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am Iron Man
'''Truth is... I am Iron Man.'''
사실을 말하자면.. 제가 아이언맨입니다.
1. 개요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 나오는 대사이자 MCU 세계관을 시작한 명대사다. 인피니티 사가의 극중 핵심 인물인 아이언맨의 히어로로서의 상징과도 같은 대표 캐치 프레이즈이다.[1] DC 코믹스의 배트맨의 그 대사와 비슷하고 강렬하지만 느낌은 사뭇 다르다.[2]
사실상 '''인피니티 사가를 시작하고 끝낸''' 한 마디이기도 하다.
2. 의미
이때까지 대다수의 슈퍼 히어로들은 자신과 주변인들의 신변 보호를 위해 자신들의 정체를 숨긴 클리셰로 있었으며[3] 이는 인기 슈퍼 히어로인 슈퍼맨, 배트맨, 스파이더맨도 벗어나지 못했다. 하지만 아이언맨은 영화상의 히어로들 중 최초로 자의로 자신의 정체를 세상에 당당하게 드러내는 일명 "I am Iron Man" 씬은 "주인공은 정체를 숨기고 활동한다"는 슈퍼 히어로 장르의 클리셰를 깨어 관객들에게 카타르시스를 선사하였다.[4]
아이언맨이란 캐릭터 자체가 이 커밍아웃 씬으로 유명해져서 많은 사람들이 착각하지만 사실 코믹스의 아이언맨은 처음에는 다른 히어로들처럼 자기 정체를 숨기고 활동했다. MCU에서 영화화된 캐릭터들은 거의 다 외형 및 캐릭터성에서 많은 각색과 수정을 거쳤지만 토니 스타크는 그중에서도 원작과 영화판의 행보가 가장 판이하게 다른 캐릭터 중 하나로 손꼽히는데 첫 영화에서부터 원작과는 다른 길을 가겠다는 것을 인증한 셈이다. 그러나 이후 3편에서는 자신의 히어로로서의 정체성과 본질에 대해 고민하는 내용이 영화에서 사용되었기에 조금 더 깊이를 더했다.
사실상 이 대사가 지금의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를 만들었다고 봐도 될 정도로 전체 프랜차이즈에 있어서 의미있는 대사라 할 수 있으며, 이를 인정하듯 인피니티 사가의 시작과 끝을 장식했다.
아이언맨 1편 엔딩 크레딧에도 사용된 블랙 사바스의 Iron Man이라는 곡이 있는데, 이 곡의 가사 첫마디가 바로 "I am Iron Man!"이었다. 물론 제목이 같고 영화에 삽입되었다는 것 빼고는 슈퍼히어로 아이언맨과 전혀 관련이 없는 곡이다. 워크래프트 2에서 그롬 헬스크림의 대사중에 "I am Iron Man!"이 있는데 이것도 음악쪽을 패러디 한 것이다.
1994년 아이언맨 애니메이션 시즌 2는 토니가 직접 모루에 망치를 두드리며 슈트를 만드는 오프닝에 I am Iron Man이 반복되는 주제가가 유명하다.#
3. 언급
3.1. 아이언맨
모든 사건이 종료된 후 토니 스타크는 S.H.I.E.L.D가 준비해 준 대본에 따라 아이언맨의 정체를 감추기로 한다. 이후 기자회견장에서 얌전히 대본대로 읽으려고 했으나, 원래부터 무언가를 숨기는데 익숙치 않은데다 낌새를 채고 있었던 크리스틴의 날카로운 질문에 계속해서 횡설수설하게 되고, 결국 마지막 순간 대본 따위는 집어치우고, '''"제가 바로 아이언맨입니다."'''라고 폭탄 발언을 하면서 영화는 끝이 난다. '''그리고 이 대사가 세상을 바꿨다.'''"Truth is... '''I am Iron Man'''".
"사실을 말하자면...제가 아이언맨입니다."
해당 엔딩씬은 히어로로서의 활동을 시작할 때부터 자신의 정체를 세간에 까발리는 점에서 매우 도발적이고 신선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해당 영화가 마블 영화 시리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다 보니 마블 영화판 세계의 연대표 자체가 '''토니 스타크의 정체 커밍아웃 이전과 이후로 나뉘게 된다.'''
'''그리고 저 I AM IRONMAN이라는 대사는 각본에 없는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의 아이디어였다고 한다.''' 애드리브라는 말이 많이 펴져있지만, 정말 즉흥으로 그렇게 촬영한 것은 아니고, 애초부터 쪽대본으로 배우들끼리 머리를 맞대고 겨우겨우 촬영하는 상황이었기에 로다주의 의견이 흔쾌히 받아들여진 것. 원래 각본은 클리셰대로 정체를 숨기는 스토리였다고 한다.
3.2. 아이언맨 2
초반 청문회 장면에서 짤막하게 언급한다. 아이언맨 슈트는 개인이 소유할 물건이 아니니 국가가 관리하겠다는 말에 토니는 위의 대사를 말하면서 아이언맨 슈트는 자신만이 통제할 수 있다며 거부했다.그러자 이에 청문회를 진행하던 스턴 상원의원은 '''"엿먹어요, 스타크씨"'''라고 응수했다.(원문: '''Fuck you, Mr. Stark.''')[스포일러1]"I am Iron Man. The suit and I are one."
"제가 아이언맨이고 수트와 저는 한몸이란 말입니다."
3.3. 아이언맨 3
엔딩 크레딧에서 마지막 회상을 끝나면서 이 대사를 하는 것으로 마무리되었다.You can take away my house, all my tricks and toys, but one thing you can’t take away.
내 집이나, 장난감들을 빼앗아갈 수는 있어도 단 하나만큼은 빼앗을 수 없을 거에요.
'''– I am Iron Man.'''
'''내가 아이언맨이라는 것.'''
그 외에도 꼬마가 아이언맨 슈트를 보고 '혹시 그거 아이언맨이에요?'라고 물어보자 '엄밀히 말하자면 (슈트가 아니라) 내가 아이언맨이지'라고 토니 스타크가 답하는 장면도 있다. 그 후 대사는 꼬마의 '엄밀히 말하자면 (아저씨는) 죽은 거죠'.
===# 어벤져스: 엔드게임 #===
''' '''
[image]
작품의 종반부, 격전 끝에 결국 스톤이 전부 부착된 인피니티 건틀렛이 타노스의 손에 들어가고 만다. 타노스가 스톤들의 힘을 받아들이던 순간 토니가 홀로 타노스에게 달려들어 막아서는데, 그래도 두 사람의 힘의 격차는 너무나 컸고, 토니를 어린아이마냥 쉽게 떼어낸 타노스는 회심의 미소를 지으며 '''"나는 필연적이다.(I am inevitable.)'''"라는 말과 함께 기어코 손가락을 튕기나, 건틀릿에서는 둔탁한 금속음만 날 뿐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5]'''AND I... AM... IRON MAN.'''
'''그럼... 나는... 아이언맨이다.'''
'''아, 그러셔? 나는... 아이언맨이다.'''(더빙)
알고 보니 토니가 만든 인피니티 건틀릿은 아이언맨 슈트와 같은 나노 입자 재질이라, 토니가 타노스를 가로막던 와중에 슈트의 장갑을 인피니티 건틀릿 형태로 변형하고 모든 스톤을 물 흐르듯 자연스럽게 떼어 옮겨 자신의 손에 붙여 놓았던 것. 그 후 토니는 위의 대사를 말하면서 핑거 스냅을 했으며 타노스를 포함한 그의 세력들이 전부 먼지로 변하면서 기나긴 전투는 어벤져스의 승리로 마무리되었다.
하지만 토니는 스냅의 반동으로 인해 우반신이 얼굴만 남고 죄다 불타버렸고, 결국엔 동료들이 지켜보는 앞에서 숨을 거둔다. '''그리고 이 대사를 말하고 토니가 죽음으로써 인피니티 사가의 대단원은 이렇게 막을 내렸다.''' 그리고 이 대사는 인피니티 사가의 시작과 끝이자 아이언맨의 유언으로 남게 되었다.
이 장면이 엔드게임 제작 중 최후로 촬영된 장면인데, 12년 전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아이언맨(영화) 1편에서 대사를 친 바로 그 스튜디오(Raleigh Studios)에서 녹음되었다. 즉 제작에서까지 완전한 대칭이라고 감독 코멘터리에서 설명되고 있다.
4. 관련 문서
[1] 캡틴 아메리카의 경우 "하루 종일도 할 수 있어(I Can Do This All Day)"가 있다.[2] 배트맨은 범죄자들에게 자신에 대한 공포를 각인시키기 위해 I am Batman을 말하고, 토니 스타크는 자신의 정체를 밝히기 위해 I am Iron Man을 말한다.[3] 이런 클리셰는 사실 판타스틱 포가 이미 깼다. 판타스틱 포가 처음 등장한게 1960년대이며, 코믹스판 아이언맨보다도 먼저 나왔다. 재밌게도 판타스틱 포 코믹스나 영화의 아이언맨은 둘 다 정체를 숨기지 않는 "유명인사" 히어로인 동시에 그들의 대성공을 통해 다른 여러 후속작들이 쏟아지는 계기가 되었다는 공통점도 있다. 판타스틱 포의 성공으로 마블 코믹스는 헐크, 토르, 아이언맨, 스파이더맨등의 새로운 히어로들을 내보내게 된다. 블랙 팬서의 경우는 아예 데뷔를 판타스틱 포에서 먼저 한뒤 개인 코믹스를 얻었다.[4] 위의 판타스틱 포는 자기들 정체를 처음부터 감춘 적이 없지만 아이언맨은, 적어도 영화의 아이언맨은 자기 정체를 처음에는 감췄다가 기자회견에서 정체를 드러냈다.[스포일러1] 이후 캡틴 아메리카: 윈터 솔져에서 벤 스턴 상원 의원이 하이드라의 일원임이 밝혀지면서 토니는 의도치 않게 큰일날 지도 모르는 사건을 미연에 방지한 거나 다름 없게 됐다.[5] 손을 튕길때 팅~ 소리가 나는게 상당히 웃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