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창군

 



厚昌郡 / Huchang County
'''후창군'''
厚昌郡
Huchang County

}}}

'''국가'''
대한민국
'''광복 당시 면적'''
2,429㎢
'''광역시도'''
평안북도
'''광복 당시 행정구역'''
5면
'''시간대'''
UTC+9
1. 개요
2. 역사
3. 이북5도위원회 기준 행정구역


1. 개요


평안북도(이북5도위원회)의 군. 대략적으로 북한 행정구역상 량강도 김형직군 대부분과 자강도 화평군 일부에 해당한다.

2. 역사


'''현 후창군 변천사'''
년도
당시 행정구역
1440
무창현
茂昌縣
1442
무창군
茂昌郡
1664
1683
후주진
厚州鎭
무창진
茂昌鎭
1813

무창부
茂昌府
1822
후주부
厚州府

1869
후창군
厚昌郡
1914
평안북도 후창군
平安北道 厚昌郡
1949
자강도 후창군
慈江道 厚昌郡
1988
'''량강도 김형직군
兩江道 金亨稷郡'''
고구려발해의 영토였다. 발해 패망 이후 외세의 지배하에 있다가, 조선 초기에 수복되어 갑주만호부에 소속되었고 후에 갑산군 소속 후주(厚州), 무창(茂昌)이 되었다.
1416년에 신설된 여연군에 소속되었다가, 1440년에 무창현으로 독립되었고, 1442년에 무창군이 되었다. 4군 6진 중 하나이다. 그러나 1459년에 4군이 폐지(폐4군)되면서 무창군도 폐지되었다.
그 이후 1664년 후주진, 1683년에 무창진이 다시 설치되었다. 1813년에는 무창진이 무창부로, 1822년에는 후주진이 후주부로 바뀌었다.
1869년에 후주와 무창을 통합하여 한 글자씩 따와 후창군이라 하였다. 광복 당시 5개 면(후창면, 동신면, 동흥면, 남신면, 칠평면)이 있었다.
1949년에 자강도가 신설되면서 자강도 소속이 되었다.
1952년 북한 행정구역 개편 때 자성강 수계에 해당하는 남신면과 칠평면은 신설된 화평군으로 넘어갔고 나머지 3개 면과 자성군 이평면 2개 리로 후창군을 구성하였다.
1953년 후창읍을 포삼리로 옮기고 옛 후창읍은 두지리로 개명하였다. 1954년 량강도로 소속이 옮겨지면서 용출리를 화평군에 넘겨줬다. 1956년 후창읍을 월탄리로 옮기고 연송리 일부를 분리하여 신파군(현재 김정숙군)에 넘겨줬다. 1961년에 후창읍을 다시 포삼리로 옮겼다.
1988년 김형직군으로 마개조당했다. 이후의 역사는 김형직군 항목으로.

3. 이북5도위원회 기준 행정구역


[image]
압록강 국경지대에 서쪽부터 후창면, 동신면, 동흥면이 있고, 남쪽에는 남신면, 칠평면이 있다. 울릉군을 제외한 한반도 본토에서 관할 동리의 수가 가장 적은 군이다(18동).
철도는 전혀 지나지 않았으나, 이후 북부내륙선이 개통되었다.
  • 남신면(南新面)
    • 관할 동 : 유화(裕和), 가산(佳山), 만흥(晩興), 부흥(富興)
    • 면소재지인 유화동은 통칭 '화평(和坪)'이라고도 불렸다. 북한 행정구역상 화평군 소재지.
  • 동신면(東新面)
    • 관할 동 : 포삼(葡三), 두지(杜芝), 무창(茂昌)
    • 북한 행정구역상 김형직군 소재지. '무창'동에서 알 수 있듯이, 옛 무창군이 있던 곳이다. 철도는 북부내륙선 포평역, 두지역, 무창역이 있다.
  • 동흥면(東興面)
    • 관할 동 : 고읍(古邑), 나죽(羅竹), 쌍남(雙南)
    • 옛 후주부 소재지로 통칭 '후주고읍(厚州古邑)'이라 불렸다. 평안북도의 최동단 지역이다.
    • 북부내륙선 후주역, 나죽역, 대응역이 있다.
  • 칠평면(七坪面)
    • 관할 동 : 중흥(中興), 대흥(大興), 소북(小北)
    • 가릉령을 넘어 장진군으로 도로가 이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