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봉
[image]
1888년 평안남도 양덕군에서 출생. 1966년 10월 15일 세수 78세, 법랍 42세로 입적.
1. 소개
속명 이찬형(李燦亨). 법명은 원명(元明). 법호는 효봉(曉峰).
효봉(曉峰)은 대한민국의 불교 승려이다. 구산(九山), 법정(승려) 그리고 고은(시인)의 은사로 잘 알려져 있다.[1] 1962년에 출범한 통합 조계종 종정을 역임하여 조계종에서는 초대 종정으로 예우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해방 이후 1962년 통합 종정 출범까지의 역사를 부정하는 것이며, 1945년 해방 직후 한영스님부터 종정으로 예우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평생토록 무(無)자 화두를 들고 참구했던 효봉은 ‘엿장수 중’, ‘판사 중’, ‘절구통 수좌’, ‘너나 잘해라 스님’ 등으로 알려져 있다.
효봉에게는 묘한 도시전설이 오랫동안 따라다니고 있는데, 바로 10년 동안 판사로 재직하다가 돌연 아무에게도 알리지 않고 종적을 감춘 뒤 출가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근거가 없는 이야기이다. 자
2. 생애
효봉에게는 '1914년 와세다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당시 일제 치하에서 한국인 최초로 판사를 역임했다'라는 도시전설이 오랫동안 따라다니고 있다. 그리고 평양 복심법원에서 10년 동안 재직하던 중 어떤 조선인에게[2] 사형 선고를 내린 것에 회의를 품고 번민하다가[3] 돌연 가족과 직장동료 등 누구에게도 말하지 않고 종적을 감춘 뒤 엿장수로 변신해 3년여를 떠돌다가 출가했다는 것이다. 그러다가 효봉과 같이 근무하던 일본인 판사가 1933년 당시 유점사를 방문했다가 10여년 동안 종적이 묘연하던 효봉을 마주치고 경악한 뒤 절대 자신의 과거를 발설하지 말아달라는 효봉의 간곡한 부탁에도 결국 근질거리는 입을 참지 못하고 발설해버리면서 판사 출신이라는 게 밝혀졌다는 얘기다.
매우 감명 깊은 이야기이기는 하지만, 위에 내용은 사실일 가능성이 거의 없다.
한인섭 서울대학교 로스쿨 교수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4]
(1) 와세다대학을 유학하여 법학을 전공? 와세다대학 명부를 보면 그런 인물이 없다. 당시 유학생이 극소수였던지라, 명단을 보면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다.
(2) 졸업하여 귀국하면 판사? 1913년 무렵에는, 조선인으로서 시험을 통해 신규 판사(법조인)가 되는 길이 봉쇄되어 있었다.
(3) "최초"의 판사? 매우 임팩트 있는 수식어이기는 하지만, 1910년 일제 지배의 첫 단계에서부터 조선인으로 판사하고 있는 사람은 그대로 판사하게 해주었다. 따라서 "최초"라는 타이틀은 누구에게도 쓰기 부적합하다. 하물며, 애초에 판사 출신이 아니라면 최초 판사는 당연히 될 수가 없다.
(4) 1923년 즈음, 평양복심법원에 그런 판사가 없다. 조선인 판사는 극소수였고, 대부분이 일본인 판사였다.
(5) <친일인명사전>, <조선총독부관보>에도 이찬형이란 이름의 판사는 없다. <한국유학생운동사(조도전대학 우리동창회 70년사)>, <한국법관사> 다 뒤져봐도 이찬형이라는 이름은 없고, 그런 이름의 판사도 없다.[5]
1933년 당시 유점사에 왔던 일본인 판사가 그때 자신과 같이 근무하던 이홍종이라는 조선인 판사와 효봉을 혼동했거나 애초에 연보 등 효봉 관련 문헌이 잘못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도 있다.# # 그런데 워낙 유명한 일화라서 아직까지 저 얘기가 사실처럼 많이 떠돌아 다닌다.
어쨌든 효봉이 엿장수로 떠돌다가 38세에 금강산 신계사 보문암에서 석두를 만나 스승으로 모시고 출가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출가 후 5년이 지나도 깨달음을 얻지 못한 그는, 각오를 하고선 1년 6개월간 금강산 법기암 뒤 토굴에 들어가 정진했다. 이후 깨달음을 얻고 많은 후학을 길러냈으며, 고은도 한때 일초라는 법명으로 효봉의 제자였다. 그중 대표적인 제자가 바로 법정과 구산(九山)이다.
또한 효봉은 한국불교 통합종단의 초대 종정으로 추대되며, 많은 업적을 남긴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효봉스님이 이찬형이라는 이름 하나만 사용하였는가. 다른 이름은 없었는가. 재일동포가 사법시험에 합격하면 보통 일본명으로 창씨개명하고 귀화하였는데 당시는 합병 후라 창씨개명은 모르지만 귀화 자체가 필요없었을 것이다.
판사는 직업상 사람의 심중을 헤아리는 게 전문인데 사람을 잘못 보았다는 일은 일어나기가 어렵다. 설사 잘못 봤다고 하더라도 효봉스님이 자기가 아니라고 할지언정 그대로 받아들였다는 것은 있을 수 없다. 참고로 미국 미시간주 판사가 법정에 선 무슬림 여자가 눈만 빼고 다 가린 니캅을 벗지 않자 심중을 헤아리는데 중요한 얼굴 표정을 볼 수 없다고 기각을 선언하였다.
3. 오도송과 열반송
오도송:
海底燕巢鹿抱卵 (해저연소록포란)
火中蛛室魚煎茶 (화중주실어전다)
此家消息誰能識 (차가소식수능식)
白雲西飛月東走 (백운서비월둥주)
바다 밑 제비집에 사슴이 알을 품고
불 속 거미집엔 고기가 차를 달이네
이 집 소식 뉘라서 알랴?
흰 구름 서쪽으로 날고 달은 동쪽으로 달리네
열반송:
吾說一切法 (오설일체법)
都是早騈拇 (도시조병무)
若問今日事 (약문금일사)
月印於千江 (월인어천강)
내가 말한 모든 법
모두 다 군더더기
만약 오늘 일을 묻는다면
달이 일천 강에 비치리
4. 일화
- 출가 당시 학력과 과거 행적을 완전히 숨기고 오직 ‘못 배운 엿장수’였다고 자신을 소개했으므로, 모두들 효봉을 ‘엿장수 중’으로 불렀다. 그 후 같은 법원에 근무했던 일본인 판사가 관광차 절에 왔다가 우연히 조우, 그동안 숨겨왔던 판사 전력이 알려지게 되었다. 이때부터 효봉은 ‘판사 중’으로 불리게 되었고, 사찰의 법률문제만 생기면 효봉을 찾게 되었다. 이에 효봉은 이 일이 번거로워 금강산을 떠나 남행길에 오르게 되었고, 그 덕택에 남북분단 후 이 나라 불교계의 지도자가 되었다. 그런데 위에 설명했듯이 판사 출신이 아니라는 게 거의 확실해짐에 따라 '사람들이 법률문제를 의논해서 번거롭게 했다'라는 얘기도 나중에 덧붙여진 허구의 이야기일 가능성이 높다.
- 6.25 전쟁이 일어나 해인사에까지 인민군의 발길이 뻗쳐 왔을 때, 모두들 피난을 갔지만 효봉과 구산, 법흥, 원명, 보성 등의 문도들만 해인사에 남았다. 피난 가자고 보채는 제자들에게 효봉 曰 “저 소는 지난 여름 내내 농사 짓느라고 죽도록 부려먹었다. 그런데 이제 저 소를 버리고 사람만 피난을 가잔 말이냐?” 하지만 결국 소를 빼앗기자 효봉 曰 “소 버리고 사람만 피난갈 수 있느냐, 그 소가 우리 대신 죽었구나. 그 소가 우리 대신 죽었어”
- 남의 잘못을 고자질하는 제자에게는 어김없이 “너나 잘해라! 너나 잘해!” 그래서 나중에 별명이 ‘너나 잘해라 스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