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강도

 


'''자강도'''
慈江道
Chagang-do, Chagang Province

}}}

'''도청 소재지'''
강계시
'''지역'''
관서
'''면적'''
16,765 km²
'''하위 행정구역'''
3시 15군
'''시간대'''
UTC+9
'''인구'''
1,299,830명
'''인구밀도'''
78명/km²
'''당위원회 책임비서'''

강봉훈
'''인민위원장'''

리형근
'''ISO 3166'''
KP-04
[image]
<color=#ffffff> '''자강도의 위치'''
1. 개관
2. 자연
3. 인문
4. 경제
5. 하위 행정구역
6. 광복 직후 /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
7. 기타


1. 개관


북한이 1949년 평안북도의 대부분 및 함경남도 일부를 분할해서 신설한 . 이름은 옛 고려~조선 때처럼 대표도시인 자성강계에서 한 글자씩 이름을 따왔다.[1] 2008년 기준 인구는 1,299,830명이다.

2. 자연


면적의 90%가 산지인데다 대륙성 냉대기후 지역답게 겨울에 몹시 춥고 일교차와 연교차가 심하다. 한국에서 추운 곳으로 알려진 중강진중강군(광복 당시에는 자성군의 일부)에 있으며, 6.25 전쟁 당시 국군이 유담리를 넘어 진격하려고 했던 동문거리가 바로 낭림군(광복 당시는 함경남도 장진군의 일부)이다. 이에 대해서는 장진호 전투를 참고.

3. 인문


주요 도시는 강계시, 만포시, 희천시 등. 북한에서는 굉장히 춥고 척박한 곳으로 여겨지지만, 한편으론 물 좋고 미인 많은 곳으로도 유명하다. 도의 최대 도시인 강계시가 수려한 경관, 좋은 물, 미인, 살기 좋은 곳으로 유명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량강도와 함께 여기를 신설한 것은 분단 당시 북한이 7도,[2] 남한이 9도[3]로 총선거 때 의석이 부족할 수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4][5] 강계시6.25 전쟁 당시 북한이 한창 밀릴 때 임시수도로 기능하기도 했다.
나름대로 교통편도 좋은 곳인데, 혜산만포청년선을 청년돌격대를 동원해서 뚫어버렸다던가(만포선은 이미 일제강점기에 진즉 뚫렸다), 평양 - 희천간 고속도로가 뚫렸다. 덧붙이자면 북한은 평양 - 신의주간 고속도로도 아직 개통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이동의 자유가 제한된 북한 내에서도 가장 이동이 제한된 곳이라고 꼽히기도 한다. 특권 계층인 평양 시민들 역시 이곳을 오가려면 허가증이 필요할 정도. 출입제한구역이 곳곳에 있다고 알려져 있다. 군수시설, 군수공업 종사자가 많은 것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이런 이유로 타지에서는 이곳의 사투리를 심하다고 여기고, 북한 체제의 선전을 곧이 곧대로 믿는 경우가 함경북도 같은 곳에 비해 많다고 알려져 있다.
탈북이라는 측면에서는 옆쪽의 량강도에 밀리고, 중국과의 무역이라는 점에서는 역시 옆집인 평안북도에 밀린다. 어째 상대적으로 무관심한 지역. 국내 탈북민 중에서 자강도 출신이 인구가 더 적은 량강도의 20분의 1[6]이 채 안 될 정도인데, 이만갑 출연진이기도 한 정유나가 이 도 전천군 출신이다. 하지만 나름대로 항일 활동을 했답시고 김일성 관련 유적들이 많은 곳이다.

4. 경제


지역이 지역인지라 보다 옥수수을 많이 재배한다고 한다. 벼는 주로 낮은 평야지대에서 재배한다고 한다. 그 외에 감자, 밀, 보리 등도 재배한다고 한다.
평지는 없지만 곡식 외에 과일을 많이 재배한다. 그래서 북한의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과수원이 많다고 한다. 주로 재배하는 과일은 포도이다. 또한 자강도에서 재배하는 배와 포도로는 과일주리큐르를 제조한다. 자강도 강계시에 있는 강계포도술공장이 북한의 유명한 과일주 생산 공장이다. 인풍술과 백로술이 대표적인 제품들이다.
군수 공업이 크게 발달된 지역이기도 하다. 군사적 요충지로도 중요한 곳으로 여겨지는 곳이다. 이로 인해 대를 이어 군수공업에 종사하라는 통제가 극심하여 시장경제의 발달이 이웃한 도에 비해 미흡하다고 알려져 있다. 환경오염도 심하다는 주장도 있다. 또한 군수공업 종사자가 도민의 과반이라는 주장도 있다.# 2020년 북한의 도 중 식량 사정이 가장 안 좋은 곳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5. 하위 행정구역




6. 광복 직후 /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


[image] [image]
▼좌측이 광복 직후, 우측이 현 북한에서 사용하는 행정구역.
표에서 기록하는 행정단위의 이동은 면 단위 이하는 기록하지 않는다.
면적의 단위는 ㎢이며 소수점 이하는 반올림하였다.
평안북도 및 자강도의 행정구역 변화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번호
시 / 군
면적

번호
시 / 군
면적
참고
평안북도
A
'''신의주시'''

평안북도
A
'''신의주시'''
166
[7]
평안북도
B
의주군
'''1,677'''
[8]
평안북도
B
의주군
420

C
피현군
439
[9]
D
삭주군

[10]
E
천마군
763
[11]
평안북도
C
용천군
570
평안북도
C
피현군
439
[12]
F
룡천군
270

G
신도군
108
[13]
H
염주군
330
[14]
평안북도
D
철산군
456
평안북도
[15]
I
철산군
364

J
동림군
437
[16]
평안북도
E
선천군
673
평안북도
[17]
K
선천군
450

평안북도
F
정주군
828
평안북도
L
곽산군
310
[18]
M
'''정주시'''
473

N
운전군
360
[19]
평안북도
G
박천군
589
평안북도
[20]
O
박천군
288

평안북도
H
영변군
'''1,709'''
평안북도
P
녕변군
504

Q
구장군
584
[21]
R
향산군
483
[22]
평안북도
I
운산군
820
평안북도
S
운산군

[23]
평안북도
J
태천군
684
평안북도
T
태천군
730

평안북도
K
구성군
'''1,242'''
평안북도
E
천마군
763
[24]
U
'''구성시'''
653

평안북도
L
삭주군
'''1,153'''
평안북도
D
삭주군


W
대관군
837
[25]
평안북도
M
창성군
'''1,323'''
평안북도
V
창성군
620

Y
동창군
665
[26]
평안북도
N
강계군
'''5,404'''
자강도
1
'''강계시'''
264

2
'''만포시'''
672
[27]
3
시중군
602
[28]
4
장강군
727
[29]
5
성간군
949
[30]
6
전천군
'''1,001'''
[31]
7
룡림군
'''1,195'''
[32]
평안북도
O
희천군
'''2,366'''
자강도
8
'''희천시'''
984

9
동신군
'''1,205'''
[33]
평안북도
P
자성군
'''1,806'''
자강도
10
자성군
887

11
중강군
669
[34]
12
화평군
'''1,219'''
[35]
평안북도
Q
후창군
'''2,429'''
[36]
량강도

김형직군
'''1,473'''
[37]
함경남도

장진군
'''5,688'''
자강도
13
랑림군
'''2,062'''
[38]
평안북도
R
위원군
'''1,234'''
자강도
14
위원군
'''1,160'''

평안북도
S
초산군
'''2,328'''
자강도
15
초산군
590

16
고풍군
675
[39]
17
송원군
'''1,080'''
[40]
평안북도
T
벽동군
'''1,215'''
자강도
18
우시군
703
[41]
평안북도
X
벽동군
640


7. 기타


자강도에는 지하 무기공장이 있으며, 이곳 용림군(룡림군)에는 북한의 지하 미사일기지가 있고,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는 위치 중 하나다. 2017년 7월 8일 23시 45분 경에 이곳에서 규모 2.8 진동이 잡혔다. 자연 지진일 수도 있지만 미사일 폭발 사고일 수도 있다.

[1] 사실 경기도를 제외한 7도는 전부 해당 도내에 있는 대표 도시의 앞글자를 딴 것이다. 전라도전주나주, 충청도충주청주, 평안도평양안주, 함경도함흥경성, 강원도강릉원주, 황해도황주해주, 경상도경주상주의 앞 글자를 땄다.[2] 사실상은 6도이다. 미수복 경기도황해도로 넘어가면서 사실상 사라진 것.[3] 38선 이남 황해도 지역을 경기도로 편입시켰으나 동시에 제주도를 신설해서 9도 그대로다.[4] 황해도·북도도 그렇게 분할되었다.[5] 그러나 어디까지나 추측일 뿐이고, 정작 도급의 행정구역인 직할시/특별시는 붙였다 뗐다 했던 점을 보면, 일부러 큰 행정구역들을 쪼개서 주민통제를 철저히 하려는 의도가 아니었나 하기도 한다. 여하튼 의도가 수상하고 남한에서는 이를 인정하지 않으나, 북한은 남한의 행정구역 변화를 인정한다. 그런데 이를 인정한다는 것은, 남한 역시 행정구역들을 잘게 쪼갰고 설상 적화통일을 하면 본인들이 주민통제를 더 쉽게 할 수 있지 않나 한다는 의도도 있을지 모른다.[6] 자강도 출신은 2020년 3월 총 238명으로 집계된다.[7] 구 행정구역의 면적이 10.6㎢로 제시되는 경우가 있는데, 명백한 오류. 구 행정구역과 신 행정구역에서 변화된 것이라고는 의주군에서 위화면(이성계회군했다는 바로 그 위화도)이 넘어온 것과 용천군에서 삼교천 일대 유역 일부가 넘어온 게 전부이기 때문.[8] 서쪽 끝의 위화면이 이동.[9] 위원면, 고관면의 절반, 비현면, 월화면이 이동[10] 가산면, 광평면, 옥상면이 이동. 현재의 삭주군 면적 대부분은 의주군에서 온 것이며 원래 삭주군이였던 지역은 1/3 정도만 남아 있는 상태.[11] 고령삭면이 이동[12] 동북부 동상면이 이동[13] 비단섬 일대의 섬만 따로 떼어서 만든 군.[14] 군 남단의 내중면, 외하면, 외상면, 부라면이 이동[15] 군 북부의 서림면이 이동[16] 군 북부의 점면이 이동[17] 군 서부의 심천면, 용연면이 이동[18] 군 서부의 안흥면, 옥천면, 관주면, 임포면이 이동[19] 군 동부의 고덕면, 마산면, 대전면이 이동[20] 군 서부의 용계면의 절반, 청룡면의 절반, 가산면, 양가면, 서면이 이동[21] 군 동부 남신현면, 고성면의 절반, 오리면의 절반, 용산면, 백령면이 이동[22] 군 동북부 남송면의 2/3, 태평면, 북신현면이 이동[23] 정확한 면적은 불명이지만 행정구역의 변화가 거의 없기 때문에 860~870㎢ 정도일 것으로 추정된다. 잠시 금광이 있던 지역을 북진군으로 분리한 적이 있다.[24] 군 서부의 관서면, 천마면, 사기면이 이동[25] 군 남부의 수동면, 양산면, 외남면, 남서면이 이동[26] 군 남부의 청산면, 대창면, 동창면이 이동[27] 군 북서부의 고산면, 만포읍, 문옥면, 이서면과 외귀면의 1/3이 이동[28] 군 북서부의 외귀면 남부 2/3, 시중면, 곡하면, 어뢰면이 이동[29] 군 서부의 공북면, 종남면, 종서면이 이동[30] 군 중부의 성간면, 간북면이 이동[31] 군 남서부의 전천면, 화경면과 입관면의 서부 1/5이 이동[32] 군 남동부의 용림면과 입관면의 대부분이 이동[33] 군 동부의 신풍면, 장동면, 동창면이 이동[34] 군 최북단의 장토면, 중강면이 이동[35] 군 남부의 이평면이 이동[36] 군 서남부의 남신면, 칠평면이 이동[37] 후창군이 이름이 바뀐 것.[38] 동문면, 북면과 상남면의 서부 절반이 이동[39] 군 중부의 고면, 풍면, 강면이 이동[40] 군 남부의 판면, 송면, 도원면이 이동[41] 군 동부의 벽동면의 동부 절반, 오북면, 우시면, 가별면이 이동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