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st Flight

 


1. 개요
2. 패턴
3. EZ2AC에서
3.1. 5K ONLY
3.2. 5K RUBY
3.3. 5K STANDARD
3.4. 7K STANDARD
3.5. 10K MANIAC
3.6. 14K MANIAC
3.7. 5K COURSE
3.7.1. TIME PARADOX
3.8. 7K COURSE
3.9. 10K COURSE
3.10. 14K COURSE
3.11. EZ2CATCH
3.12. TURNTABLE
3.12.1. EZ2AC -FINAL- 1.90 버전 패턴
3.12.2. EZ2AC : TT & EZ2AC -FINAL- 2.00 이후 버전 & EZ2AC FNEX 1.02 버전 이하 패턴
3.12.3. EZ2AC FNEX 1.03 버전 이후 패턴


1. 개요



사운드 클라우드로 듣기
EZ2AC의 수록곡. EZ2AC : FN 1.90 패치로 최초로 수록되었다. 이후 EZ2AC TT에서도 2.0 패치로 인해 수록되었다.
BGA의 1분 14초부터 JavaScript 코드가 잠깐 등장한다.
곡의 평가에 대해선 약간 호불호가 갈리는 편으로 곡의 비장한 분위기와 속도감으로 인해 호평하는 유저도 있지만, 시리즈 보스곡이라는 위치에 비해 임팩트가 떨어진다거나, 곡의 구조가 반복적이고 단조롭다는 비평도 공존한다.

2. 패턴


곡의 음계를 따라서 계단형 폭타 위주의 패턴이 많다. 난이도가 올라갈 수록 계단형 폭타에 살이 붙거나 겹계단, 또는 쌍계단 형식으로 나오는 등 패턴이 강화된다. 또한 상위 패턴들에서 중반부에 등장하는 32비트 계단도 특징.
이 곡은 매우 잦은 패턴 변경을 가진 곡으로 유명하다. 특히 10키와 턴테이블모드의 경우는 한 패턴에서 2번이나 패턴이 변경된 사례가 있을 정도다.

3. EZ2AC에서


장르
Electric Fusion
곡명
Last Flight
작곡
P4koo
배경
불명
최초 수록버전
EZ2AC : TT
BPM
174
'''EZ2AC : FNEX 기준 난이도 정보'''
'''모드 / 난이도'''
<colcolor=blue,#6495ed> '''NM'''
<colcolor=DeepPink,salmon> '''HD'''
<colcolor=#F2F,Violet> '''SHD'''
<colcolor=DarkViolet,MediumPurple> '''EX'''
<colcolor=white> '''5K RUBY'''
7
-
-
-
'''5K ONLY'''
9
11
16
-
'''5K STANDARD'''
9
12
17
-
'''7K STANDARD'''
11
13
15
17
'''10K MANIAC'''
9
11
16
19
'''14K MANIAC'''
7
13
16
19
<color=#373a3c> '''EZ2CATCH'''
11
15
17
-
<color=#373a3c> '''TURNTABLE'''
14
17
-
-

3.1. 5K ONLY



5K ONLY NM (Lv.9) 노트수 : 998개
NM은 Lv.9로 주요 멜로디를 8비트로 약화시킨 패턴과 롱잡이 주가 된다. 초반부에는 롱잡도 비교적 간단하고 8비트도 단노트 위주라 무난하지만 후반부부터는 롱잡에 잡노트도 비약적으로 늘어나고 8비트 노트에도 살이 많이 붙는 등 난이도가 올라간다. 특히 마지막에는 12비트 계단 + 잡노트로 완벽한 후살을 보여주니 주의. 후반부부터 올라가는 난이도를 버텨내지 못하면 Lv.9 치고는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다.

HD (11)

SHD (16)

3.2. 5K RUBY



5K RUBY NM (Lv.7) 노트수 : 775개
NM 단일 패턴으로 등장하였다. 롱노트와 정박 노트를 함께 처리하는 약한 롱잡 패턴과 주 멜로디를 8비트로 축약시킨 패턴이 주요 패턴이다. 롱잡 패턴 자체는 잡노트가 한 개의 라인으로 고정해서 나오고 롱노트 멜로디도 복잡하지 않아서 크게 어렵지 않지만, 롱노트를 처리하는 도중에 스크래치와 페달이 나오는 경우가 많아서 롱노트를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중반부 쉬는 구간이 끝나는 부분에서 갑자기 밀도 높은 동시치기 패턴이 나오니 주의. 후반부 롱잡 구간을 지나면 8비트 계단형 노트가 길게 나오는데 밀도 자체도 꽤 높고 뒤로 갈수록 스크래치까지 가세해 후살성이 강하다. 마지막의 16비트 짧은 트릴형 폭타도 주의.

3.3. 5K STANDARD



NM (9)

HD (12)

SHD (17)
종합 처리력 판독기. 17레벨에서는 중상~상 정도로 어려운 편이다.
패턴은 초중반부는 롱잡, 중반부는 폭타 및 발광, 후반부 겹폭타로 이루어져 있다. 중후반 직전까지 거슬리는 엇박페달이 계속 튀어나오고, 후반부 폭타부분엔 1 1 3 이라는 근본없는 페달이 끝까지 떨어진다. 주의하지 않으면 페달에서부터 말릴 수 있다.
이와 별개로 스크래치조차 쉬는 구간이 거의 없이 계속 떨어져 체감 난이도가 많이 올라간다.

3.4. 7K STANDARD



NM (11)

HD (13)

SHD (15)

EX (17)

3.5. 10K MANIAC



(NM) (9)

(HD) [11]

(SHD) [16]
Lucid, Crisp와 비슷하게 한손은 고속계단을, 다른 한손은 동시치기나 롱잡을 처리하는 패턴이다. 후반에 한손 고속 폭타가 나오는 거만 주의하면 적절한 16레벨.

(EX) [19] FN 2.01~FNEX 1.02 까지의 EX. FN 1.9 당시의 EX.
패치로 19레벨에서 20레벨로 승격한 Guardian과 달리 처음부터 레벨 20으로 등장했다. 하지만 심히 물렙이란 평가가 많다. 양손 노트가 똑같이 나오고 32비트 간격으로 미묘하게 서로 밀리는 구조인 독특한 형태를 띄고 있긴 하나, 고레벨 특유의 겹계단은 거의 없고 단순히 빠른 속도로 밀어붙이는데다 게이지마저 상당히 후해 후살 말고는 위협적인 구간이 없다. 게이지가 정상으로 돌아온다 해도 체감 난이도는 18 상급.
미러형 쌍계단을 찍어낸 무식한 구성으로 인해 지나치게 성의없는 패턴으로 평가되어, 의아해하고 실망한 유저들이 많았는데, 후에 FOX-B가 잘못된 패턴이 들어갔다고 인정한 것으로 보아 본래 코스용으로 제작된 패턴이 실수로 들어갔을 것으로 추정.
FN 2.0에서 일부 구간의 밀도가 조밀해지고 견제 스크래치가 들어갔으며, 후반 계단이 다른 라인으로 퍼지게 바뀌는 등등 배치가 어렵게 바뀌었고 레벨 19로 강등되었다.
FNEX 1.03 업데이트로 영문을 알 수 없는 1/8박 계단이 1/8박 번갈아치기로 바뀌고[1] 하이라이트 직전 구간이 겹계단으로 바뀌었으며 최후반에 왼쪽에만 몰려있던 스크래치를 오른쪽에도 나오게 분산시키고 스크래치 구간 진입 전 노트를 없앴다. 그리고 마지막 연타를 쉽게 수정하였다.

3.6. 14K MANIAC



NM (7)

HD (13)

SHD (16)

3.7. 5K COURSE



3.7.1. TIME PARADOX



(랜덤 옵션 영상)
TIME PARADOX 코스의 마지막 곡으로 등장한다.
이 패턴의 최후반부에 무지막지한 폭타 이후 바로 스크래치와 함께 전 키를 연타해야하는 빅장패턴이 나온다. 이 패턴 직전까지 게이지를 잘 유지해 나가더라도 해당 구간에서 폭사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3.8. 7K COURSE



3.9. 10K COURSE



3.10. 14K COURSE



3.11. EZ2CATCH



NM (11)

HD (15)

SHD (18)
EZ2CATCH의 최고 레벨이지만 상당히 많은 비판을 받고 있는 패턴 중 하나다. 처음부터 끝까지 n칸 떨어진 쌍계단 패턴만으로 단순 무식하게 계속 밀고 나간다. 이 패턴의 특성 상 처음부터 끝까지 비비기만 해야하기 때문에 Revelation하고 비교되기 까지 한다. 말 그대로 체력곡의 끝판왕. 각종 테크닉이건 뭐건 필요없고 비비기만 해야 하기 때문에 굉장히 성의없다고 까인다. 초반은 한 칸 떨어진 쌍계단으로, La Grand Bleu SHD의 후반부 패턴과 유사하며, 중반은 두 칸 떨어진 쌍계단으로, Rosen Vampir HD에서 나왔던 패턴, 후반은 세 칸 떨어진 쌍계단으로, Gothique Resonance HD에서 나왔던 패턴이지만 가운데 세 칸 전부 텅 비어있다.
이 패턴은 TT와 FN이 2.01 버전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패치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TT와 FN은 평생 이 패턴으로만 플레이 할 수 밖에 없다는 사실을 명심하자.

FNEX 1.10에서 결국 이 모드 마저도 패턴 변경이 일어났다. 위의 패턴보다는 그나마 인간적으로 바뀌었으나 여전히 후반부의 두 칸 떨어진 쌍계단은 비비기만 해야돼서 체력곡인 건 여전하다. 그러나 동시에 레벨도 17로 내려가서 논란이 조금 있는 편이다.
Engine, BEDLAM, Rosen Vampir에서 나왔던 패턴들을 조합한 모양새다. 초중반에는 32비트 대계단과 2겹 고속계단이 주가 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체력 관리가 수월해졌지만, 중간에 끼어드는 한 칸 떨어진 쌍계단은 정교한 컨트롤에 자신 없다면 대부분 비비기로 넘긴다. 후반부의 두 칸 떨어진 쌍계단은 패턴 변경 전과 마찬가지로 끝날 때 까지 계속 비비기만 해야한다.[2]

3.12. TURNTABLE



NM (14)
NM 패턴은 동 작곡가 곡인 Forbidden Light HD 패턴과 유사한 체력곡으로 분류되지만 난이도는 조금 더 어려운 편이다. 하이라이트 돌입 전까지 체력 비축을 잘 해놓아야 한다. 대체로 1자 연타 16비트가 주를 이루지만 가끔 24비트 빠른 난사가 2번 정도 나오는 만큼 초견 플레이 시 방심은 금물이다. '''두 번째 24비트 난사는 2겹 노트'''이기 때문에 더더욱..
HD 패턴은 이 곡의 10K 패턴과 함께 말도 많고 탈도 많은 패턴으로써, 변천사가 꽤 있기 때문에 나누어서 후술한다. EZ2AC FNEX까지 합쳐서 동일곡 10K EX, picking 7K EX와 함께 총 2번이나 칼질된 패턴으로 유명하다. R.E.D. 또한 2번 정도 칼질 당한 흔적이 있긴 하지만 크나큰 차이는 없었기 때문에 TURNTABLE 모드 내에서 2번씩이나 크게 칼질 당한 패턴으로는 이 패턴이 시초라고 보면 될 것이다.

3.12.1. EZ2AC -FINAL- 1.90 버전 패턴



HD (18) (FN 1.90)
FN 1.90버전에만 등장하는 패턴으로
처음부터 '''Le Grand Bleu HD패턴의 강화판 패턴'''이 주루루룩 내려오는 건 그냥 기본 패턴이다. 그러다가 위 영상 1분 15초부터 전례없는 막장 패턴인 '''32비트 딜레이 키음'''이 아주 길~~쭉하게 들어가 있다. 문제는 '''이게 또 3번 더 나온다..''' 여기서 이미 다들 허탈함을 감추지 못했다고.. 그렇다고 뒤가 쉬운가? 그것도 아니다. 여전한 2겹 변형 계단, 그리고 NM과 마찬가지의 24비트 난사 구간 두 곳도 모두 2겹 노트로 변경되었기 때문에 아차하는 순간 폭사하기 좋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모드 특성 상 팔 체력 관리 또한 살인적으로, 난사가 시작되는 구간부터 쉴 새 없이 턴테이블을 돌려주어야 하며, '''쉬는 구간은 정확하게 10초''''밖에 주어지지 않는다. 이 정도로 무식하게 체력 관리를 해주어야 하는 곡은 Lucid HD, Return to Universe NM정도가 있겠지만 기본 2겹 2연타 계단 앞에서는 비교 자체가 실례인 것이다.
굳이 이 패턴을 하고 싶은 유저는 FN 1.90 버전을 수소문해서 찾아보아야 한다.

3.12.2. EZ2AC : TT & EZ2AC -FINAL- 2.00 이후 버전 & EZ2AC FNEX 1.02 버전 이하 패턴



클리어 영상
이후, 잘못 들어간 패턴이니 곧 수정될 것이라고 밝혀져서 그나마 할만하게 바꿔줬겠지? 하고 생각했으나, 이번에 수정된 패턴은 가장 문제인 딜레이 키음 구간만 16비트로 수정한 것 외에는 전무하기 때문에 '''여전히 살인적인 팔 체력 관리 난이도와 NM 패턴의 후살에 존재하는 24비트 2겹 구간이 더욱 강화되어 나오는 압살적인 구간'''은 여전히 최후의 난관이다.
문제는 이렇게 패턴 수정을 했지만.. 레벨마저 17 레벨로 내려가 버렸다.
이 패턴은 게이지가 상대적으로 후함에도 불구하고 1주일 약간 넘게 클리어자가 없었으나.. ZzangK라는 유저로부터 기어이 이 패턴의 클리어자가 떠버렸다. 이렇게 수정된 패턴 마저도 "좋게 봐줘야" 18레벨 최종보스라는 소리를 들을 정도니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야말로 역대급 불렙 패턴.
이 패턴은 TT와 FN이 2.01 버전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패치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TT와 FN은 평생 이 패턴으로만 플레이 할 수 밖에 없다'''는 사실을 명심하자.

3.12.3. EZ2AC FNEX 1.03 버전 이후 패턴



FNEX 1.03 패치로 또 다시 수정되었다. 이 때 동일곡 10K EX와 picking 7K EX도 수정되었는데, 세 패턴 모두 다 두 번째로 수정된 패턴이라는 공통점이 있었다.
패턴 자체의 변경점은 초창기 딜레이 키음 구간의 노트가 16비트 2연타 계단에서 4연타 계단으로 변경되어 보다 널널한 간접 미스 관리가 가능해졌고, 하이라이트 돌입 전 16비트 2연타 계단 구간이 4~8비트 정박 구간으로 바뀌면서 팔 체력 관리가 수월해졌다. 마지막 24비트 후살 구간도 잦은 라인 변경을 보다 완화시켰다. '''그런데 게이지가 뭔가 더 후해진 느낌..''' 그래서인지 약간의 실수 정도는 노트 몇 개만 때려맞추면 금방 만회할 수 있다. 사람들은 이제서야 인간적인 난이도로 나왔다고 환영하는 분위기이다.
다만, 레벨이 18레벨로 다시 올라가 버렸는데 이에 대해서는 다들 하나의 이견도 없는 '''역대급 물렙곡'''이라는 평가가 강했다. 여기저기서 클리어자가 속출하고 있으며, 패턴이 분명히 너프되긴 했지만 상대적으로 팔 체력 관리도 어느 정도 있고 간접 미스 자체도 만만치 않은 곡이지만 매우 널널한 게이지 이것 하나만으로 이미 17레벨이 되어버렸다는 평가였다. 패턴 변경이 있거나 게이지 보정을 Le Grand Bleu HD만큼은 아니더라도 좀 더 빡세게 하든가 하지 않는 이상 빼도박도 못 하는 18레벨 물렙곡인 것으로 논란이 되어 이후 FNEX 1.10 패치로 17레벨로 다시 내려갔다.
[1] 얼핏보면 쌍계단처럼 보인다.[2] 캐쳐가 한 번에 받을 수 있는 노트 수는 3개다. 그런데 두 칸 떨어진 쌍계단은 범위가 4칸이기 때문에 비비기를 해야 할 수 밖에 없는 구조다.