감에 상당한 기여를 하였다.[2]
가격대는 보통 2~6만 원대로, 순수 휴대용 라디오나 중국제 싸구려 카세트 녹음기에 비해 살짝 비싸긴 해도 그렇게 큰 부담이 될 정도는 아니다. 효도용 라디오 대부분이 중국의 듣보잡 업체들이 제조하다보니 싸구려 티가 좀 나며, 내구성에서도 딱히 믿음이 가지는 않는다. 다만 디자인에 큰 의미를 두지 않는 노년층에겐 의미없는 단점. 주요 구매층이 노인층이다보니 액정 글자 크기가 큼직한 편이며, 일반적인 흑백 액정보다는 EL 발광 액정 화면을 쓰는 경우가 대부분. 그리고 노인들이 편하게 쓰기 좋게 대출력의 내장 스피커를 탑재한다. 고급형 단파라디오에나 달려있는 숫자 패드도 달려 있어서 주파수를 쉽게 입력할 수 있게 하였다. 기존의 AA 건전지 또는 리튬이온 배터리를 이용하는데, 대부분은 배터리 방식이다. 모델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18650 또는 BL-5C 리튬이온 배터리(노키아 휴대폰에 쓰이던 규격)가 널리 쓰인다. 용량은 대개 800~1200mAh 정도다. 용량이 더 큰 배터리도 있지만 뻥용량이라는 후기가 많다. 18650을 쓰는 경우, 보호회로 장착을 핑계로 배터리 교체가 불가능한 경우도 가끔 있다. 배터리를 교체하며 오래 쓸 생각이라면, 아예 처음부터 보호회로가 장착된 18650 전지를 쓸 수 있는 라디오를 고르는 게 좋다.
대부분의 기종들은 휴대용으로 쓸 때 거추장스럽게 여기기 쉬운 막대 안테나 대신 내장형 안테나를 달고 나오지만, 그만큼 감도가 좀 떨어진다는 등가교환적인 단점이 있다.
효도용 라디오의 인기에 편승하여 아남전자도 여러 기종들을 출시하였으며, PC 스피커로 유명한 브리츠에서도 여러 기종들을 출시하였다. 아이리버도 위 이미지와 같은 전형적인 디자인을 탈피한 여러 기종을 출시했다. 이 세 가지 정도의 브랜드가 중국제나 길거리에서 구할 수 있는 것보다는 훨씬 디자인도 깔끔하고 안정적이고 좋은 성능을 가진 편이다. 중국의 싸구려 라디오로 유명한 Kchibo도 KK-M6015 같은 제품이 있다.
효도용 라디오의 그늘은 음악 파일 불법 복제 문제. 효도용 라디오에 쓰일 SD카드에 트로트, 최신가요 등을 담아 판매한 유통업자들이 적발되기도 했다.
비상용 목적으로는 효도용 라디오를 사지 말자. PLL 방식에 EL 발광 액정까지 쓰니 전력 효율성이 매우 떨어져 비상용 라디오로서는 적절하지 않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효도라디오는 한번 충전에 3~4시간 사용이다. 잠깐의 정전이나 하룻밤 폭풍우 정도라면 모를까, 하루 이상 난리가 나는 상황만 되어도 소용이 없다. 예비 배터리나 보조배터리를 구해놓지 않았다면 다시 충전할 방법도 마땅치 않다. 비상용 목적으로 사둘 것이라면 차라리 순수 라디오인 소니 ICF-P26, 파나소닉 RF-P50D, SANGEAN SR-35, TECSUN PL-118[3] 을 고려하자. 전력소모도 적고 비축하거나 구입한 건전지만 계속 갈아끼우면 되니까 말이다.
배터리가 방전될 때쯤이면 노래가 끊긴다든지 자기 멋대로 노래타임이 워프(?)된다든지 하는 현상이 있다.
이것의 바리에이션으로 효도용 '''MP4'''가 있다. 말 그대로 '''동영상이 나오는 것이다.''' 보통 5~7인치 정도 되는 800x480 해상도의 디스플레이가 달려 있고 커맨드 버튼이 오른쪽으로 밀려 있다. 메뉴를 사용해 영상을 고르는 방식과 위의 효도용 MP3처럼 번호를 눌러 선택하는 방식으로 나뉜다. 저가형 PMP 비슷한데, 고급 기능들을 지원하지 않지만, 가격이 6만원~8만원 정도로 싸게 쓰기에는 꽤나 괜찮은 편이다.
일본에서도 생각 외로 유명한지, '뽕짝머신' 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있다. 유튜브에 ポンチャックマシーン(뽕짝머신)이라고 검색해보면 줄줄히 나온다.
그럭저럭 지금까지는 효도용 라디오라는 제품이 유행하고 있으나 앞으로의 전망은 그리 밝지 않다.
효도용 라디오가 등장하고 유행했을 시기는 과거 50~60년대 젊은시절을 보냈고 40대만 되어도 성인가요를 들었던 과거의 노인들이 아이돌음악 중심인 방송음악과 맞지 않았던터라 과거의 음악을 재생해주는 기기가 시장을 차지했었던 것인데, 시간이 흘러서 노년층의 세대교체가 일어나 2020년도를 기준으로 노년층에 해당하는 세대 사이에서 유튜브 열풍이 불어 음악 감상도 스마트폰의 유튜브로 처리해 버리시는 분들이 늘어나고 있다. 유튜브 추천 알고리즘이 알아서 어르신 취향의 곡들만 추천을 해준다.
그럴만도 한게, 2020년 현재 사회적으로 확실하게 노인으로 볼 수 있는 60대 중반들은 1980년에 20대 중반이였는데 80년대 초만 해도 전자오락실이 크게 유행했고 국가에서 정보산업의 해로 선정해 국가주도로 PC열풍을 불러일으킬때가 1983년이다. 즉 지금의 60대들은 젊은 시절부터 디지털 전자기기에 노출되었던 세대이다. 60대보다 그 수가 현저하게 적은 70대들도 대도시 거주 혹은 인서울 대학 재학후 대기업 입사라면 사회초년생 시절 PC라는것을 여기저기서 경험해봤던 세대이다.
따라서 굳이 음질도 별로인 효도용 라디오 가지고 괜히 늙은이 티를 내는것보다 스마트폰에서 유튜브로 보고 듣는것이 더 익숙하고 편리하다. 특히 노인들 중 젊은시절 가요보다 영미의 팝음악을 즐겨 듣던이들은 70~80년대 당시 라디오로 노래만 들었던것의 뮤직비디오를 유튜브로 보고 신세계를 느꼈다고도.[4]
또한 70년대 중후반의 디스코열풍, 80년대의 세계적 팝음악 열풍에, 5공화국의 3S정책의 일환인 엔터테인먼트 확대[5] , 경제성장에 따른 오디오 비디오 기기의 적극 보급으로 인해 이때에 젊은시절을 보낸이들은 그 윗세대와 확연하게 다른 음악적 감성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주류 K-POP 장르 댄스뮤직들의 상당수가 1980년대 비주얼 팝과 많이 닮아있어서 80년대 초반 올리비아 뉴튼 존이나 신디 로퍼나 로라 브래니건의 음악을 즐겨 듣던이들 같으면 지금의 K-POP 걸그룹 음악에 전혀 위화감이 없다. 게다가 세계적인 복고열풍에 따라 더욱 더 그시절의 음악을 연상하는 음악들이 신곡으로 등장하고 있다. 50~60대들이 Dynamite 를 듣는데 있어 이질감은 커녕 친근감까지 느낄 정도. 그러니 60대들은 젊었을때 들었던 옛 음악을 들어도 좋고, 지금 신곡을 들어도 좋고, 그냥 원하는 대로 듣는다.
아마도 어린시절부터 PC를 접했던 소위 8비트 키드인 지금의 50대가 노인이 되면 효도용이라는 장르 자체가 사라질것으로 보인다.
1. 개요
SD 카드나 USB 포트를 통한 MP3 파일 재생이 탑재된 휴대용 라디오. 2012~2013년경 부터 본격 발매되기 시작했다.
주로 어르신들이 애용한다고 해서 '효도용 라디오' 혹은 '효도 라디오'라는 별칭이 붙는다.
2. 상세
작고 쓰기 편한 음악 재생 기기로, MP3 기능이 있다해서 '효도 MP3'라고도 한다. 관점에 따라서 라디오 수신기라 보다는 FM방송 기능이 붙은 일종의 MP3 플레이어로 볼 수도 있다. 차이점은 첫째로 MP3 플레이어는 기본적으로 내장 메모리가 있지만 효도용 라디오는 음원을 들으려면 외장 메모리 카드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고, 둘째로 MP3 플레이어는 대부분이 내장 스피커가 없어서 이어폰을 꽂아야만 들을 수 있는데 효도용 라디오는 이어폰과 내장 스피커 둘 다 쓸 수 있다는 것이다.
AM방송을 청취할 수 있는 효도용 라디오는 거의 없다.[1]
기존의 라디오, 카세트 재생기와는 다르게 아주 작은 sd 카드만으로 MP3 파일 재생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용 카세트 재생기/녹음기와 휴대용 라디오의 주요 구매층이던 중노년층이 이 물건으로 갈아탔다. 가까스로 명맥을 잇던 카세트 시장의 절멸에 기여했으며 기존의 포터블 라디오의 판매량의 급감에 상당한 기여를 하였다.[2]
가격대는 보통 2~6만 원대로, 순수 휴대용 라디오나 중국제 싸구려 카세트 녹음기에 비해 살짝 비싸긴 해도 그렇게 큰 부담이 될 정도는 아니다. 효도용 라디오 대부분이 중국의 듣보잡 업체들이 제조하다보니 싸구려 티가 좀 나며, 내구성에서도 딱히 믿음이 가지는 않는다. 다만 디자인에 큰 의미를 두지 않는 노년층에겐 의미없는 단점. 주요 구매층이 노인층이다보니 액정 글자 크기가 큼직한 편이며, 일반적인 흑백 액정보다는 EL 발광 액정 화면을 쓰는 경우가 대부분. 그리고 노인들이 편하게 쓰기 좋게 대출력의 내장 스피커를 탑재한다. 고급형 단파라디오에나 달려있는 숫자 패드도 달려 있어서 주파수를 쉽게 입력할 수 있게 하였다. 기존의 AA 건전지 또는 리튬이온 배터리를 이용하는데, 대부분은 배터리 방식이다. 모델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18650 또는 BL-5C 리튬이온 배터리(노키아 휴대폰에 쓰이던 규격)가 널리 쓰인다. 용량은 대개 800~1200mAh 정도다. 용량이 더 큰 배터리도 있지만 뻥용량이라는 후기가 많다. 18650을 쓰는 경우, 보호회로 장착을 핑계로 배터리 교체가 불가능한 경우도 가끔 있다. 배터리를 교체하며 오래 쓸 생각이라면, 아예 처음부터 보호회로가 장착된 18650 전지를 쓸 수 있는 라디오를 고르는 게 좋다.
대부분의 기종들은 휴대용으로 쓸 때 거추장스럽게 여기기 쉬운 막대 안테나 대신 내장형 안테나를 달고 나오지만, 그만큼 감도가 좀 떨어진다는 등가교환적인 단점이 있다.
효도용 라디오의 인기에 편승하여 아남전자도 여러 기종들을 출시하였으며, PC 스피커로 유명한 브리츠에서도 여러 기종들을 출시하였다. 아이리버도 위 이미지와 같은 전형적인 디자인을 탈피한 여러 기종을 출시했다. 이 세 가지 정도의 브랜드가 중국제나 길거리에서 구할 수 있는 것보다는 훨씬 디자인도 깔끔하고 안정적이고 좋은 성능을 가진 편이다. 중국의 싸구려 라디오로 유명한 Kchibo도 KK-M6015 같은 제품이 있다.
효도용 라디오의 그늘은 음악 파일 불법 복제 문제. 효도용 라디오에 쓰일 SD카드에 트로트, 최신가요 등을 담아 판매한 유통업자들이 적발되기도 했다.
3. 기타
비상용 목적으로는 효도용 라디오를 사지 말자. PLL 방식에 EL 발광 액정까지 쓰니 전력 효율성이 매우 떨어져 비상용 라디오로서는 적절하지 않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효도라디오는 한번 충전에 3~4시간 사용이다. 잠깐의 정전이나 하룻밤 폭풍우 정도라면 모를까, 하루 이상 난리가 나는 상황만 되어도 소용이 없다. 예비 배터리나 보조배터리를 구해놓지 않았다면 다시 충전할 방법도 마땅치 않다. 비상용 목적으로 사둘 것이라면 차라리 순수 라디오인 소니 ICF-P26, 파나소닉 RF-P50D, SANGEAN SR-35, TECSUN PL-118[3] 을 고려하자. 전력소모도 적고 비축하거나 구입한 건전지만 계속 갈아끼우면 되니까 말이다.
배터리가 방전될 때쯤이면 노래가 끊긴다든지 자기 멋대로 노래타임이 워프(?)된다든지 하는 현상이 있다.
이것의 바리에이션으로 효도용 '''MP4'''가 있다. 말 그대로 '''동영상이 나오는 것이다.''' 보통 5~7인치 정도 되는 800x480 해상도의 디스플레이가 달려 있고 커맨드 버튼이 오른쪽으로 밀려 있다. 메뉴를 사용해 영상을 고르는 방식과 위의 효도용 MP3처럼 번호를 눌러 선택하는 방식으로 나뉜다. 저가형 PMP 비슷한데, 고급 기능들을 지원하지 않지만, 가격이 6만원~8만원 정도로 싸게 쓰기에는 꽤나 괜찮은 편이다.
일본에서도 생각 외로 유명한지, '뽕짝머신' 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있다. 유튜브에 ポンチャックマシーン(뽕짝머신)이라고 검색해보면 줄줄히 나온다.
4. 미래
그럭저럭 지금까지는 효도용 라디오라는 제품이 유행하고 있으나 앞으로의 전망은 그리 밝지 않다.
효도용 라디오가 등장하고 유행했을 시기는 과거 50~60년대 젊은시절을 보냈고 40대만 되어도 성인가요를 들었던 과거의 노인들이 아이돌음악 중심인 방송음악과 맞지 않았던터라 과거의 음악을 재생해주는 기기가 시장을 차지했었던 것인데, 시간이 흘러서 노년층의 세대교체가 일어나 2020년도를 기준으로 노년층에 해당하는 세대 사이에서 유튜브 열풍이 불어 음악 감상도 스마트폰의 유튜브로 처리해 버리시는 분들이 늘어나고 있다. 유튜브 추천 알고리즘이 알아서 어르신 취향의 곡들만 추천을 해준다.
그럴만도 한게, 2020년 현재 사회적으로 확실하게 노인으로 볼 수 있는 60대 중반들은 1980년에 20대 중반이였는데 80년대 초만 해도 전자오락실이 크게 유행했고 국가에서 정보산업의 해로 선정해 국가주도로 PC열풍을 불러일으킬때가 1983년이다. 즉 지금의 60대들은 젊은 시절부터 디지털 전자기기에 노출되었던 세대이다. 60대보다 그 수가 현저하게 적은 70대들도 대도시 거주 혹은 인서울 대학 재학후 대기업 입사라면 사회초년생 시절 PC라는것을 여기저기서 경험해봤던 세대이다.
따라서 굳이 음질도 별로인 효도용 라디오 가지고 괜히 늙은이 티를 내는것보다 스마트폰에서 유튜브로 보고 듣는것이 더 익숙하고 편리하다. 특히 노인들 중 젊은시절 가요보다 영미의 팝음악을 즐겨 듣던이들은 70~80년대 당시 라디오로 노래만 들었던것의 뮤직비디오를 유튜브로 보고 신세계를 느꼈다고도.[4]
또한 70년대 중후반의 디스코열풍, 80년대의 세계적 팝음악 열풍에, 5공화국의 3S정책의 일환인 엔터테인먼트 확대[5] , 경제성장에 따른 오디오 비디오 기기의 적극 보급으로 인해 이때에 젊은시절을 보낸이들은 그 윗세대와 확연하게 다른 음악적 감성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주류 K-POP 장르 댄스뮤직들의 상당수가 1980년대 비주얼 팝과 많이 닮아있어서 80년대 초반 올리비아 뉴튼 존이나 신디 로퍼나 로라 브래니건의 음악을 즐겨 듣던이들 같으면 지금의 K-POP 걸그룹 음악에 전혀 위화감이 없다. 게다가 세계적인 복고열풍에 따라 더욱 더 그시절의 음악을 연상하는 음악들이 신곡으로 등장하고 있다. 50~60대들이 Dynamite 를 듣는데 있어 이질감은 커녕 친근감까지 느낄 정도. 그러니 60대들은 젊었을때 들었던 옛 음악을 들어도 좋고, 지금 신곡을 들어도 좋고, 그냥 원하는 대로 듣는다.
아마도 어린시절부터 PC를 접했던 소위 8비트 키드인 지금의 50대가 노인이 되면 효도용이라는 장르 자체가 사라질것으로 보인다.
[1] FM의 경우 수신칩 등의 발달로 반도체화 소형화가 가능하나 AM의 경우 주파수대역, 변조방식등의 이유로 무겁고 소형화가 힘든 부품들이 필요하다. [2] 2011년과 비교하면 현재 옥션 등 오픈마켓에서 판매되는 순수 휴대용 라디오의 종류가 많이 줄어들었다. 현재는 순수 포터블 라디오는 소수의 라디오 매니아들의 물품이나 재난대비용 물품으로 이용되는 실정이다.[3] 효도라디오처럼 액정형 라디오지만 전지사용기간이 40시간이나 된다.[4] 예를들어 이런것. 1978년 발표 빌리지피플 YMCA의 뮤직비디오. 2010년대들어 유튜브가 세계적으로 커지자 70~80년대의 뮤직비디오들을 저작권자들이 적극적으로 올리고 있다. 당연 한국에서 저런 비디오들을 당대(70~80년대)에 보려면 종로나 명동에 있는 몇몇 대형 맥주홀 등에서나 유명한 곡 일부에 한해 가능했고 일반 유통은 거의 없었다.[5] 80년대는 컨텐츠의 검열은 심했지만 통과한 컨텐츠들은 자유롭게 적극적으로 유통되었다. 반면에 70년대는 유신시대의 어두움에, 석유파동에 따른 근검절약 강조 분위기(컬러TV 방영 연기, TV방영시간 축소 등)로 인해 엔터테인먼트가 크게 위축되었다. 80년대 초 해외가수들의 내한공연이 제법 많았다는 것을 생각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