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wken/무기
Hawken의 기체들이 사용하는 무기에 대해서 설명하는 항목.
각 기체는 주무장(왼쪽) 부무장(오른쪽)을 갖고 있으며, 주무장은 3개의 선택지가 있다. 각 기체가 어느 무기를 쓰는지에 대해선 메카닉 항목 참조.
열 수용 한계치는 100으로, 양쪽 무기가 공유한다. 발열량이 100을 초과할 시 각 기체의 오버히트해 아이템을 포함한 무기가 작동을 정지하는데, 재가동까지 걸리는 시간은 각 기체의 오버히트 시간에 따라 다르다.
인시너레이터를 제외한 모든 기체는 사격을 멈추면 조금씩 발열량이 낮아지며, 일정 시간동안 전혀 사격하지 않을 시 발열량이 매우 빠르게 사라진다. 이 시간 역시 각 기체의 오버히트 시간에 따라 다르다.
피격 대미지 판정이 좀 특이하다. 플레이어 기체의 히트박스는 당연한 거겠지만, '''각 탄환과 투사체에도 히트박스가 존재'''한다.[1] 최소 대미지는 말 그대로 최소 위력이지만, 이마저도 유효 사거리를 넘은 상태에서 맞으면 감소한다.
- 탄환의 경우 탄환 자체의 히트박스 표면적이 피격당한 기체 히트박스에 얼마만큼 들어갔느냐에 따라 대미지가 달라진다.[2]
- 폭발물의 경우 직격이면 최대 대미지, 폭발에 맞을 때는 폭발 반경 끝자락에 맞으면 위력이 줄어든다.
- 100% 명중했을 때의 최대 공격력만이 표기되어 있습니다.
1. 주무장(Primary Weapon)
1.3.1. Vulcan XT L / R
1.4. SA-Hawkins
1.5. Hawkins-RPR
1.7. Breacher
1.8. AM-SAR
1.9. RED0X-02
1.10. PN-223
1.11. Mini Flak Cannon
1.12. Flak Cannon
1.13. Reflak-35
1.14. T32-Bolt
1.14.1. T32-Bolt XT
1.15. EOC Repeater
1.16. Heat Cannon
1.17. Seeker
1.18. Rev-GL
1.19. B3-AR: BBY
1.20. B3-AR: PPA
1.21. B3-AR: M4MA
2. 부무장(Secondary Weapon)
1. 주무장(Primary Weapon)
1.1. Assault Rifle
- 공격 주기: 0.2초
- 공격력: 19.8
- 발열량: 1.4
원래 함선의 선체 제조를 위한 탄띠급탄식 40mm네일건이었으나 뜯어다 기관포로 개조해서 쓰고 있다 한다(...)
1.2. SMC(Submachine Cannon)
- 공격 주기: 0.115초
- 공격력: 12
- 발열량: 0.67
대신 조준실력이 좋다면 그야말로 폭딜이 무엇인지 체감할수 있다. 호큰의 히트박스 시스템 특성상,히트박스 정중앙에 전탄 명중 시킬 경우 엄청난 데미지 딜링이 가능하기 때문. 거리를 약간 벌린다면 발칸조차 강냉이를 털어버리는게 가능하다!!
1.3. Point-D Vulcan
- 공격 주기: 0.12초
- 공격력: 14.52
- 발열량: 0.875
단점이라면 집탄율과 반응속도. 호큰 시스템 특성상 히트박스 중앙으로 갈수록 최대 대미지를 받는데,벌컨은 딱 붙지 않으면 중앙으로 들어가는 탄수가 별로 없다. 짧은 사거리와 시너지를 이루어 거리가 조금만 벌어져도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그래서 서브머신 캐논에게 지기도 하는 상황이 종종 연출된다(...) 반응속도 역시 문제가 되는데,호큰의 벌컨은 총열을 미리 회전시키며 다니는것이 불가능하다(모션은 돌아가는것 처럼 보이지만 격발키를 눌렀다 떼고 다시 누르면 총열이 다시 회전하지 않고 멈췄다가 회전한다). '''거기다 총열 공회전 소리는 적에게도 들린다!''' 덕분에 미니맵으로 보이는 적이 아니거나 사운드플레이가 불가능한 상황(난전 등)의 경우 적이 벽뺑뺑이라도 시전한다면 그저 암울해질 뿐.. 개방된 지역에서의 전투를 강요받는 무장이다.
덕분에 초보들이 많은 저mmr 서버에서는 엄청난 효과를 발휘하지만,그 이상으로 올라갈수록 보기가 힘들어지는 무장.
브루저의 기본 무장이건만 최악의 상성을 자랑하는 무장이기도 하다. 애매한 사거리와 벌컨 자체의 느린 반응속도와 헬파이어 미사일의 안습한 근접전 능력 때문에 조합이 좋지 않다.
1.3.1. Vulcan XT L / R
- 공격 주기: 0.2초
- 공격력: 15.5
- 발열량: 1.1
1.4. SA-Hawkins
- 공격 주기: 0.32초
- 공격력: 28
- 발열량: 1.803
1.5. Hawkins-RPR
- 공격 주기: 0.2초
- 공격력: 19.8
- 발열량: 2.035
1.6. Slug Rifle
- 공격 주기: 1.15초
- 공격력: 60
- 발열량: 7.25
단발, 느린 연사 속도, 그리고 높은 공격력. '''그냥 저격총이다.''' 그런 만큼 높은 위력을 자랑하나, 높은 발열량과 은근히 속터지는 연사력 때문에 근거리 교전에는 매우 불리하다.
1.7. Breacher
- 일반 사격
- 탄환 수: 6
- 공격 주기: 2초
- 공격력: 24 X 6
- 발열량: 14
- 차지샷
- 탄환 수: 1
- 공격 주기: 2초
- 공격력: 100
- 발열량: 9
기본 무기 치고는 파격적인 성능이나, 느려터진 연사력 덕에 프레데터의 주 무기는 왼쪽이 아니라 오른쪽이라는 농담이 나올 정도.
1.8. AM-SAR
- 공격 주기: 0.33초
- 공격력: 30.25
- 발열량: 2.035
'''반자동 소총'''. 연사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버튼을 눌러야 하기 때문에 손가락이 아파진다는 단점말고도 여러가지 단점 때문에 잘 안쓰이는 무장. 리퍼의 레벨이 올라가면 흔히 버려지는 무장이다. 연사력과 발열량에 비해 살짝 모자란 느낌이 드는 위력,연사를 위해 마우스 클릭질을 함과 동시에 줄어드는 명중률(이는 개인차가 있지만),'''화면을 심하게 가리는 머즐브레이크의 가스'''(효과가 하향조정 한번 된적 있었다. 이는 간신히 턱걸이 사양으로 플레이 하는 유저들에게 암을 유발하기도 한다. 가스가 렉을 부르기 때문.)
저격용 메크의 무장으로 장비되어 있는데 어느정도 거리가 벌어지면 도통 맞질 않는다. 명중률이 호킨스보다 구리다(...). 에임은 적을 향하고 있어도 탄은 정 중앙에 안맞는다.
1.9. RED0X-02
- 공격 주기: 0.35초
- 공격력: 27.5
- 발열량: 3
푸른색이 감도는 탄환을 발사하는데, 폭발 판정을 지닌데다 피격당한 상대는 '''5% 추가 피격 대미지''' 디버프가 걸린다. 지속시간은 약 2초 정도로 매우 짧지만, '''최대 3번 중첩'''이라서 대치 사격 도중 날아오면 탄환 자체도 은근히 아프고 디버프까지 걸리는지라 무시할 수 없다.
하지만 폭발물 판정이라 오브젝트 가까이서 쏘면 자신도 맞으며 디버프 역시 끼얹어진다는 엄청난 단점이 있다. 폭발 반경도 묘하게 커서 아군 팀원 뒤에서 쏴제끼다가 막혀서 자기가 얻어맞는 경우도 부지기수(...).
1.10. PN-223
- 공격 주기: 0.5초
- 공격력: 14 X 3
- 발열량: 1.25
대체 주무장인 호킨스 RPR보다 위력도 떨어지고 연사력도 느리지만, 발사 한번에 '''초고속으로 3연발 점사를 쏜다'''는 게 포인트. 집탄률도 매우 뛰어나 유효 사거리를 넘는 거리라도 견제 사격이 쉽고 지속연사도 가능하며, 저 3점사 한번 당 발열량이 저 정도이기 때문에 수리하면서 동시에 써도 발열량 걱정이 비교적 덜하다.
발열량이 적은 대신 이 무장을 착용하는 순간 테크니션에게 공격이란 그저 "보조 혹은 마지막 저항" 밖에 되지 않는다. 생각보다 DPS가 떨어지기 때문.
1.11. Mini Flak Cannon
- 탄환 수: 4
- 공격 주기: 0.385초
- 공격력: 12.1 X 4
- 발열량: 3.5
대신 거리가 조금만 벌어져도 효율이 급감하니 주의. 스카웃에 달 경우 최악의 효율을 자랑한다. 스카웃의 기동성을 반감시키기 때문. 그래도 플락을 어려워한다면 미니플락이 더 쉬울수있다. 뱅가드에 달경우 근접에서 모든것을 쓸어버리는 위력을 발휘한다.
1.12. Flak Cannon
- 탄환 수: 8
- 공격 주기: 1.225초
- 공격력: 13.5 X 8
- 발열량: 10
적절한 크기의 기둥을 끼고 근접전을 펼치면 으억 소리나는 폭딜을 꽂아넣을 수 있다.
1.13. Reflak-35
- 탄환 수: 5
- 공격 주기: 0.55초
- 공격력: 11.88 X 5
- 발열량: 4.75
발열량이 높은게 흠이다. 미니플랙 보다도 체감 발열량이 높다.. DPS도 애매한 주제에..
1.14. T32-Bolt
- 탄환 수: 5 ~ 9 (풀차지)
- 공격 주기: 0.75초 (일반) ~ 1초 (풀차지)
- 공격력: 15 X 5(~ 9)
- 발열량: 6.5
참고로 충전 중에는 열이 발생하지 않고 충전 지속 시간도 무제한이기 때문에 전략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단점이라면 차징무기 공통의 애매한 탄씹힘(차징 판정이 일어나 쏘지 못하고 부스트를 쓰는 경우)이 있다는것과 일반 사격의 집탄율이 흠이라면 흠. 그래도 리플랙의 암을 유발하는 발열보다는 이게 차라리 낫다(...)
1.14.1. T32-Bolt XT
- 탄환 수: 5 ~ 8 (풀차지)
- 공격 주기: 0.75초 (일반) ~ 1초 (풀차지)
- 공격력: 15 X 5(~ 8)
- 발열량: 6.5
1.15. EOC Repeater
- 투사체 수: 3 ~ 6 (풀차지)
- 공격 주기: 1.5 ~ 3초
- 공격력: 13 X 3 ~ 6 (투사체 직격) / 24 X 3 ~ 6 (폭발)
- 발열량: 투사체 당 2
위력만 따지고 보면 매우 출중하지만 직격이 아니면 즉시 대미지를 줄 수 없기 때문에 조준이 중요한 무기. 사용한다면 높은 곳에서 아래를 향해 쏘는 것을 추천. 웬만큼 숙달된 유저가 아니라면 교전 중 알아서 밟고 터진다(...).
1.16. Heat Cannon
- 공격 주기: 0.94초 (일반) / 2.15초 (차지샷만 반복 시)
- 공격력: 71.5 (일반) / 85 (차지샷)
- 발열량: 7.25
이런 류가 그렇듯 '''안맞으면 장땡'''인지라, 위에서 아래로 쏘는 것을 추천. 더불어 느려터터진 터렛모드 C형들의 천적이기도 하다.
1.17. Seeker
- 공격 주기: 0.7초
- 공격력: 50
- 발열량: 5
거리가 멀수록 리드샷을 안해도 될 정도로 유도능력이 좋아진다. 에임 안에만 있을때 쏘면 알아서 맞는듯. 근접에서는 리드샷은 필수이다. 안그러면 안맞는다.
1.18. Rev-GL
- 공격 주기: 0.8초
- 공격력: 75
- 발열량: 6.5
그레네이더의 기본 주무장으로, 생긴 것 그대로 '''유탄 발사기'''. 폭발물인 만큼 지형을 제외한 물체에 직격 즉시 폭발하나, 범위도 그리 크지 않고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는데다 탄속도 느려서 다루기가 쉽지 않다. 그대신 숙달되면 팀전의 깡패로 군림할수 있다. 어빌리티를 켜고 집중사격 하면 적 진영이 엄청난 속도로 와해되기 때문.. 거기에 킬사인이 3개씩 들어온다..
1.19. B3-AR: BBY
- 공격 주기: 0.15초
- 공격력: 12.1
- 발열량: 1.65
공격력은 서브머신캐논 수준으로 낮지만 빠른 연사속도에 발열량도 낮아 말 그대로 '''끊임없이''' 쏴제낄 수 있다. 장점이라 하면 쉬운 난이도. 이걸 장비하고 오버히팅 될일은 없다고 보면 된다(인시너레이터를 처음 타지 않는 이상.) 대신 발열량이 낮은 만큼 SAARE와 어빌리티를 활용하기가 어렵다는 게 단점.
1.20. B3-AR: PPA
- 공격 주기: 0.125초
- 공격력: 13
- 발열량: 5.5
미친 연사속도, 낮은 공격력, 그리고 '''그 미친 연사력에서 뿜어져 나오는 정신나간 발열량'''. 쏘기 시작하면 거의 '''2초 만에 오버히트'''된다. SAARE를 고출력 모드로 계속해서 쏜다 해도 버티질 못하는지라 중간중간 끊어주지 않으면 안되는데, 가장 큰 문제는 '''공회전 시간 역시 근 2초''' 가량이라는 것. 물론 예열시키는 것으로 무마할 순 있지만 주변 아군의 열을 흡수하는 인시너레이터의 특성상 컨트롤이 매우 어렵다. 대신 어지간히 인시너레이터 좀 몬다 하는 유저들은 대부분 이것을 사용하는것을 볼수 있을것이다. SAARE 고출력 모드의 화력이 너무나도 매력적이기 때문. 잘못했다간 같은 대형도 순식간에 갈려나간다. Rev Gl 과 함께 적의 전선 붕괴를 책임지는 무장.
아무튼, 이 무기를 채용하면 그 미친 발열량을 이용해 '''메테오'''를 시전하는 것이 가능해지기에 아예 안좋은 것도 아니다.
1.21. B3-AR: M4MA
- 공격 주기: 0.25초
- 공격력: 22
- 발열량: 6
어중간한 연사력과 어중간한 공회전 시간을 갖고 있지만, 위력도 높고 무엇보다 '''피격 대상에게 강제로 발열량을 추가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발열량도 높기 때문에 SAARE와 어빌리티 활용도 할 수는 있지만, 문제는 이 녀석, '''탄환이 폭발물 투사체''' 판정이라 중거리 이상 커버가 어려우며 자해도 가능해서 역시 사용하려면 컨트롤이 요구된다.
이 무장의 장점이라 하면 적의 발열량을 높여버리기 때문에, 발열량이 높은 무장을 사용하는 메크들의 하드카운터 이다. 그레네이더의 경우 잘못했다가는 반피깎고 오버히팅이 되버리는 수가 있고,아빠곰을 장비한 인시너레이터도 난전에선 아군의 열을 흡수하고 있기 때문에 컨트롤 미스로 오버히팅 시켜버릴수도 있기 때문이다.
2. 부무장(Secondary Weapon)
2.1. TOW Launcher
- 공격 주기: 2.25초
- 공격력: 125
- 발열량: 10.5
발사 후 버튼을 한 번 더 눌러 원하는 위치에서 폭파시킬 수 있으며, 일정 거리 이상 날아가면 추진기가 제어력을 잃기라도 하는지(...) 지그재그로 날아가다 터진다.
2.2. Grenade Launcher
- 공격 주기: 2.5초
- 공격력: 125
- 발열량: 9.75
TOW 런처 다음으로 많은 기체들이 사용하는 부무장. 구(球)형의 폭탄을 - 쏘기에 사거리가 매우 짧지만 이는 대충 발사 각도로 커버가 가능하고, 역시 버튼을 한 번 더 눌러 임의로 폭파시킬 수 있다.
2.3. Hellfire Missiles
- 투사체 수: 6
- 공격 주기: 3.25초
- 공격력: 18.5 X 6
- 발열량: 12
참고로 록온된 적은 화면에서 벗어나도 약 0.5초 정도 록온이 유지되므로, 쏠 때 발사 방향을 틀어 코너샷 등이 가능하다.
특이하게 맞기전에 좌우로 닷지하면 미사일이 그냥 비껴 날아가 버리지만 위아래로 빗나갈시 '''다시 위아래로 원을 그리며 되돌아오는 경우가 많다(!).'''
2.4. Sabot Rifle
- 공격 주기: 3초
- 공격력: 110
- 발열량: 11.25
2.5. KE-Sabot Rifle
- 공격 주기: 1.75
- 공격력: 75
- 발열량: 8
2.6. Corsair-KLA
- 투사체 수: 1 (KLA 모드) / 8 (MIRV 모드)
- 공격 주기: 2.75초
- 공격력: 125 (KLA 모드) / 18 X 8 (MIRV 모드)
- 발열량: 13
양 모드 전부 다 위력이 출중하지만 딜레이도 꽤 되고 발열량도 높아 마구 쏘는 건 화력을 낭비하는 꼴.
2.6.1. Corsair-KLA XT
- 투사체 수: 1 (로켓 모드) / 8 (플랙 모드)
- 공격 주기: 3.75초
- 공격력: 132 (로켓 모드) / 21 X 8 (플랙 모드)
- 발열량: 13
- 모드 변경 소요 시간: 1.25초
2.7. Helix Repair Torch
- 초당 대상 아군 수리: 40 (전투중) / 70 (비전투중)
- 초당 대상 적 분해: 40
- 초당 자가 회복: 15 (전투중) / 25 (비전투중)
- Amplificaion 발동 시
- 초당 대상 수리: 80 (전투중) / 140 (비전투중)
- 초당 대상 적 분해: 80
- 초당 자가 회복: 30 (전투중) / 50 (비전투중)
'''수리 토치'''라는 이름답게 테크니션 전용인 부무장. 수리모드로 아군을 치료하거나 분해모드로 적에게 흡혈 공격을 가할 수 있어 리독스와의 조합으로 전투원으로 활약할 수는 있지만, '''힐러의 본분은 아군 살리기지 적 사살이 아니다'''.
발열량도 있긴 하지만, 주무장과 같이 쓰지 않는 이상은 오버히트 걱정은 거의 안해도 될 정도로 낮다.
2.8. EOC Predator
- 투사체 수: 1
- 공격 주기: 0.94
- 공격력: 60 (폭발)
- 발열량: 6.25
- 최대 설치 갯수: 8개
전면전에 사용할시엔 포물선 없는 Rev GL(...) 이라 생각하고 사용하면 편하다.
2.9. SAARE Launcher
- 투사체 수: 1
- 공격 주기: 0.75초
- 폭발범위: 30
- 공격력: 60 (저출력 모드) / 80 (고출력 모드)
- 열 소모량: 15 (저출력 모드) / 30 ((고출력 모드)
폭발물 투사체 판정이지만 꽤 긴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는 불덩이 를 발사해서, 이론상 오버히트 날 일이 없는 인시너레이터의 특성상 멈추지 않는 견제사격이 가능하다.
[1] 덕분에 탄환은 불가능에 가깝다 봐도 되지만 투사체의 경우엔 '''직접 쏴서 떨어트릴 수도 있다'''. [2] 100% 완벽하게 맞았다면 최대 대미지로 들어가지만, 표면적의 약 10% 미만으로 그냥 스치는 정도면 최소 대미지로 박힌다.[3] 소총형 무장 중 최대 유효 사거리가 가장 짧다. 벌컨보다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