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HB

 




'''Gamma-HydroxyButyrate''' (카르복실기가 -COO-인 경우),
혹은 '''Gamma-Hydroxybutyric acid''' (카르복실기가 -COOH인 경우).
'''감마하이드록시뷰티르산''' 또는 '''감마-히드록시낙산'''
[image]
[image][1]
1. 개요
2. 체내 대사과정
3. 의료 목적의 GHB
4. 마약으로 사용되는 GHB
5. GHB뇨증
6. 사건사고


1. 개요


향정신성의약품이며 마약의 일종.
카르복실기와 하이드록시기를 가진 사슬 형태의 유기물질[2].
위 그림의 분자 구조 형태를 보면 알겠지만 굉장히 단순한 구조를 가진 유기 화합물이다. 이 물질은 탄소가 4 개로 이루어진 사슬 형태의 카르복시산이고 그 사슬의 감마 탄소에 하이드록시기가 붙었기 때문에 '''감마 하이드록시뷰티르산'''이라는 이름이 붙었다.[3]
국내에서는 ''''물뽕'''' 이라고 불린다. 일명 액체화='''물'''로 만든 히로'''뽕'''....이란 거지만, 사실 필로폰이랑은 관련이 없다. 인간의 중추 신경계, 과일, 포도주, 쇠고기, 거의 대다수의 동물에게서 소량이 검출되는 물질이다. 알렉산드르 미하일로비치 자이체프(Aleksandr Mikhaylovich Zaytsev, 자이체프의 법칙을 제안한 사람이다)가 1874년에 처음으로 인공합성했으나 인간 신체 내에서의 작용 연구는 1960년대 초반에서나 이루어졌다. 일단 몸에서의 작용기제는 GABAb 수용체에 작용한다. 심지어 GABA와 분자 구조도 비슷하며 체내에서 대사까지 된다.
'''중추신경 억제제의 효과를 나타내므로 알코올과 같이 섭취해서는 안 된다. 잘못하면 호흡기 장애로 사망할 수 있다.''' 다소 취한 듯 하면서 몸이 쳐지는 것이 중독 증상이다.
나트륨 염은 Xyrem(자이렘)이라는 상표명으로 제조되고 있으며 기면증 환자의 EDS(Excessive Daytime Sleepiness)와 탈력 발작의 치료제로 쓰이고 있다. 이탈리아에서는 알코올 중독자의 치료에 쓰인다.

2. 체내 대사과정


GHB가 대사되는 과정 중 일부.
GHB는 GABA로부터 생성되는데, GABA는 음식물을 통해 직접 섭취하더라도 뇌혈관장벽에 막히는 경우가 많아 필요한 때에는 뇌에서 글루탐산을 가지고 직접 합성하기도 한다. GHB 또한 같다.
GHB와 GABA는 아미노기 전달 과정을 통해 상호 변환되며, 남게 될 경우 대사 과정을 거쳐 숙신산이 된다. 이 숙신산은 체내 에너지원으로 쓰일 수 있다.

3. 의료 목적의 GHB


GHB는 주로 기면증 치료용 약물로 사용되며, 드물게는 알코올 의존증 치료에도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GHB는 서파수면(slow-wave sleep, 흔히 말하는 깊은 잠) 경향을 증가시키고[관련논문1], REM 수면(얕은 수면)[4] 경향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관련논문2]. 다른 향정신성의약품과 마찬가지로 오남용 시에 부작용 우려가 크므로 용도 외 사용은 엄격히 금지된다. 알려진 부작용으로는 알코올과 같이 섭취를 할 경우, 알코올 제거 능력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고(술에 취한 상태 및 숙취 효과 증가), 과량 섭취 시에는 뇌 손상으로 인한 기억력 저하 및 심지어는 사망에 이를 수 있다.

4. 마약으로 사용되는 GHB


의외로 마약으로 지정된 지는 얼마되지 않는다. 국내에서는 2001년에 향정신성약물로 지정되었다.
물뽕이라는 명칭을 처음 만든 사람은 영화 공공의 적 2 강철중의 실제 모델인 1998년 광주지검 강력부에 있었던 검사 김희준이다. 엠빅뉴스에서 밝힌 바로는 처음 마약수사를 할 때는 필로폰인 줄 알았고 수사대상이었던 마약조직도 그런 줄 알았다고(...). 그래서 물뽕이라고 이름이 붙었다. 하지만 당시 GHB는 마약류로 취급되지 않았기 때문에 국과수도 마약류로 검출하지 못했고[5], 결국 미국에서 감정을 받아와서 간신히 마약류로 인정됐다. 추가로 해당조직은 GHB가 마약류로 인정되기 전에 잡혔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기소가 불가능했었지만, 마약류불법거래특례법에서는 마약류가 아니더라도 마약류로 인식하고 거래를 진행했다면 그 자체로 처벌한다는 조항이 있었고 다행히 이 조항을 통해 기소가 가능했다. 지금이라면 긴급히 임시마약류로 지정하고 기소를 때릴 수도 있겠지만…
데이트 강간 약물로 사용되어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실제 사례는 로히프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다고[6] 하지만 현재 급속히 퍼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하며 2010년 12월 2일 방영된 SBS 뉴스추적에 그 해악성이 고발되기도 하였다. 특히 색깔이 변색된다거나 서서히 용해되는 안전장치를 갖추고 합법적으로 만들어지기도 하는 로히프놀과 달리 '''GHB는 무색, 무취이고 짠맛이나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그 위험성이 더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
다른 마약과 다르게 이것은 ''''타인에게 복용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주로 쓰인다
'''강간용으로 많이 쓰이는 이것은 다른 강간약물과 다르게 수면제가 아닌, 강한 각성효과를 알코올과 중첩시켜 뇌에 강한 쇼크를 줘 정신을 잃게 만드는 방식이다.''' 이는 뇌에 손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7] '''피해자에게 큰 후유증을 남기며 과다 복용시 두통, 시력저하, 과한 심장박동, 손끝 감각이상, 불면증, 심각한 기억력 저하, 근육 분해 등의 후유증을 줄 수있다.''' 실제 이것에 당한 한 미대생은 시야가 불안정해지고 손떨림과 함께 균형감각이 틀어지는 증상이 생겨 붓을 꺾게 되었다. 후유증 중 하나로 약효가 끝남과 동시에 강한 우울증과 자살충동이 오기도 한다
이런 것을 쓰는 강간범들은 피해자의 진술의 신빙성과 판단력을 흐리기 위해 ghb를 일부러 치사량에 가깝게 과하게 넣기도 한다. 인간말종이 되기 싫다면 절대 쓰지말자. ghb를 과하게 넣은 알코올을 마시면 '''성범죄를 제외한다 해도 인생 태어나면서 몸에 가장 괴로운 경험을 할 수 있다.''' 실제 이 약물을 사용해서 부작용으로 심장마비가 와 사망하는 경우도 있다.
'''"굉장히 악랄한 약인데 무엇보다도 몸에 오래 남지 않아서 증거 자료로 남지 않기 때문에 범죄자들에게 크게 애용된다.."'''[8] 괜히 이 약이 클럽에서 물뽕으로 불리며 데이트 강간 약물로 쓰이는게 아니다. 증거를 남기지 않아서 강간등의 성범죄를 저지르는데 최적의 약물이기 때문.[9] 게다가 이 약에 당하게 되면 당시 상황을 제대로 기억하지 못하고 심지어 일부 사람들의 경우 언어능력의 이상이와 진술을 똑바로 못하거나 의식이 잃은 상태에서도 몸을 움직일수 있어 반박증거를 남길수 있기 때문에 강간 혐의에서 벗어나는 변명을 하는 것에도 악용된다.
버닝썬 게이트에서 한국 여성을 데이트 강간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태국 부호 차바노스 라타쿨이 이 의혹을 받는 강한 이유. 해당 여성이 강간 사실을 주장하는데 해당 약물의 특성과 해당 사건이 기억이 나지 않는다. 해당 인물로 부터 음료를 건내받아 마셨다 등의 정황들을 진술했기 때문.[10]
때문에 자신이 이 약물을 먹여졌다고 의심이 된다면 바로 16시간 이내로 소변을 받아 경찰서로 가라. 너무 일찍 기상하거나, 일어난뒤 3시간이내 이상한 심장박동이나 두통이 온다면 이 약물을 의심할수 있다.
2011년 8월, 이스라엘의 한 연구진이 이 GHB를 감지할 수 있는 간이 감지기를 개발했다고 한다. # 상용화 및 단점 보완을 위해 18개월 정도가 걸린다고 하지만 그래도 엄한 약 가지고 사람들에게 위해를 가하는 범죄자들을 알아챌 수단이 마련될 예정이니 참으로 다행스러운 일이다.

5. GHB뇨증


희귀 유전병 중의 하나이며, 정식 명칭은 '''숙신산 알데히드 탈수소효소 결핍증'''(Succinic semialdehyde dehydrogenase deficiency; SSADHD)이다. 보통은 GHB뇨증(γ-Hydroxybutyric aciduria)이라고 부른다.
이 병은 체내에서 GABA를 제대로 대사하지 못하여 체내에 과량의 GHB를 생성하는 병이며, 이 남아도는 GHB가 그대로 소변으로 배출되므로 GHB뇨증이라고도 한다. 증상은 GHB를 직접 섭취했을 때와 비슷하게 나타난다. 다만, 이것은 유전병인 데다가 GHB나 GABA나 성장기 아이들에게는 신경흥분물질로서 작용하므로 일반 성인들이 섭취했을 때 나타나는 증상과는 조금 다르다.

6. 사건사고


지난 2007년 호주에서 '빈디즈'라는 장난감에서 마약 성분이 검출되어 리콜된 사건이 있었다. 문제의 마약 분은 이것을 가리키는데, 정확하게는 그 전구물질인 1,4-부탄디올이다. 위 그래프에도 나와있듯 1,4-부탄디올은 체내에서 GHB나 GABA로 대사될 수 있는 물질이다.
이런 아이들용 장난감에는 1,5-펜탄디올을 사용하여야 한다. 1,5-펜탄디올은 체내에서 대사될 경우 최종적으로 '''글루타르산'''이 된다. 이 물질과 중간 물질인 글루타르알데히드, 글루타르산 알데히드 등도 독성이 있으나, GHB에 비하여는 훨씬 낮다.
사건이 발생하게 된 건 두 물질의 기본 성질은 비슷한 데 비해 가격 차이가 꽤 나기 때문이다. 1,5-펜탄디올은 1,4-부탄디올에 비해 6~7배 정도나 비싸다고. 사건 당시 기준으로 1,5-펜탄디올은 1톤당 9,000에서 10,000달러 내외, 1,4-부탄디올은 1,500달러 내외였다.
WWE 최악의 사건으로 알려져있는 지옥의 비행 사건 당시에도 레슬러들 중 많은 수들이 이걸 술에 타마신 뒤 비행기에서 난동을 부렸다고 한다. 일반 사람들도 위험한데 100kg가 넘는 거구들이 술과 약물에 취해 비행기에서 난동을 부렸으니 정말 큰일날 뻔 했다.
2016년 8월에는 영국인 유명 일렉트로니카 DJ[11]가 GHB를 생수병으로 위장, 한국으로 밀반입한게 한국경찰에 적발되었다. 이 DJ가 건넨GHB를 흡입한 한국의 모 유명 제약업계 회장 형제가 뒤따라 잡힌건 덤.
2018년 11월 24일에 발생한 클럽 버닝썬 폭행 사건을 계기로 GHB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일부 매체가 클럽 버닝썬 관계자들의 말을 인용하며 클럽 내에서 ''''물뽕(GHB)''''을 이용한 성폭행이 발생했다는 의혹을 제기하였다.관련 기사 이에 클럽 버닝썬 측은 물뽕을 이용한 성폭행 의혹을 강하게 부인하면서 만일 그 의혹이 사실일 경우 클럽을 폐쇄할 것이라 밝혔고, 허위 사실을 유포할 경우 강력하게 법적 대응을 할 것이라고 경고하였다. 관련 기사 그리고 이 공약은 나중에 수사망이 좁혀오자 VIP실을 기습철거하면서 달성하였다. 그러나 클럽 버닝썬에서 성범죄 피해를 당했다고 주장하는 여성들의 제보가 이어지면서 서울지방경찰청에서는 광역수사대에 전담팀을 꾸려 대대적으로 수사하겠다고 밝혔다. 관련 기사 다만 GHB는 수용성 약물이라 소변으로 배출되는 특성이 강해 검출이 쉽지 않아 수사는 난항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 기업 블라인드 앱에서 이 약물을 찾는 글이 올라와 논란이 되었다.#

[1] 이미지 출처[2] 화학을 공부해본 사람들은 감이 올 텐데 GHB는 수용성 물질이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인체 내로 들어온 GHB는 소변을 통해 빠른 속도로 배출된다. 그래서 불법적인 목적으로 GHB를 사용해도 섭취 후 하루가 지나면 검출하기 매우 어렵다.[3] 탄소 사슬에서 기능기의 옆의 탄소를 α 탄소라 부르고, α 탄소의 옆 탄소를 β 탄소라 부르며, β 탄소의 옆 탄소를 γ 탄소라 부른다. 이 물질은 탄소가 4개로 이루어진 사슬 형태의 카르복시산이기 때문에 뷰티르산이고, 그 γ 탄소에 하이드록시기가 붙어서 '''감마 하이드록시뷰티르산'''이라고 명명된 것이다. 자세한 유기물질의 명명법을 알고 싶다면 유기화학을 참고할 것.[관련논문1] Scrima L. et al. "The effects of gamma-hydroxybutyrate on the sleep of narcolepsy patients: a double-blind study". Sleep 13 (1990) (6) pp 479–490, Scrima L., Johnson FH and Hiller FC "Long-Term Effect of Gamma-Hydroxybutyrate on Sleep in Narcolepsy Patients". Sleep Research 20 (1991) (330), Van Cauter E. et al. "Simultaneous stimulation of slow-wave sleep and growth hormone secretion by gamma-hydroxybutyrate in normal young Men". Th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100 (1997) (3) pp 745–753.[4] 안구 운동이 발생하는 얕은 수면 단계이며, 이 단계에서 발생하는 수면 장애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바로 가위눌림 현상이다.[관련논문2] Scrima L. and Shander D. "Letter to Editor on article: Re: Narcolepsy Review (Aldrich MS: 8-9-91)".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24 (1991) (4) pp 270–271, Scrima L. et al. "The effects of gamma-hydroxybutyrate on the sleep of narcolepsy patients: a double-blind study". Sleep. 13 (1990) (6)pp 479–90.[5] 필로폰이 아니니 필로폰 검사를 해도 검출이 안 된다.[6] 로히프놀의 경우 수면제로 쓰기 때문에 처방이 쉽기 때문이기도 하다.[7] 자료에 따라 갈리는걸 봐서는 용량마다 증세가 차이날수 있다[8] 보통 약물의 경우 축적되기 때문에 체모등에서 약물이 투여되었다는 증거를 채취할 수 있다. 박유천이 검거된 것도 이 때문. 자세한 것은 박유천 마약 투약 사건 참조. 다리털에서 약 성분이 검출돼서 거짓말이 확인된 것이다. 하지만 이 약물은 전혀 그렇지 않다.[9] 미국등의 해외 클럽에서 모르는 사람이 주는 음식이나 술을 받아 먹지 말라는게 이것 때문이다. 실제로 일부 미국의 질 안좋은 클럽의 경우는 이런 마약류등의 약물들이 일상화가 되다싶이 했다.[10] 현재 해당하는 태국 부호는 당시 여성과 같이 있는 동안의 사진들을 찍은 것을 공개하며 해당 여성의 동의하에 성관계를 맺었다고 주장하고 있다.[11] 특정년도 그래미상 어워드에 나이로 추론해봤을때 유명 트랜스(음악)DJ인 폴 오켄폴드나 빅비트 DJ인 팻보이 슬림으로 추론되고 있으나 코리아헤럴드에 따르면 Mark Lewis일 가능성이 높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